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114

새어 나가는 에너지를 잡아라! : EMS(Energy Management System) 새어 나가는 에너지를 잡아라! : EMS(Energy Management System) 15기 박정우 급격한 산업화와 인구증가로 전 세계의 에너지 사용량은 지난 40년간 2배 이상 증가했다. (KISTEP, 2015).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에너지 사용량이 12배 가까이 증가하여 OECD 국가의 에너지 사용량 평균 증가율인 1.4 배를 크게 상회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 대부분은 석탄, 천연가스와 같이 대부분 재생이 불가능한 소모성 자원인 화석연료로부터 생산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은 피할 수 없는 전 세계적인 추세이며, 그 방법이 EMS (Energy Management.. 2020. 5. 25.
독도는 우리 땅, 하이드레이트는 우리 자원! 독도는 우리 땅, 하이드레이트는 우리 자원! 새로운 자원으로서의 하이드레이트, 국내 기술은 얼마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변홍균, 17기 백도학 하이드레이트는 석유, 석탄과 같이 누구나 아는 자원은 아니지만, 그 이름을 안다면 자연스레 독도에 매장되어 있다는 사실을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일본이 독도에 매장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은 과거부터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며, 지난 3월 일본 교과서에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한 내용을 승인한 사례까지 한·일간 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재생에너지가 갖는 한계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어져 왔으며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에 대한 갈망이 세계를 ‘에너지전환’으로의 길로 이끌었다. 대한민국.. 2020. 4. 27.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제도에 따른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산업 전망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제도에 따른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산업 전망 16기 김지현 2020년,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제도 시행 올해부터 제로에너지빌딩 공공 건축물 의무화 제도가 시행되었다. 제로에너지 빌딩이란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을 만드는 것이다. 건축물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며 지속적해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지 않을 경우, 건축물과 에너지 사용 설비가 계속해서 증가한다. 이에 최근 건축물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건물인 제로에너지 빌딩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자료1.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로드맵] 출처 : 제로에너지.. 2020. 4. 27.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환경 사업의 변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환경 사업의 변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주형준 출처: 연합뉴스 2020년 경자년(庚子年, 흰색 쥐의 해)은 다른 새해들과 달리 모두에게 절망을 안겨주었다. 중국 우한 시에서 시작된 질병인 코로나 바이러스는 1월에는 아시아 전역에, 2월부터는 세계 전체로 확산되며 현 시점인 4월까지 전 세계 인구를 심각한 위기 속으로 내몰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인 WHO(World Health Organization)는 3월에 코로나 바이러스를 펜데믹(Pandemic)으로 지정하여 현재 시점인 4월까지 많은 사람들의 일상을 바꾸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각 가정에서는 잠깐의 외출조차 불필요할 경우 삼가는 모습을 보이고 집 안에서의 .. 2020. 4. 27.
2019년 에너지, 2020년의 전화위복(轉禍爲福)을 노려라. 2019년의 에너지, 2020년 전화위복(轉禍爲福)을 노려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변홍균, 15기 김민서, 15기 나혜인 재생에너지 3020을 필두로 진행되고 있는 한국의 에너지전환은 재생에너지원 확대, 발전원 믹스를 통한 에너지원 다변화 등 많은 성과를 이루었지만 여전히 크고 작은 문제들로 인해 갈 길은 멀고 험하다. 2020년을 맞이하여 2019년 에너지 산업에서 있었던 주요 정책과 사건들을 살펴보고 2020년의 에너지 산업은 어떻게 될 것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1.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2019년 1월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이 발표되었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비전은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의 도약이다. 수소차, 연료전지 세계시장 점유율 1위 달성과 그린 수소 산유국으로.. 2020. 1. 27.
슈퍼 그리드(Super Grid)를 통해 다가가는, 한·중·일의 에너지전환은? 슈퍼 그리드(Super Grid)를 통해 다가가는, 한·중·일의 에너지전환은? 14기 변홍균, 15기 나혜인 다가오는 10월 23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세계재생에너지총회가 개최된다. 올해로 8회를 맞이하는 세계 재생에너지총회는 재생에너지 분야 국제 비영리 단체인 REN21과 개최국 정부가 주최하는 국제 재생에너지 컨퍼런스로, 이번 KIREC의 주요 목적은 한국의 경험을 반영한 재생에너지 확산 모델을 전파하여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에너지전환을 선도하는 국가로의 위상을 알리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은 에너지전환은 2017년 ‘재생에너지 3020’을 바탕으로 원자력, 석탄 화력의 비율을 줄이고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며 신규 설비용량의 95% 이상을 태양광, 풍력과 .. 2019. 10. 11.
알고 보면 매력덩어리, 2019 서울 세계재생에너지총회 [KIREC Seoul 2019] 파헤치기 알고 보면 매력덩어리, 2019 서울 세계재생에너지총회 [KIREC Seoul 2019] 파헤치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박진감 [자료 1. KIREC 마크] 출처 : KIREC 2019 공식 홈페이지 날이 갈수록 극심해지는 기후변화 문제. 전세계는 해결책으로 ‘재생가능에너지’를 주목하고 있다. 이처럼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재생가능에너지를 통한 해결방안, 기술공유의 장으로 ‘2019 세계서울재생에너지총회(KIREC Seoul 2019, 이하 KIREC)’가 23일 개최된다. 수많은 에너지 분야 행사 중에서도 깊은 역사와 탄탄한 기반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KIREC 행사를 이번 기사를 통해 낱낱이 파헤쳐보고자 한다. 1. 주최기관 REN21은 어떤 곳일까? [자료 2. REN21 공식 마크.. 2019. 10. 8.
에너지 효율을 위한 밑바탕, “EERS제도” 에너지 효율을 위한 밑바탕, “EERS제도” 14기 이한주 15기 김성렬 15기 김혜림 16기 변은경 16기 임상현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에서의 중요성 강조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관심 집중도가 낮은 에너지 효율 수요보다 공급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 미국/유럽의 경우 전력 및 가스 사업자에 대한 에너지 효율 향상 의무화 시행 비중 높아 최근 정부는 3차 에너지기본계획을 발표 이후, 에너지효율 혁신, 재생에너지산업 육성 등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로의 전환 정책에 속도를 높이고 있으며 9차 전력수급계획에서도 수요 감축 자원의 지속적인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효율 향상 중심의 에너지 수요관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런 추세에서 지속 가능하고 안정적인 전력수급 균형을 위해서.. 2019.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