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소연료전지13

수소를 사오면 해결된다?! 수소를 사오면 해결된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이지윤 수소연료전지의 붐 수소 연료의 붐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을까? 조지 부시 미국 전 대통령이 2003년 신년사에서 수소자동차를 언급하면서부터이다. 너도나도 수소를 새로운 대체 에너지로 주목을 하면서부터 그야말로 연료전지 열풍이 불기 시작하였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전기와 물을 생산하는 기기이며 원래 잠수함이나 우주선 같은 곳에 사용되었던 전지이다. 우주선에 수소와 산소를 싣고 가 우주에서 물과 동력을 얻는데 사용되었다. 그 후로 연료전지는 지금까지도 계속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우리가 기대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한 분야이다. 한국도 지금 한창 수소연료전지의 붐이 일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의 부산물! 한국에서는 수소 연.. 2020. 12. 28.
수소연료전지 빛을 보는 이유: 2020년 수소연료전지 사업 전망과 해결점 수소연료전지 빛을 보는 이유: 2020년 수소연료전지 사업 전망과 해결점 17기 강하은, 16기 김미림, 17기 손예지 우리 지구를 살릴 수 있는 대체 에너지, ‘수소에너지’ 인류의 산업 활동에 필수적인 에너지는 그 사용량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구상의 화석연료 자원은 한정적이며, 자원의 생성 속도보다 10만 배 이상 빠른 소비 속도로 인해 세계 에너지 시장은 점차적으로 불안정해지고 있다. [자료 1. 전 세계인이 특정국가처럼 자원 소비할 경우 필요한 지구 개수 ] 출처 : 지구생태발자국네트워크 지구생태발자국네트워크(이하 GFN)에서는 전 세계인이 특정 국가만큼 자원을 사용하게 될 경우 필요한 지구의 개수를 나타낸 지표를 만들었다. 그중 자원 소비가 가장 큰 나라는 호주이다. GFN는 “전 .. 2020. 5. 25.
‘이동식 공기청정기‘로 불리는 수소차? 자세한 내막을 파헤쳐 보자. ‘이동식 공기청정기‘로 불리는 수소차? 자세한 내막을 파헤쳐 보자. 16기 이지윤 지구촌 환경오염의 심각성으로 인해 국가적으로 탈석탄, 탈석유, 그리고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 산업 및 경제 시장이 새롭게 개편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대표적인 예시로 '수소경제'를 들 수 있다. 수소경제란 기존의 화석연료 에너지 산업에서 벗어나 수소를 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경제 산업 시스템을 일컫는 말이다. 수소경제를 이끌어가기 위한 가장 중요한 키포인트는 '수소차'다. [그림 1. 수소경제 개념도]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정책위키 수소차 상용화의 성공으로 수소 에너지원의 안정성을 증명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자동차·조선·석유화학 사업에까지 활용 범위를 넓힌다면 이는 .. 2019. 9. 9.
수소저장합금이 수소 경제 시대를 앞당길까? 수소저장합금이 수소 경제 시대를 앞당길까? 흔들리는 국제 유가, 그리고 동시에 흔들리는 세계의 경제. 이러한 상황 속에 세계 각국이 해결책으로서 ‘수소에너지’에 주목하고 있다. 수소는 물을 통해 얻을 수 있어 어느 곳에서나 쉽게 얻을 수 있는 평등한 자원이며, 공기 중에 산소와 결합하면서 연소하여 물로 변화하기 때문에 공해 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 에너지에 속한다. 또한 연료전지 등을 통해 쉽게 전기로 환원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에너지로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수소를 저장하는 다양한 방법 수소는 넓은 연소한계와 미소한 착화에너지 그리고 매우 빠른 연소속도로 인한 높은 폭발위험성 때문에 저장 및 수송 기술이 필수적이다. 현재까지는 기체 상태로 압력을 주어 탱.. 2018. 3. 17.
1 가구, 1 수소전기차의 시작점 - 비백금계촉매 1 가구, 1 수소전기차의 시작점 - 비백금계촉매 사진1. 현대 자동차 - 수소차의 자율주행 [출처: 한국경제(현대차제공)] 평창올림픽 그리고 수소차? 2018년 2월 9일 평창동계올림픽이 시작됐다. 선수들의 열정 가득한 땀방울이 빛날 시간이다. 평창올림픽의 또 다른 이름인 환경올림픽에서 빛나는 아이디어들도 찾을 수 있다. 특히 세계최초로 선보인 현대자동차의 수소차 자율주행은 서울~평창 구간 운행에 성공했다. 주행 중 공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자동차인 수소차가 가져올 무한한 발전은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한 가지 가장 중요한 문제가 떠오를 것이다. 가격이 비싸 보급이 어렵지는 않을까? 이번 기사에서 우리가 수소차는 비싸다고 생각하는 이유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연.. 2018.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