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복원2 [취재] 1년 6개월이 지나, 다시 방문한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현장 1년 6개월이 지나, 다시 방문한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현장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작년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에서 목격한 문제점[자료 1. 작년에 작성한 굴포천 생태하천복원사업 기사]출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지난 2023년 5월 29일, ‘생태하천복원의 명(明)과 암(暗)’이라는 제목으로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대상으로 취재 기사를 작성했다. 본 사업은 기존에 주차장으로 활용되었던 복개천을 드러내어 다시 하천으로 만드는 사업이다. ‘복개’라는 단어는 일상생활에서 듣기는 어려운데, ‘복개’란 자연적으로 흐르는 하천을 매립 또는 지상 인프라를 이용해 숨기는 것을 말하며, 이렇게 복개한 하천을 복개천(覆蓋川)이라고 한다.취재 당시, 부평구는 해당 사업을 진행하면서 발생할 .. 2024. 10. 24. 간척에서 역간척으로.. 간척에서 역간척으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오상은 간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간척은 얕은 바다를 육지로 활용하기 위해 인공제방을 쌓고 해수를 퍼내며 일부분을 인공호수로 만들어 땅을 고르는 작업을 말한다. 간척지는 본래 바다 또는 하천이었으나 육지로 변경시킨 땅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간척 사업으로는 새만금 간척 사업이 있다. 새만금 간척 사업은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군산시 비응도동부터 고군산군도의 신시도를 거쳐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까지 총 33km 에 이르는 새만금 방조제를 건설하고 총 409㎢ 면적의 간척지를 조성하여, 글로벌 자유무역 중심지로 개발하는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 현재 새만금 기본계획(MP)에 따라 용지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새만금 사업 시행 당시 여러 환경단체는 개발로.. 2023. 6.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