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기술-산업-정책

[Remake, 2024 한국전기산업대전 견학기]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VPP와 함께라면?

by R.E.F. 23기 김용대 2024. 5. 24.

[Remake, 2024 한국전기산업대전 견학기]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VPP와 함께라면?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23기 차승연

 

24기 박선혜 님의 “2024년,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도입된다”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 주신 박선혜 님께 감사드립니다.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시행 한 달 앞으로]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시행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이 법은 에너지 관련 첨단기술 활용을 통하여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목적으로 한다. 4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코엑스에서 개최된 한국전기산업대전 현장에서도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시행에 발맞춰 많은 기업에서 다양한 분산에너지 관련 기술을 선보였다.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이란?]

기존의 전력 시스템은 해안가에 대규모 발전소를 건설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장거리 송전망을 통하여 수도권 등에 송전하여 소비하는 중앙집중형 시스템으로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증가하는 전력수요에 대해 중앙집중형 시스템으로 대응하는 것은 발전소나 송전탑 인근 지역주민의 반발 등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고 리스크 관리에 취약한 점 등의 한계가 존재했다. 이에 기존 중앙집중형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하여 소비할 수 있는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만들고자 2023년 6월 13일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하 “분산에너지법”)이 제정·공포됐다. 이때 분산에너지란 에너지를 사용하는 인근지역에서 공급하고 생산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특히 분산에너지법은 분산에너지를 공급하는 사업을 분산에너지사업으로 정의하면서, 중소형 원자력 발전사업(SMR), 분산에너지 통합발전소사업(VPP), 연료전지발전사업, 수소발전사업, 저장전기판매사업, 재생에너지전기공급사업(PPA), 소규모전력중개사업 등 다양한 사업들을 분산에너지사업의 범주에 포함하고 있다.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과 VPP, 어떤 관계가 있나?]

분산에너지법은 공포일로부터 1년이 지 2024년 6월 14일부터 시행된다. 이를 통해 앞으로 분산에너지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적인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이때 주목해야 할 점은 분산에너지가 늘어날수록 전력 체계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중앙집중형 시스템은 모든 자원이 중앙에서 통합되어 관리되기 때문에 운영 측면에서 더욱 효율적이었다. 그러나 분산형 시스템으로 돌입하며 분산된 자원을 관리하기가 어려워졌고, 이는 전력 수급의 변동성을 키우는 원인이 되었다.

[자료 1. 가상발전소 개념도]

출처: 한국동서발전 공식 블로그

이에 대한 대안으로 분산에너지법상에서 ‘통합발전소(VPP, Virtual Power Plant)’로 지칭되는 개념이 등장했다. 통합발전소란 ICT*기술을 이용하여 분산된 에너지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력시장에서도 거래할 수 있는 가상의 발전소이다. 과거 대규모 발전소에서만 전력을 생산했던 것과 달리 오늘날에는 가정과 사업장에서도 소규모로 전력을 생산·저장·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에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자동차 등 분산된 소규모 에너지 자원을 통합, 하나의 발전소처럼 관리하는 것이 VPP의 역할이다.

*ICT : IT(Information Technology)에 '통신(Communication)'이 더해진 개념

 

[2024 한국전기산업대전 견학기]

이번 전기산업대전 현장에서는 다양한 분산에너지사업 중에서도 VPP와 관련된 기술을 선보이는 기업이 많았다. 그중 LG에너지솔루션의 사내 벤처 기업인 에이블과 한국남동발전을 소개하고자 한다.

[자료 2. 에이블의 VPP 사업]

출처 : 23기 차승연

에이블은 한국전력거래소에서 운영하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제도와 재생에너지 실시간 입찰 시범 사업 등 총 2가지 제도에 대한 참여 자격을 획득했다. 또 제주 지역에서 재생에너지 전력망 안정화를 위해 ESS를 연계한 VPP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전력 중개사업자가 ESS를 활용하여 발전량 예측과 전력망 안정화를 준비하는 곳은 에이블이 유일하다. 특히 재생에너지는 매일 발전되는 에너지양이 다르기 때문에 잉여 전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에이블은 재생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들에게 전력을 적기에 공급하여 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ESS를 설치하고 있다.

