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가스11 Bio-energy; Biogas Bio Gas 1. 바이오가스 개념 1.1. 정의 [ 사진 1. 대우건설 아산 바이오가스 발전시설 ] 출처 : 아시아경제 유기물이 산소가 없는 극도의 환원(혐기성)상태에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발생하는 메탄올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기체를 말한다. - 원료 물질 : 하수 슬러지(폐활성 슬러지), 음식물 쓰레기, 음폐수, 매립지(LFG; Land Fill Gas), 유기성 산업폐기물(폐수), 가축분뇨, 에너지작물 - 바이오가스는 생물학적 과정을 거쳐 생성된다. - 생성물 : 바이오 메탄, 바이오 수소, 합성가스 1.2. 등장배경 및 필요성 유기성 폐기물의 육상 직매립이 2005년부터 금지되고, 2006년 런던협약에 따라 해양투기도 전면금지 됨에 따라 육상처리 및 재활용 처리가 시급해졌다. 더불어 환경.. 2018. 12. 18. 에너지 부족(不足)? No! 에너지 부족(部族)인 에너지 자립마을을 파헤쳐보자! 신재생에너지가 지금에서야 각광받지만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약 3000년 전부터 사용되었다. 화석연료가 본격적으로 쓰이기 이전에는 풍차를 통해 배수를 하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금속을 녹이기 위해 사용했다. 또한, 19 세기에는 태양열 집광기를 통해 증기기관을 가동시켰다. 이처럼 오래전부터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이용해왔다. 그리고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전기가 발견되고,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신재생에너지의 기술발전이 시작되었다. 지구에 있는 제품만 전기를 사용하는 건 아니다. 우주에 있는 인공위성도 전기를 공급받아야 하는데 지구에서 전선을 끌어다 꽂을 수는 없다. 그 대신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택했다. 인공위성이나 우주정거장은 어떻게 보면 하나의 작은 에너지 자립마을.. 2017. 8. 9. “쓰레기? NO, 쓸애기 YES! 쓰레기의 즐거운 변화”, 수도권 매립지 공사를 방문하다. "쓰레기? NO, 쓸애기 YES! 쓰레기의 즐거운 변화", 수도권 매립지 공사를 방문하다 [사진1. 수도권 매립지 공사 본사 건물] ‘쓰레기’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십니까? 냄새 나고 더럽고 피하고 싶은 존재라고 생각하시지 않습니까? 사전에서 쓰레기의 정의를 찾아보면 “비로 쓸어 낸 먼지나 티끌, 또는 못 쓰게 되어 내다 버릴 물건이나 내다 버린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도덕적 사상적으로 타락하거나 부패하여 쓰지 못할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 하고 있지만 쓰레기는 사실 원래 우리와 함께 하던 물건들이다. 우리를 위해 쓰임을 다해져서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기 위해 이 곳 매립지로 돌아온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쓰임이 다한 그들을 ‘쓰레기’가 부르며 기피 한다. 이.. 2016. 10. 2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