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88 기후악당이라 불리는 한국, 이제는 적극적인 대응을! 기후악당이라 불리는 한국, 이제는 적극적인 대응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유현서 서론) 기후변화 심각성 인지 상황 우리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얼마나 인지하고 있을까? 심각하다고는 알고 있지만 정확한 수치로는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또한 알고 있어도 대응해야 할 방도를 찾지 못해 무관심하게 두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자료1. 세계경제포럼 상위 10대 글로벌 리스크] 출처: 세계경제포럼 위의 자료는 세계경제포럼의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로, 향후 10년간 인류에게 다가올 위험요인 1위는 기후위기, 2위는 기후 위기 대응 실패라는 것을 보여준다. 인간은 기후위기에 잘 대응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미래의 지구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온난화 시나리오를 .. 2023. 2. 20. 제주도에서 전기가 남아서 버린다고요? 제주도에서 전기가 남아서 버린다고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진수, 20기 이주선 신재생에너지 출력제한 개념과 발생 이유 [자료 1. 제주도] 출처 : 네이버블로그 신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이란 전력 공급과잉, 즉 발전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전력수급 불일치로 인한 계통 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해 한국전력이 전력거래소를 통해 발전사업자에게 발전기 출력량을 제어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조치다. 현재 전력계통에서는 출력을 조절하기 어려운 원자력·석탄 등 대형 발전소의 가동이 우선 유지되고 날씨나 계절적 영향을 많이 받는 태양광·풍력발전이 출력제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지면서 출력제한 조치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출력제한 명령은 2015년 3회를 시작으로 2017년 14회.. 2022. 11. 28. 전 세계가 외치는 RE100, 우리나라는 재생 에너지 부족? 전 세계가 외치는 RE100, 우리나라는 재생 에너지 부족?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정형인 [국내 대기업의 RE100 선언] [자료1. 국내 대기업들의 전력 사용량] 출처 : 이코리아 지난 9월 15일, 국내 대기업 중 하나인 삼성전자가 경영 패러다임을 친환경으로 전환하는 ‘신환경경영전략’을 발표했다. 이와 동시에 ‘RE 100’에도 가입하며, 본격적으로 국내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 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국내 대기업 중에서도 전력 사용량의 선두에 있기에 국제사회에서도 이러한 소식을 굉장히 반기고 있다. [우리나라 재생 에너지 현황] 사실 우리나라는 RE100으로의 발걸음이 해외와 비교하면 매우 느린 편이다. 지난 6월 23일 SK 증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 10. 31. 직접 PPA 1달, 그 성적은? 직접 PPA 1달, 그 성적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박주은, 김혜윤 [RE100 캠페인 참여 요구] [자료 1. RE100 참여기업 재생에너지 현황] 출처 : 전기 저널 탄소중립에 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국내 기업들도 이에 동참하여 재생에너지 발전 전력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RE100 캠페인에 참여하는 기업은 세계적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RE100 캠페인은 50년까지 사용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 글로벌 자발적 캠페인이다. 해외에서는 애플, 구글 등 380여 개 기업이 이미 참여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22개 사가 가입되어있다. 즉, 우리 기업들은 RE100 참여를 요구받는 상황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제조기업 300개 사(대기업 80개.. 2022. 10. 31. [ENTECH 후기] 전력거래소, 친환경 미래를 선도하는 전력비즈니스 융합플랫폼 [ENTECH 후기] 전력거래소, 친환경 미래를 선도하는 전력비즈니스 융합플랫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진수, 22기 박주은 [전력거래소가 하는 일] 전력시장은 소매와 도매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전력공사가 가정과 전력을 거래하는 것을 소매라고 하고, 기업의 전력을 한국전력공사와 거래하는 것을 도매라고 한다. 전력거래소는 전력시장을 운영하는 역할을 한다. 전력은 발전소, 송전망을 거쳐 각 가정으로 공급된다. 배전망인 전봇대, 발전소 관리는 한국전력공사에서 진행하고 송전망 운영과 발전을 조절하는 기계적인 부분은 전력거래소에서 진행한다. 즉, 전력계통 운영과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및 총괄지원의 역할을 한다. [자료 1. 전력거래소의 주요역할] 출처 : 전력거래소 [전력거래소 사업 소개] 전력.. 2022. 9. 12. 새로운 에너지 수급 시스템, 분산에너지를 아시나요? 새로운 에너지 수급 시스템, 분산에너지를 아시나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정형인 [산업부와 제주도의 분산에너지 추진] 지난 4월 12일 제주시 CFI 에너지 미래관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제주도는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그동안 제주지역에서는 전력 수요보다 과도한 재생에너지 공급으로 인한 출력 제어가 빈번히 이루어져 왔다. 출력 제어란 재생에너지의 발전시설에서 생산하는 전력량이 수요량보다 많을 경우 전력계통의 안정화를 위해 강제로 발전을 중단하는 조치이다. 즉, 이 조치가 빈번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은 수요예측이 제대로 되지 않고, 무조건적인 보급 확대에만 주력했다는 증거이다. 지금부터 문제 해결방안인 분산에너지와 이를 이용한 제주도의 기본계획을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분산에너.. 2022. 5. 30. 재생에너지 발전단가와 그리드 패리티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와 그리드 패리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이주선 재생에너지 발전비용 석탄 화력 발전보다 저렴해질 것이다. 국내 전기 생산 1위는 여전히 석탄화력발전이지만, 재생에너지 발전비용이 석탄화력발전보다 저렴해 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국제에너지컨설팅회사인 우드 매킨지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재생에너지 비용은 2030년까지 석탄화력발전보다 23% 저렴해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또한 인도의 경우 2030년까지 56%나 싸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인도의 경우 낮은 건설비용과 저렴한 노동력, 양질의 재생에너지원 등의 이유가 있었다. 도대체 어떤 이유로 재생에너지 발전 비용이 석탄 화력 발전보다 저렴해질 예정이며 왜 석탄 화력 발전이 더 저렴했을까? 그 이유는 바로, 부품 가격의 하락과 효율.. 2022. 1. 31. 한국의 지리적 한계와 ESS 한국의 지리적 한계와 ESS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오지훈 한국을 이야기할 때 지리적 한계는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기업의 가치평가 이루어질 때도 지리적 한계는 국내 기업에게 붙는 꼬리표들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지리적 특징과 한계는 무엇일까? 한국의 경우, 북위 33~43도, 동경 124~132도의 단일 기후대에 위치하며 국토 면적은 100,364㎢으로 상대적으로 좁다. 또한 북쪽을 제외하고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였고 영토의 경우 평지가 30%, 산지가 70%로 구성되었다. 산지의 경우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산은 15%, 500m 이하의 산은 65% 이상을 차지하며,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비대칭적 지형을 가졌다. 이러한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한국은 국토면.. 2021. 12. 27. 이전 1 2 3 4 5 6 7 8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