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4 이차전지, 리튬의 시대가 가고 마그네슘의 시대가 올 것인가? 이차전지, 리튬의 시대가 가고 마그네슘의 시대가 올 것인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강민석 [리튬이온의 한계, 그 대안은?][자료 1. 리튬이온배터리]출처: ETEKWARE현재 전기차에 사용되는 이차전지 시장은 리튬이온배터리가 석권하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서 주로 활용하는 3원계(NCM) 배터리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많이 사용되는 LFP 배터리까지 모두 리튬이온배터리에 해당한다. 그러나 리튬이온배터리에는 명확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먼저, 리튬이온배터리를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이 든다. 리튬이온배터리에 있는 리튬은 매장량이 적은 희귀한 광물이므로 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다. 그리고 리튬이온배터리는 안전성이 낮으며 화재의 위험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리튬은 물과 산소에 높은 반응성을 가지기 때문에.. 2024. 11. 24. 리튬이온배터리에 리튬이 없다? 리튬이온배터리에 리튬이 없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정의희 [서론] [자료 1. 붕어빵] 출처 : 한국일보 여름이 지나가고 곧 다가오는 겨울. 쌀쌀한 바람이 부는 겨울에는 길거리에서 쉽게 추억의 간식인 붕어빵을 맛볼 수 있다. 우리는 모두 붕어빵에는 실제로 붕어가 들어가지 않는다는 걸 안다. 이처럼 리튬이온배터리에도 실제로 리튬이 들어가지 않는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배터리에는 ‘리튬 이온’은 들어가나 ‘리튬 메탈’이 들어가지 않는다.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를 알아야 한다. [자료 2. 리튬이온배터리 구조] 출처 : 삼성 SDI 리튬이온배터리는 크게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된다. 전기에너지와 화학에너지의 source를 리튬이온으로.. 2023. 10. 3. 주행 차량에서 전력을 수확하다, “압전 발전 도로 시스템” 주행 차량에서 전력을 수확하다, “압전 발전 도로 시스템” 15기 나혜인 [ 자료1.압전 발전장치의 도로 적용 개념도 ] 출처 : 중소기업뉴스(http://news.kbiz.or.kr)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에 있어서 압전 소자를 이용한 방법은 지난 수 십 년간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은 다른 발전 방법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기후와 관계없이 단순한 진동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지속해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장점을 지닌 압전 발전장치의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장소는 ‘도로’다. 수많은 차량이 지나가는 도로는 차량의 움직임으로 압력과 진동 등이 발생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지금부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도로와 접목해 하.. 2020. 4. 27. 무궁무진한 태양광발전 이제는 밤에도 가능하다 무궁무진한 태양광발전 이제는 밤에도 가능하다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신재생에너지로는 태양광 에너지를 손꼽을 수 있다. 태양광 에너지는 수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을 다들 잘 알고 있을 것이다. 햇빛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설치하여 발전할 수 있고 설치 후 유지비용이 들지 않으며 무공해뿐만 아니라 무한한 재생에너지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햇빛이 있는 낮에만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다소 아쉬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사진1. 태양광발전 모습] 출처: (주)현대태양광 우리들이 보통 생각하는 태양광 에너지는 이렇다. 하지만 지금 기존 틀을 바꿔버리는 태양광 에너지 발전 방식이 개발되었다고 한다. 기존의 태양광 에너지는 가장 기본적으로 p-n 접합 구조를 가진 태양전지로서 외부로부터 빛을 받아 .. 2018. 9.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