본문 바로가기

매립지4

탄소중립의 첫걸음, 수도권 매립지 해법은? 탄소중립의 첫걸음, 수도권 매립지 해법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윤민서 [자료 1. 수도권매립지의 모습]출처: 한국경제수도권의 거대한 쓰레기 집하장, 인천 서구 수도권 매립지. 이곳은 1992년부터 서울·경기·인천 3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운영해온 수도권의 마지막 쓰레기 종착지다. 2025년 8월, 현 제3매립장의 운영 종료 시한이 다가오면서 수도권 매립지의 미래를 둘러싼 논쟁이 재점화되고 있다.표면적으로는 지자체 간의 입장 차이와 지역 이기주의 갈등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 문제를 단지 ‘쓰레기 처리장 이전’의 관점만으로 보기엔 무언가 빠져 있다. 바로 탄소중립이다. 이제 수도권 매립지 문제는 ‘기후위기 시대의 폐기물 정책’이라는 거시적 프레임에서 다시 들여다봐야 한다. 매립지와 온실가스, 보이지.. 2025. 6. 25.
친환경 플라스틱, 어디까지가 친환경일까? 친환경 플라스틱, 어디까지가 친환경일까?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황지영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가 대두되자 환경부에서 친환경 플라스틱 사용을 권장함은 물론 각 기업에서도 친환경 포장재를 내세우고 있다. 기존 포장재보다 비싼 값으로 소비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과연 어떤 플라스틱이 ‘친환경 플라스틱’이라고 불리는 걸까?[자료 1. 식물성 페트병]출처 : 서울파이낸스친환경 플라스틱이란, 석유계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말하는데, 주로 바이오 소재로 만들어지며 크게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의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특정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어, 수개월 내에 분해가 가능하여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 해결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바이오 베이.. 2022. 6. 26.
수도권매립지는 침출수를 어떻게 처리할까? 수도권매립지는 침출수를 어떻게 처리할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김다빈 수도권 매립지 침출수 문제 수도권 매립지의 위생 매립을 약속했던 제1매립장은 사실상 '비위생 매립장'이었다. 업체들의 부실 설계·시공, 침출수 누출 등 숱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1995년 감사원의 '수도권 매립지 건설 및 운영관리실태' 감사 결과를 보면, 제1 매립장의 설계를 맡은 (주)선진엔지니어링은 매립장 흙의 압력을 고려하지 않고 파손되기 쉬운 플라스틱류의 빗물 제거관으로 설계하면서 매립장 내부로 빗물이 수년간 스며들게 했다. 그 결과, 매립지 내부 압력이 높아져 제방 일부가 붕괴되고, 침출수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전 환경영향평가에선 침출수의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기준을 기준치(100PPM)보다 강화한 .. 2021. 12. 27.
쓰레기 대란, 이제는 해결해야 할 때 쓰레기 대란, 이제는 해결해야 할 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김채연, 19기 김다빈, 이수연, 20기 서범석, 최문선 [ 증가하는 폐기물, 감소하는 매립 용량 ] 우리가 하루에 버리는 쓰레기양은 얼마나 될까?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계 폐기물은 하루 평균 5만 7961톤(19년 기준)이다. 1인당 발생량으로 계산하면 매일 1.09 kg의 쓰레기가 버려지고 있다. 생활계폐기물의 발생량은 생활수준이 발달함에 따라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해왔는데,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일회용품 사용의 증가로 2020년과 2021년의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된다. [자료 1. 폐기물 발생량과 처리량 현황. 재인용 ⓒ김채연 ] 출처 : e-나라지표 폐기물 처리 방법은 크게 재활용, 소각, 매립으로 .. 2021.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