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CS3

계통 안정화의 미래, 한전의 대용량 ESS 계통 안정화의 미래, 한전의 대용량 ESS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박선혜 [한전, 국내 최초로 대용량 ESS를 건설하다]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은 지난 7월 19일 경상남도 밀양시 나노산단 내에 위치한 부북변전소에 336MW의 대용량 ESS를 최초로 가압했다. 여기서 가압이란 ESS 건설을 완료한 후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 공급 및 안전성 검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ESS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기 전에 전압을 걸어주어 시스템의 기능을 시험하는 과정을 말한다. 앞서 언급했던 ESS 건설 사업은 6개 변전소 중 가장 마지막으로 가압을 마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주, 함양, 예산, 영천, 신남원, 부북에 걸쳐 총 978MW만큼의 ESS가 건설되었다. 사실상 우리나라는 최대 1G.. 2024. 10. 28.
[ENTECH 후기] 환경과 기술을 동시에 생각하다, 이엔에스 [ENTECH 후기] 환경과 기술을 동시에 생각하다, 이엔에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진수, 24기 이우진 [이엔에스의 사업 분야] 발전소부터 우리가 있는 곳까지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한전에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전압으로 전기를 공급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공급된 높은 전압의 전기를 공장, 아파트, 회사 등에서 사용하기 적절한 수준으로 낮추는 과정은 어떤 설비가 하는 것일까?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수배전반이다. 이엔에스는 이러한 수배전반에서 요구하는 전압 수준에 맞게 설비들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GIS, 인버터, PCS, 일체형 ESS 등을 주요 사업으로 진행하는 기업이다. 최근에는 ESS, 인버터,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통해 스마트에너지 산업에 역량을 집중하.. 2023. 9. 8.
효율적인 에너지수급 체계 구축을 위한 선택,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효율적인 에너지수급 체계 구축을 위한 선택,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에너지 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송전하는 장치로 에너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잉여에너지를 저장,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발전소나 가정, 공장,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림 1. ESS 개념도] 출처: 두산중공업 ESS의 적용은 다양한 장점을 지닌다. 신재생에너지는 친환경에너지이자 자연에너지로 발전하기 때문에 수요량에 맞추어 발전하기가 힘들어 출력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데 ESS를 이용하면 이를 보안할 수 있다. ESS로 충전, 방전을 통해 조정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의 급격한 출력 변동을 완충 할 수 있.. 2017.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