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정에너지9

다가오는 美 대선, 앞으로의 미국 탄소 정책은? 다가오는 美 대선, 앞으로의 미국 탄소 정책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진희윤 [다가오는 미국 대선]미국 대선이 4개월 남칫 남았다. 대선의 결과에 따라, 앞으로의 미국의 환경 정책이 어떻게 달라질지는 최대 관심사 중 하나이다. 환경 분야가 두 후보가 가장 대립각을 세우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의 바이든 정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인 IRA를 앞세워 공격적인 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다. 파리기후협약 즉시 복귀, 2050년 이전 탄소배출 순제로 달성, 2035년 전력 부문 탄소배출 제로 달성, 캘리포니아식 엄격한 연비규제 도입 등이다. 반면, 트럼프 후보는 IRA를 속임수라고 지적하며, 파리기후협정을 탈퇴하겠다는 발언을 하는 등 기후 정책의 퇴보를 예고했다. 다가오는 미국 대선, 앞으로 미국의 탄.. 2024. 7. 31.
수소 경제를 이끌 리더가 되어라 수소 경제를 이끌 리더가 되어라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한세민, 24기 이지혜, 25기 남궁성, 25기 이예영 [해외의 영향을 역사적으로 많이 받아온 우리나라]우리나라 경제성장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막대하다. 무역의존도만 놓고 봐도 이를 알 수 있는데, 최근 5년간 한국의 무역의존도는 60% 안팎을 유지하다 2022년 기준 84.56%로 크게 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공급망의 위기가 장기화됨에 따라 정부의 기민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고,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각 경제 관련 부처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자료 1. 전세계 수출량 5위인 대한민국] 출처 : K-stat공급망 문제는 에너지 분야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가 .. 2024. 7. 25.
[Remake]청정에너지를 위한 혼소발전, 정말 탄소 감축에 도움이 될까? [Remake] 청정에너지를 위한 혼소발전, 정말 탄소 감축에 도움이 될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노정연 [혼소발전, 석탄발전을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자료 1. 수소발전 입찰시장 홈페이지]출처: 더THE인더스트리 신문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에너지 구조를 바꾸기 위한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재생에너지에서 무탄소에너지로 탄소중립의 목표가 확장되면서 중단했던 원전이 재가동되었고, 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CCUS), 암모니아 수소 혼소발전 등 여러 기술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맞춰 지난 5월 2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세계 최초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한다고 밝혔다. RE100을 넘어, CF100을 통해 무탄소전원을 확대하고 온실가스 감.. 2024. 6. 30.
탄소와의 전쟁, CCUS 탄소와의 전쟁, CCUS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김혜윤, 23기 진희윤 [탄소 배출로 골치 아픈 주요국]최근 고금리, 고물가로 사업 환경이 악화됐지만, 전 세계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2015년 프랑스 파리에 모여 산업화 이전보다 1.5 ℃로 온난화를 제한하는 파리 기후 협약을 맺었다. [자료 1. 미국의 탄소배출 추이]출처 : 글로벌 탄소 프로젝트중국 다음으로 두 번째로 가장 큰 탄소 배출량을 기록한 미국은 2022년에 비해 2023년 탄소 배출량이 3% 감소했다. 하지만 이는 경제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석탄 사용이 장기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이 밖에도 최신 데이터에서 Gas 부문을 제외한 Oil, Coal 부문에서 탄소 배출량이 하향 궤적.. 2024. 5. 1.
그린 수소의 잔혹 동화, 그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에 대해 그린 수소의 잔혹 동화, 그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에 대해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서정 [내러티브와 넘버스에 대해 아시나요?] 뉴욕 경영대 교수인 애스워드 다모다란 교수의 저서 '내러티브&넘버스(Narrative&Numbers)'에는 제목 그대로 내러티브와 넘버스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내러티브의 사전적 의미는 '실화나 허구의 사건들을 묘사하는 것, 그 자체뿐만 아니라 이야기를 조직하고 전개하기 위해 이용되는 각종 전략이나 형식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한다. 쉽게 말해, 내러티브는 사업이나 기술이 가지는 스토리 인 셈이다. 잘 만들어진 스토리는 청자의 뇌에 화학적, 전기적으로 자극을 주며 사람을 끌어당긴다. 그러나 어느샌가 진실인지 허구인지 모를 공상의 세계에 빠져들게 만들 수 있다는 단점이 존.. 2023. 3. 15.
포항 지진 발생 이후 5년, 지열 발전소의 현주소는? 포항 지진 발생 이후 5년, 지열 발전소의 현주소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권도현 포항지진 발생 후 5년 포항지진이 발생한 지 햇수로 5년 포항지진의 원인이라고 밝혀진 포항 지열발전소는 포항지진 이후 완전히 가동이 중단되었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 지진 전문가들은 규모 5.5의 포항지진이 예측 가능했다고 설명한다. 고려대학교 이진한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 물 주입 시 발생한 미소지진 자료를 과학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했다면 예측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또한 포항 지진에 대한 피해 재발을 방지하고자 이에 따라 경북 포항에 지열지진연구센터가 들어선다. [자료 1. 포항지진 이후 운영이 중단된 포항 지열발전소] 출처: 한겨레 신문 포항 지열 지진 연구센터 내년 정부 예산안에는 .. 2021. 11. 29.
바다가 주는 무한한 에너지 '해수전지' 바다가 주는 무한한 에너지 '해수전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백도학 단원 해수전지란 무엇인가? 국내에서 배터리의 중요성이 계속해서 커지며 에너지 저장 시스템 시장의 규모가 약 4조 원에 가까이 가고 있다. 흔히 ‘건전지’라고 불리는 1차 전지는 수명이 다하면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극복을 위해 2차 전지, 리튬이온배터리가 등장한다. 이는 방전과 충전을 반복할 수 있어 긴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지구 상에 존재하는 금속 중에서 가장 가벼운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 역시도 폭발과 화재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한 신개념 전지가 바로 ‘해수전지’이다. [해수전지의 원리] 출처: UNIST 해수전지는 海水(해수), 즉 바다의 물을 사용하는 전지이다. 바닷물.. 2020. 3. 23.
수소에너지, 새로운 희망? 새로운 대체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에너지! 연소시에 극소량의 질소와 물만 생성되고 공해물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청정에너지로 주목을 많이 받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수소에너지에 대한 기술개발도 중요하지만 경제성, 관련 법제 등에 대한 다층적 분석이 필요한 시기이다. 수소는 우주 질량의 75%를 차지하고, 사용한 후에는 물로 재생될 수 있기 때문에 무한한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왜 아직까지는 가격이 비쌀까? 수소연료의 평균 공급가격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1㎏당 평균가격은 6000~8000원선이다. 휘발유보다는 저렴하지만 경유보다는 조금 비싼 수준이다. 수소는 자연계에 순수한 원소 형태로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분자와 물질과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연료전지에 필요한 순수한 수소를 생.. 2018.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