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슬라14

[배터:Reader] 국가권력의 TESLA, 일론 머스크 읽기 [배터:Reader] 국가권력의 TESLA, 일론 머스크 읽기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강민석, 김대건, 류호용 국가권력을 선택하고 쟁취한 일론 머스크 하이 리스크, 하이리턴(High Risk, High Return)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매우 위험한 투자, 도박(Gamble)을 의미한다. 2024년 한 해에 이를 가장 표현한, 성공적인 인물은 연말의 주식시장을 불태우고 있는 현 TESLA 및 스페이스X CEO, 일론 머스크(Elon Musk)일 것이다. 그는 전 세계가 주목하는 2024 미국 대선에서, 45대 미국 대통령을 지낸 도널드 트럼프를 직접적으로 지지 및 대폭 투자를 실행하는 ‘하이 리스크’를 바탕으로, 그를 47대 대통령으로 당선시키는데 이바지했다. [자료 1. 트.. 2024. 12. 30.
압도적 세계 1위 배터리, CATL 압도적 세계 1위 배터리, CATL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백선우 배터리 전국시대 속 CATL세계 최대 전기자동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CATL(닝더스다이)은 중국 푸젠성 닝더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2011년 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인 쩡위췬이 세운 CATL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급속히 성장했는데, 그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정책적 혜택이 있었다. 특히 2016년부터 중국 정부는 자국 배터리 업체에 혜택을 주기 위해 중국산 배터리를 탑재하지 않은 전기차에는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 정책을 시행해 CATL의 성장 기반을 탄탄히 마련했다. 이러한 정책 덕분에 CATL은 테슬라와 같은 글로벌 자동차 회사에 배터리를 공급할 기회를 확보.. 2024. 11. 27.
전기차 캐즘으로 떠오른 ESS시장을 잡아라 전기차 캐즘으로 떠오른 ESS시장을 잡아라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남궁성 [전기차 시대 종말?]"-28.4%" vs "27.9%" 정반대의 성장률을 나타내는 이 수치는 연초 이후 5월 기준 테슬라와 도요타의 물가 상승률이다. 수소를 극구 거부하며 전기차에 사활을 걸었던 테슬라가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업에 밀리는 난항에 빠진 것이다. 테슬라의 주가는 2019년 이후 2021년까지 약 14배 급등할 정도로 모빌리티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꾼 기업으로 평가받아 왔었다. 테슬라는 자동차에 AI 시스템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을 도입해 오면서 사실상 IT 기업으로 여겨졌다. 그리고 이런 테슬라의 IT 가능성을 높이 평가한 사람들이 막대한 투자를 해왔던 것이다. [자료1. 랭키파이 미국 주식 인기종목 차트]출처: 리서.. 2024. 6. 27.
배터리도 ZERO가 대세, 건식 전극공정 배터리도 ZERO가 대세, 건식 전극공정 (solvent-free)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백선우 전기차 캐즘의 돌파구, 건식 전극공정 [자료 1. 테슬라 배터리 데이-건식 전극공정 발표] 출처 : Autoevolution 최근 '인터배터리 2024'에서 소개된 전고체 및 46파이 원통형 배터리는 차세대 전동차의 주목할 만한 제품으로 등장했다. 이들은 전해질 및 소재 조성의 혁신과 폼팩터 크기 조정을 통해 에너지밀도와 용량을 향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배터리 기술들은 대량 생산에 있어 여전히 다양한 기술적 난제에 직면해 있다. 전고체 배터리의 경우 낮은 계면 밀착성으로 인한 리튬 이온전도도 문제,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의 경우 내부 방열과 셀 팽창 등이 그 예시로 꼽힌다. .. 2024. 4. 1.
죄수번호 18650 / 21700 / 4680 죄수번호 18650 / 21700 / 4680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류나연, 23기 신지연, 24기 도영현, 25기 김승현, 백선우 [폼팩터에 따른 이차전지] NCM, LFP, Mn-rich, Co-free, High Ni, Li-S, 전고체 전지 등 주로 거론되는 이차전지들은 '재료'에 따른 분류이다. 차세대 이차전지는 재료의 혁신으로부터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기사에서는 내용물인 '재료'가 아닌 공정상, 특히 조립공정의 차이로 나타나는 '폼팩터(form factor)'에 따른 이차전지 분류를 하고자 한다. 배터리의 다양한 형태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이들은 주로 각형, 파우치형, 그리고 원통형으로 구분된다. 각형 배터리는 사각 모양으로 외부 충격에 강하며 안전장치와 함께 안정성이 뛰어나.. 2024. 2. 29.
겨울이 잡아먹는 배터리 효율 겨울이 잡아먹는 배터리 효율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박하연 [추위 타는 배터리]날씨가 추워지면 움직임이 둔해지는 사람들처럼, 강추위 속에서는 배터리도 약한 모습을 보인다. 지금으로부터 7년 전 겨울, 애플 제품의 전원이 꺼져 먹통이 되는 벽돌 상태를 한 번쯤 겪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애플에서는 아이폰 6s의 전원 꺼짐 현상에 대해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사과하기도 하였다. 이는 추위로 인한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라고 밝혀졌다.현재 전기차가 상용화된 만큼, 겨울철이 되면 전기차의 배터리 문제에 대한 걱정이 시작된다. 기온이 낮아지면서 배터리 효율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주행 거리가 평소보다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온도가 10도씩 내려갈 때마다 전기차의 배터리 성.. 2024. 1. 31.
전기차, 한파에는 방전차? 전기차, 한파에는 방전차?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박도원 한파에 전기차 ‘나 홀로 집에’ 지난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두고 한파로 인해 테슬라의 전기차가 충전이 안 돼 크리스마스 이브를 망쳤다는 미국인의 사연이 화제가 됐다. 미국 버지니아주의 유명 라디오 진행자인 도미닉 나티는 지난 24일(현지시간) 중국 동영상 공유 앱 틱톡에 “테슬라가 충전이 안 돼 크리스마스 이브에 계획을 취소할 수밖에 없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영하 7도의 날씨에 배터리가 40%까지 떨어진 자신의 테슬라S 차를 급속 충전(슈퍼차저)에 연결했는데, 2시간이 지나도 별다른 변화가 없어 충전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이어 “다음날 다른 슈퍼차저로 재시도 했지만 충전이 제대로 안 돼 집으로 돌아와야 했.. 2023. 1. 30.
세계 전기차 업체들의 배터리 내재화 전략이 국내에 미칠 영향 세계 전기차 업체들의 배터리 내재화 전략이 국내에 미칠 영향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서명근 전기차와 완성차 업계를 대표하는 회사인 테슬라와 폭스바겐이 최근 배터리 내재화 전략을 앞세우면서 국내 배터리 시장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게다가 글로벌 기업인 현대자동차까지 배터리 자체생산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배터리 내재화는 회사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생산하고 공급하겠다는 의미이다. 즉, 배터리 공급업체에서 배터리 수입을 중단하겠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왜 배터리 내재화를 준비할까? [테슬라의 배터리데이, 폭스바겐의 파워데이] [자료 1. 테슬라의 배터리데이] 출처 : 테슬라 유튜브 지난해 9월 23일 테슬라는 주주총회겸 테슬라의 비전을 소개하는 배터리데이를 진행했다. 이날 테슬라의 CEO인 일론.. 2021.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