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전량예측4

[ENTECH 후기] 에코브레인, 기상정보로 만드는 새로운 내일 에코브레인, 기상정보로 만드는 새로운 내일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신혜진 더 나은 내일을 향해, 에코브레인㈜에코브레인은 기상 전문인력과 함께 에너지·기상·환경 전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에너지, 기상 및 대기 환경 분야의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은 산지가 많고 국토가 좁아 재생에너지, 특히 풍력 발전량 예측이 어렵다. 에코브레인은 실시간 기상정보와 지점 정보, 발전기별 특성을 활용해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예측하여, 전력중개시장 5대 발전사 중 풍력 발전량 예측 시장에 최초로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전력거래소, 한국전력공사, 한국남부발전, 포스코에너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에 풍력과 태양광 발전량 예측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재생에.. 2024. 9. 19.
[Remake, 2024 한국전기산업대전 견학기]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VPP와 함께라면? [Remake, 2024 한국전기산업대전 견학기]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VPP와 함께라면?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23기 차승연 24기 박선혜 님의 “2024년,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도입된다”의 Remake 버전입니다.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 주신 박선혜 님께 감사드립니다.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시행 한 달 앞으로]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시행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이 법은 에너지 관련 첨단기술 활용을 통하여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목적으로 한다. 4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코엑스에서 개최된 한국전기산업대전 현장에서도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시행에 발맞춰 많은 기업에서 다양한 분산에너지 관련 기술을 선보였다.  [분산에너지.. 2024. 5. 24.
전력망도 인공지능 전력망도 인공지능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이우진 [무서운 성장세의 AI] 미술, 음악 등 창작의 영역부터 의학, 기술 등 전문성을 요구하는 영역까지 현재 모든 산업 영역에서 AI가 걸쳐있지 않은 곳을 찾기가 힘들다. AI 분야는 지금까지도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로 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 Statista에 따르면, AI 분야가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5.83%로 2030년에는 7,388억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1. AI 분야 시장 규모 전망] 출처 : Statista 큰 예외 없이 일정한 수학적 규칙 속에서 운영되는 전력 계통 역시 AI 도입은 불가결한 방향성이다. 스마트시티, 스마트그리드 등 기술들의 도입으로 전력 계통이 스마트화됨에 따라 더욱 그렇다. 그뿐만 아니라,.. 2024. 3. 29.
[인터뷰]자연을 분석하다. ㈜에코브레인. 자연을 분석하다. ㈜에코브레인 작성자 13기 윤지혜 14기 이한주 [그래프 1. 발전량과 일조시간, 평균 운량(구름)관계] 출처 : 날씨맑음 자원고갈을 맞닥뜨리고 있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태양은 엄청난 에너지원으로 인정받고 있고, 인간은 태양으로부터 오늘 빛과 열을 이용하여 다량의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들을 앞다투어 개발하고 있다. 더불어 언제나 부는 바람, 지열, 수력 등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는 현재 우리에게 주목받는 에너지인 것은 분명한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태양광과 풍력을 포함한 많은 재생에너지는 기상 상태의 변화로 인한 발전량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항상 제기되어 왔다. 그래프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태양광발전의 경우에는 일조량에 엄청난 영향을 받으며, 구름이 많은 날에는 현저히 발전.. 2019.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