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재생28

에너지 민주주의, 21세기의 시민 혁명 에너지 민주주의, 21세기의 시민 혁명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정환교 기후 변화와 에너지 위기,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현실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와 에너지 위기가 심화되면서, 기존의 중앙집중식 에너지 시스템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에너지 비용 상승, 화석연료 고갈, 그리고 탄소 배출 등으로 인한 환경 파괴는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현실이 됐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으로 떠오른 것이 바로 에너지 민주주의다. 이는 단순한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가 아니라, 시미니 주도하는 새로운 사회적 혁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에너지 민주주의, 시민이 주도하는 에너지 혁명의 물결[자료 1. 태양광 발전소]출처 : 경남햇빛발전협동조합이러한 절박한 상황 속에서, 에너지 민주주의가.. 2025. 3. 31.
[취재] 과연 수소 모빌리티 시대는 도래할 것인가? [취재] 과연 수소 모빌리티 시대는 도래할 것인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이대현 2025 한국전기화학회 수소 산업기술 심포지엄[자료1. 한국전기화학회 수소 산업기술 심포지엄 포스터]출처: 한국전기화학회한국전기화학회 주체로 2025 수소 산업기술 심포지엄이 지난 2월 21일 금요일 서초 aT센터 5층 그랜드홀에서 오전 10시에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현대자동차의 수소 기술 개발 현황을 시작으로, 두산퓨얼셀, 삼성물산, 포스코홀딩스 등의 산업 동향을 공유하는 세션이 진행됐다. 이후 삼성전기, SK에코플랜트, 아크로랩스 등이 연료전지 및 수전해 기술 개발 및 시장 상황을 설명했으며, 마지막으로 LT메탈, 한국유미코어촉매, 케이세라셀 등의 소재 부품 기업들이 수소 밸류체인 구축 및 소재 국산화 전.. 2025. 3. 31.
[Remake] 버려지는 에너지를 잡아라: 에너지 하베스팅의 혁신과 가능성 [Remake] 버려지는 에너지를 잡아라: 에너지 하베스팅의 혁신과 가능성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윤영서 23기 김용대 선배님의 "에너지도 재활용이 가능하다고요? 버려지는 것에 생명을 불어넣는 '에너지 하베스팅' " 기사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주신 김용대님께 감사드립니다. 에너지 하베스팅의 원리와 현재 기술적 성과에너지 하베스팅은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에너지를 수집해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술로, 최근 몇 년간 다양한 산업과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의 가장 큰 장점은 외부 전원이나 배터리 교체 없이도 주변 환경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활용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기후 변화와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2024. 12. 29.
더 커져서 돌아온다... "2023 제 20회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더 커져서 돌아온다... "2023 제 20회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진수 [자료 1. 2023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로고] 출처 :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2023년 제 20회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 4월 12일 개최 국내 최대, 아시아 3대, 세계 10대 신재생 전문 전시회인 2023 제 20회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2023 International Green Energy Expo & Conference)가 4월 12일부터 14일까지 대구 EXCO 동관 및 서관 전시장에서 3일간 개최된다. 신재생 에너지 분야 주요 4대 협회(한국 신재생에너지협회, 한국 태양광산업협회, 한국 풍력산업협회, 한국 수소산업협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유일한 전시회다. 진시분야는 다음과 같다. 태양광 .. 2023. 2. 28.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지난 정부와 정책 기조가 완전히 뒤집히다!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지난 정부와 정책 기조가 완전히 뒤집히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진수 [전력수급기본계획이란] 전력수급기본계획이란 향후 15년간의 전력수급의 기본방향, 전력수급의 장기전망 등 전력정책의 기본적인 방향과 내용을 담는 계획을 말한다. 또한.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해 전력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전력설비와 전원구성을 설계하기 위한 것으로 2년 단위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수립한다.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요약정리]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전기본)은 작년 8월 이미 실무안에서 공개된 것처럼 전원믹스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줄이고 원자력발전의 비중을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다. [자료 1. 10차 전기본의 기본방향]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36년.. 2023. 2. 20.
산에서 바다로, 바다에서 하늘로! 산에서 바다로, 바다에서 하늘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이태환, 22기 류나연 풍력 발전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흔히 대관령의 산림이나 제주도 해안가에 설치된 거대한 크기의 기둥과 날개를 가장 먼저 떠올릴 것이다. 그런데 최근 대중들이 쉽게 떠올리는 풍력 발전의 틀을 깬 발전 방식이 관심을 끌고 있다. 산에서 바다로, 이제는 바다에서 하늘로 풍력 발전은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자료 1. ALTAEROS 사의 공중 풍력 발전기] 출처 : ALTAEROS 홈페이지 [육상 풍력 발전과 해상 풍력 발전의 한계] 공중 풍력 발전이 등장한 배경에는 기존 육상 풍력 발전과 해상 풍력 발전이 갖는 한계가 있다. 먼저 육상 풍력 발전이 갖는 한계는 자명하다. 육상 풍력 발전의 제한 요소.. 2023. 1. 30.
당월 청구요금 : 80,000 당월 청구요금 : 80,000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류나연 [ 전기 요금 8만원 시대 ] [자료 1. 전기요금인상과 관련기사들] 출처 : 뉴시스, 머니S 한국전력(이하 한전)이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은 한 번쯤 접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먼저, SMP(System Marginal Price, 계통한계가격, 전력도매가격)는 우리나라 전력시장에서 전기가 거래되는 가격이다. 한전이 발전회사들에게 1kWh(킬로와트시)당 구매하는 전력가격을 SMP(계통한계가격)라고 말한다. 한전의 누적된 대규모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킬로와트시(kWh)당 261원 수준의 전기요금 인상이 필요하다. 4인 가구가 사용하는 월평균 전력사용량(307kWh)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한 가구당 8만127원의 전기요금이 인상돼야.. 2022. 10. 31.
탈원전vs친원전?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 탈원전vs친원전?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진수, 20기 이주선 [자료 1.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출처 : 이넷뉴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 개요 2022년 8월 30일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자문기구인 총괄분과 위원회는 2022년부터 2036년까지 15년의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을 발표하였다. 2020년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발표한 뒤로 2년 만이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이란, 전기사업법 제25조에 따라 전력 수급의 안정을 위해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국가 전체 전력 설비와 전원 구성을 설계하는 중장기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8월에 발표한 실무안을 기반으로 후속 절차를 진행한 후 올해 말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할 예정.. 2022.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