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4 [Water Risk:수자원 리스크] 기후공시 속 수자원 리스크 [Water Risk:수자원 리스크] 기후공시 속 수자원 리스크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심각해지는 기후변화 흐름 속에서 기업들은 수자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투자자들은 기후공시를 통해서 기업들의 수자원 리스크를 평가하고 있다. 앞으로 수자원 리스크가 기업에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확인해 보자. 수자원 리스크란?‘Water Risk(수자원 리스크)’란 물이 기업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가뭄과 홍수와 같은 물리적 위험으로 기업 및 산업이 받는 실물 경제 영향, 궁극적으로는 금융 시스템의 리스크 등까지 아우르는 개념”이다.여기서 말하는 ‘물리적 리스크’란 무엇일까?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는 기후 관련 위험을 .. 2024. 8. 26. 2% 부족한 한국형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 2% 부족한 한국형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24기 변지원 [서론]4월 30일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는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의 공개초안을 발표했다. 이는 글로벌 3대 ESG 공시기준에 이은 한국형 ESG 공시 초안이다. 회계기준원은 “국내 기업의 공시 역량과 준비 상황을 균형 있게 고려해 기준 적용이 과도한 부담이 되지 않도록 이번 기준을 마련했다”고 했다.KSSB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기준 프레임워크를 기반해 개발됐으며, 한국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을 별도로 마련한 주된 이유는 기업의 과도한 부담을 덜기 위함이다. KSSB는 ‘국제 정합성’과 ‘기업 수용가능성’ 간의 균형을 맞추면서 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시 기준을 제정하.. 2024. 5. 25. [ENTECH 후기] 스마트에너지플랫폼 구축사업(동아대학교 & 울산테크노파크) [ENTECH 후기] 스마트에너지플랫폼 구축사업(동아대학교 & 울산테크노파크)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정재혁, 23기 김경훈 [스마트에너지플랫폼 구축사업이란?] '스마트에너지플랫폼 구축사업'은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 주관으로 부산녹산·울산미포·군산 국가산업단지 입주기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ICT 신기술을 활용한 플랫폼 기반 에너지관리 인프라 보급 및 저탄소 그린산업단지 구현을 추진하는 국가 사업이다. [자료 1. 스마트에너지플랫폼 개념도] 출처 : 이데일리 산단공에 따르면 산업단지는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의 77%, 온실가스 배출의 83%를 차지한다. 탄소중립 시대에 에너지 부하밀집지역인 산단에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에너지플랫폼을 구축하고 온실가스 저감, 미세먼지 감축 등을 추진하여 궁극적으로.. 2023. 9. 5. 실효성 없는 ESG, 대책이 필요하다 실효성 없는 ESG, 대책이 필요하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김수정, 21기 이태환 서론 ESG와 지속가능성은 이제 대중에게 너무나도 친숙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투자자와 같은 전문가뿐만 아니라 소비자들도 기업을 소비할 때 ESG를 중요한 지표로 보게 되었다. 2021년 5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발표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기업의 ESG 활동이 제품 구매에 영향이 있다고 전체의 63%가 응답했다. 동시에 ‘ESG에 부정적인 기업의 제품을 의도적으로 구매하지 않은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70.3%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실제로 시장에서 ESG 경영에 의한 투자 유치, 매출 상승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처럼 의도대로 운영되는 ESG 평가가 사회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은 자명하다. ESG 평.. 2022. 6.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