[자료 3. 한국남동발전의 VPP 사업]

출처: ⓒ23기 김용대

한국남동발전에서도 VPP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남동발전은 2021년 10월 6일,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에 참여 의사를 밝힌 바 있으며, 현재는 신재생에너지 플랫폼 ‘FIND’를 운영하고 있다. 해당 플랫폼에서는 ‘전력중개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전력중개사업자(한국남동발전)가 소규모 발전사업자들을 모아 발전량을 예측하여 제출하면 예측 정확도에 따라 전력중개소로부터 예측 정산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사업이다. 이외에도 한국남동발전은 실시간 기후변화와 발전소의 특정 정보를 바탕으로 한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빅데이터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이상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분산에너지에 적응하는 전력 체계를 위해]

분산에너지법이 시행되기까지 약 한 달 정도의 시간이 남았다. 탄소중립과 더불어 재생에너지가 확대되어야 하는 시점에서 기존보다 전력 수급의 문제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은 ‘통합발전소(VPP)’이며, 시스템이 복잡해질수록 ICT 기술의 필요성은 점차 증대될 것이다. 이에 VPP 시장은 분산에너지와 같이 성장하는 기조로서 전력 수급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고 있는 지금, 많은 기업에서 재생에너지의 발전량 예측을 위해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예측력이 높아질수록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에너지신산업에 뛰어들고 있다. 이처럼 현재 에너지 시장에는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앞으로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통해 보다 지능적인 전력 시스템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에 대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기사 더 알아보기

1. "2024년,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도입된다", 24기 박선혜, https://renewableenergyfollowers.tistory.com/4253

 

2024년,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도입된다

2024년,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도입된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박선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제정 이유] 현재 우리나라 전력시스템은 대규모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한

renewableenergyfollowers.org

2. "분산에너지법, 속 빈 강정이 되지 않으려면?", 23기 송시원, https://renewableenergyfollowers.tistory.com/4303

 

분산에너지법, 속 빈 강정이 되지 않으려면?

분산에너지법, 속 빈 강정이 되지 않으려면?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송시원 [2024년 6월 시행 예정인 분산에너지법, 순탄치만은 않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2024년 6월 시행을 앞두

renewableenergyfollowers.org


참고문헌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이란?]

1) 법무법인 세종,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 2023.06.15., https://www.shinkim.com/kor/media/newsletter/2127

2) SK E&S, “분산자원을 하나로 모으는 가상발전소 VPP”, 2023.11.20.,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6910701&memberNo=54083852&vType=VERTICAL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과 VPP, 어떤 관계가 있나?]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국가기후기술정책센터,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및통합발전소(VPP)관련 에너지산업·기술동향분석”, No. 51, 14pages, 2023

[2024 한국전기산업대전 견학기]

1) 김동욱, 한국남동발전, “KOEN 한국남동발전,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 본격 참여”, 2021.10.06., https://www.koenergy.kr/kosep/fr/bo/board/view.do?ntcobSeq=60887&menuCd=FN

2) BATTERY INSIDE, “ESS 기술력을 바탕으로 가상발전소 시장을 선도하는 First Mover가 되겠습니다”_사내 독립기업 에이블(AVEL) 인터뷰 2편”, 2024.2.1, https://inside.lgensol.com/2024/02/ess-%EA%B8%B0%EC%88%A0%EB%A0%A5%EC%9D%84-%EB%B0%94%ED%83%95%EC%9C%BC%EB%A1%9C-%EA%B0%80%EC%83%81%EB%B0%9C%EC%A0%84%EC%86%8C-%EC%8B%9C%EC%9E%A5%EC%9D%84-%EC%84%A0%EB%8F%84%ED%95%98%EB%8A%94-first-mov/

3) FIND(에너지플랫폼) 홈페이지, 한국남동발전, https://www.koenergy.kr/platform/management-1.do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