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F19

[풍력시리즈3] 우리나라 바람의 힘 [풍력시리즈3] 우리나라 바람의 힘양찬미 현재 전세계는 에너지전환을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을 20%로 올리는, 재생에너지 3020이행계획을 발표했다. 이중 풍력발전은 16.5GW의 비중으로, 2030년까지 도입할 전체 신재생에너지 48.7GW 규모에서 33.9%를 차지한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에너지전환계획을 달성하기 위해선 풍력에너지의 발전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앞서 풍력 시리즈1,2를 통해 우리에겐 생소한, 해외의 풍력발전 기술을 설명했다. 오늘 이야기는 현재 우리나라의 풍력발전 현황과 더불어 앞서 설명한 해외기술을 도입했을 시 효과를 말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풍력발전 지난 2016년 국내 풍력발전의 누적 설비용량이 1GW를.. 2018. 9. 18.
연료전지의 무궁무진함 연료전지의 무궁무진함 정부 정책,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 복합적인 문제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는 현재 ‘붐업’상태이다. 신재생에너지란,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아우르는 말로 태양광, 태양열, 풍력, 수력(소수력), 해양에너지, 지열, 수열, 폐기물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석탄가스화·액화,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총 12개의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태양열, 태양광, 풍력, 지열에너지는 세계태양에너지엑스포를 비롯한 여러 엑스포에서 쉽게 접할 수 있었던 반면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 신에너지는 재생에너지에 비해 산업시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생소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연료전지는 신재생에너지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왜 신재생에너지로 분류했는지, 연료전지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지 하나씩 파헤쳐보자. ※ 신에너.. 2017. 11. 14.
여러분의 지붕발전소를 만들어낼 기업, '아이솔라에너지' 여러분의 지붕발전소를 만들어낼 기업, '아이솔라에너지' 현 정부의 신재생에너 지 정책에 따라 국내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신바람나게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태양광발전은 해외에 비해 여건이 좋지 못하다. 여러 이유 중 가장 큰 이유가 ‘좁은 토지’이다. 한국의 산림면적은 국토의 약 66%를 차지한다. 즉, 한국은 평지보다 산이 많다는 얘기가 된다. 그렇다면 평지에는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기에 적합할까? 아래 자료를 보면 세계 233개국 중 인구밀집도가 22위다. OECD 중엔 인구밀집도가 가장 높다. 대부분의 도시가 평지에 있고 인구의 80%가 도시에서 생활하는 것을 보면 평지 또한 상황이 그렇게 좋지 못하다. [표 1. 세계 인구밀집도 순위] (출처 : Worldometers) 이런 악조건에서.. 2017.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