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소충전소14

음식물 쓰레기로 수소차를 충전한다고? 음식물 쓰레기로 수소차를 충전한다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김보연 2022년 4월 1일, 충북 충주에 지어진 바이오수소융복합 충전소가 문을 열었다. 이 충전소는 인근의 음식물 바이오에너지센터에서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고 충전하는 시설이다. 화석 에너지가 아닌 재생에너지의 한 종류인 바이오가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청정 수소를 생산하는 시설로 분류된다. 또한 이번 바이오수소융복합 충전소는 수소 충전뿐만 아니라 수소를 생산해 인근 수소충전소에 수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한국 최초의 ‘수소 마더 스테이션’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본 기사에서는 충주 바이오수소융복합 충전소의 원리와 특징, 앞으로의 기대효과와 타지역으로의 확대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음식물 쓰레기로 만드.. 2022. 6. 27.
배터리. 어디까지 왔으며 어디로 갈 것인가? 배터리. 어디까지 왔으며 어디로 갈 것인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이주선,황지영 , 21기 홍서현, 김수현, 박도현 배터리가 필요한 이유와 기본적인 배터리 소개 배터리 기술이 발전되기 전에는, 전기가 필요할 때 고정된 장소에서 전선을 통해 사용하는 것이 일상적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스마트폰, 노트북, 디지털카메라 등 ‘전기를 가지고 다니는 것’은 필수이다. 심지어 환경을 위해 자동차까지도 연료 대신 전기를 통해 운행하도록 기술개발에 힘쓰는 시대가 왔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은 배터리이다. 사물인터넷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전선 없이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형상이 자유롭고 용량이 큰 배터리 개발이 필수적이다. [자료 1. 배터리 ] 출처 :pixabay 전지라고 불리는 에너지 저장 장치는.. 2022. 4. 25.
한국 수소승용차 점유율 세계 1위, 기뻐만 할 수 없는 이유 한국 수소승용차 점유율 세계 1위, 기뻐만 할 수 없는 이유 14기 윤재성,18기 김도희, 18기 오지훈 현재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세계 각국은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IPCC(기후변화에 대한 정부 간 협의체)에 따르면 2017년 수송 부문이 차지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비중은 전체의 13%로 전체 3번째로 많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켰다고 밝혔다. 그에 따라 세계 각국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등을 통해 자동차 기업들에게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이에 세계 주요 자동차 업계는 EV(전기차)에 대한 투자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우선 기사에 들어가기 앞서 전기차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자면, BEV(배터리 전기자동차)는 EV.. 2020. 9. 6.
친환경에너지가 왜 환경성에 대해 지적 받는가? 친환경에너지가 왜 환경성에 대해 지적 받는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3기 윤지혜 14기 윤재성 요즘은 태양광 패널이나 풍력 발전기를 평상시에 많이 접할 수 있을 정도로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화석자원의 고갈과 환경파괴 등의 문제로 화석자원의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자는 국제적인 움직임에 우리나라도 힘껏 따라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친환경에너지라고 불리는 재생에너지에 대하여 왜 환경훼손, 온실가스 배출이라는 수식어들이 따라 붙고 있는 것일까? 실제 전북지역 태양광발전소 설치로 인한 산림훼손은 해가 갈 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의 민원이 폭주하고 마을에서 태양광발전은, 말 그대로 골칫거리가 되었다. [자료] 전북지역 태양광발전.. 2019. 11. 25.
갑자기 분위기 수소라이프 갑자기 분위기 수소라이프 1. 수소경제 로드맵이란? 그림 1. 수소경제 로드맵출처 : 뉴시스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 경제 선도국가로 도약”,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두 축으로 하여 수소 경제를 선도하겠다는 다짐과 함께 지난 2019년 1월 16일 정부는 울산시청에서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많은 선진국에서 이미 수소 경제 경쟁을 시작했지만,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한국 또한 충분히 경쟁해볼 만한 기술력과 산업기반 경험이 있다고 여기고 생산, 저장ㆍ운송, 수송, 발전 4가지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로드맵을 준비하였다고 한다. 경제적이고 더 친환경적이며 안전한 수소 경제 시장을 만들며 이를 바탕으로 수소로써 세계시장이 1등이 되겠다는 목표를 그리고 있다. 정부는 현재까지 수소차의 보급이 확대되고.. 2019. 3. 5.
수소에너지, 새로운 희망? 새로운 대체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에너지! 연소시에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공해물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청정에너지로 주목을 많이 받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수소에너지에 대한 기술개발도 중요하지만 경제성, 관련 법제 등에 대한 다층적 분석이 필요한 시기이다. 수소는 우주 질량의 75%를 차지하고, 사용한 후에는 물로 재생될 수 있기 때문에 무한한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왜 아직까지는 가격이 비쌀까? 수소연료의 평균 공급가격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1㎏당 평균가격은 6000~8000원선이다. 휘발유보다는 저렴하지만 경유보다는 조금 비싼 수준이다. 수소는 자연계에 순수한 원소 형태로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분자와 물질과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연료전지에 필요한 순수한 수소를 생.. 2018.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