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태계13

4대강, 이대로 놔둬도 괜찮을까? 4대강, 이대로 놔둬도 괜찮을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이지원, 22기 유현서 [4대강 사업의 개요 및 추진 과정] 4대강 사업은 대한민국의 4대강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유역을 정비한 사업이다. 이는 녹색 뉴딜의 첫 번째 핵심사업으로 선정되었고, 사업개요는 2009년 4월 27일 국토해양부와 환경부의 보도자료 형태로 발표되었다. 4대강 사업은 수질관리, 수해 예방, 지역발전, 수변 복합공간조성을 목적으로 총사업비 22조 원을 들여 4대강 외에도 섬진강 및 지류에 보 16개, 댐 5개, 저수지 96개를 만들어 4년 만에 공사를 마무리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추진되었다. [자료 1. 개발 사업이 추진되는 4대강 수변지역. ] 출처 : 나무위키 특히 4대강 사업의 사업목적을 자세히 살펴보면 .. 2022. 11. 28.
다시 야생으로 돌아온 도시 다시 야생으로 돌아온 도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최정우 과연 훼손된 자연을 다시 회복시킬 수 있을까? 이에 대한 답변으로 새로운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재야생화 (Rewilding)’는 생태계의 자생력에 초점을 맞춘 생태계 보존 전략이다. 재야생화는 생태계에 혼란을 주는 인공 구조물을 해체하거나 산업으로 오염된 부지를 회복시키는 등 자연이 자생력을 회복하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토착종 복원에 중점을 두는 기존 생태 복원과는 차이가 있다. 이상적인 형태를 유지한 장소를 골라 울타리를 두르는 기존 전략과는 달리, 재야생화는 훼손된 지역에서 시작한다. 대부분 재야생화 프로젝트에서 인간은 훼손된 지역에 동물을 도입하는 작업만 하며, 주로 대형 포유류를 데려와 동물과 그 지역 생태계에게 후일을 맡긴 채 .. 2022. 10. 31.
청계천 복원 사업 : 도심 속 자연을 꿈꾸며 청계천 복원 사업 : 도심 속 자연을 꿈꾸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정재혁 청계천의 과거와 현재 대도시의 환경문제는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교통과 선업의 발전은 환경의 오염과 손실을 가져다줄 수밖에 없었고, 생태계가 파괴되어 그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환경문제 중에서도 수질오염이라든지 공기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의 직접적인 요인들도 있었지만. 자연에서 안식을 얻기를 원하고 여유를 가지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자연의 안식처를 제공할 수 없게 된 것 또한 간접적인 환경문제로 포함된다. 이를 타개하고자 2002년 이명박 서울특별시장 후보는 청계천 복원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서울특별시장으로 당선된 후 3800억.. 2022. 6. 27.
갯벌 빅데이터 센터, 효율적 갯벌 보전을 위한 첫 걸음 갯벌 빅데이터 센터, 효율적 갯벌 보전을 위한 첫 걸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조윤주 2021년 7월, 총 네 곳의 우리나라 갯벌(서천갯벌, 고창갯벌, 신안갯벌, 보성-순천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어 전세계적으로 한국의 갯벌의 생태적 가치를 널리 알리게 되었다. 우리나라 갯벌은 어민에게는 생업의 터전이자, 다양한 동식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하며,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는 등 생태 및 사회경제적으로 매우 가치가 크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김종성 서울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우리나라 갯벌의 탄소흡수 역할 및 기능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면서 갯벌의 탄소저장능력(블루카본)이 주목받게 되었다. 이에 갯벌과 연안습지가 탄소중립을 실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 2022. 1. 31.
새우시리즈1 : 블랙타이거새우가 쏘아올린 작은 공 새우시리즈1 : 블랙타이거새우가 쏘아올린 작은 공16기 이지윤, 16기 곽준우, 16기 변은경, 17기 이유림 새우 시리즈에서는 새우튀김, 새우구이 등 많은 음식으로 사랑받고 있는 새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집중 조명해 볼 것이다. 시리즈의 첫 주인공은 블랙타이거 새우인데, 지금부터 블랙타이거 새우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이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동남아시아와 동아프리카 등지가 원산지인 ‘블랙타이거 새우’의 열풍이 불고 있다. 블랙타이거 새우는 왕새우 종류 중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식용되는 종으로 2009년 기준 연간 770,000 톤이 식품으로 생산된다. 또한 무려 30cm에 달하는 몸길이와 300g의 몸무게 덕분에 ‘새우의 왕’이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 2020.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