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축전지의 생존 가능성에 대한 중립적 탐구
납축전지의 생존 가능성에 대한 중립적 탐구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구윤서, 백선우, 26기 윤민서, 27기 김주희, 조희선 납축전지의 현재와 도전 과제납축전지는 세계 최초로 발명된 이차전지다. 이차전지는 한 번 사용하고 끝나는 일차전지와 다르게 충전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로,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부가가치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차전지의 역사는 1990년대 최초의 납축전지부터 최근에는 리튬이온전지까지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지금도 이차전지는 더 나은 안전성과 충전 능력을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이차전지는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스마트폰, 인공위성, 태양광 전지 등 충·방전이 필요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납축전지는 경쟁력 있는 가격과 검증된 안정..
2025. 3. 2.
[Remake] RE100의 꿈, CF100의 현실 : 탄소중립을 위한 현실적 접근
[Remake] RE100의 꿈, CF100의 현실 : 탄소중립을 위한 현실적 접근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김승진, 류호용, 이서진, 27기 김나영, 정환교22기 김혜윤, 22기 이지원 선배님의 "지는 해 RE100, 뜨는 해 CF100" 기사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 주신 22기 김혜윤, 22기 이지원 선배님에게 감사드립니다. 탄소중립 시계는 빨리 간다, 현실적 대안은 CF100[자료 1. CF100]출처: SK E&S에너지 산업은 기존의 화석연료 중심에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꿈꾸고 있다. 특히, 글로벌 기업들은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을 채택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
2025. 3. 2.
교통과 수소의 만남,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교통수단
교통과 수소의 만남,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교통수단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26기 강민석, 27기 박희원, 홍민서 친환경 수소 교통수단, 왜?교통 부문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 트럭, 버스 등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약 15% 가량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 국내의 경우 정부의 ‘자동차 온실가스 관리제도’ 시행에도 불구하고,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판매된 승용차의 온실가스 평균 배출량과 해당 연도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을 단순 비교한 결과 그 격차는 오히려 매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배출허용기준을 2.4% 초과했으나 기준과 실제와의 격차가 매년 커져, 2020년에는 44.8%나 초과한 것이다. 순수 자동차 판매실적으로만 계산된 ‘실제’ 온실가스 평균 배출량 역..
2025. 2. 27.
그린에너지 어디까지 왔을까? "2025 제 22회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그린에너지 어디까지 왔을까? "2025 제 22회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자료 1. 2025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로고]출처 :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2025 제 22회 국제그린에너지 엑스포, 4월 23일(수) 개최]국내최대, 아시아 3대, 세계 10대 신재생에너지 전문 전시회, "신재생에너지 분야 주요 4대 협회 공동 주관 유일 전시회"인 2025 제 22회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가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대구 EXCO 서관 2홀, 동관 4, 5, 6홀에서 개최된다.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주최하고 엑스코, 한국태양광산업협회,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한국풍력산업협회, 한국수소산업협회가 주관한다. 이번 엑스포의 전시분야는 크게 PV, ESS..
2025.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