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64

전기를 생산할 수 없는 발전소 전기를 생산할 수 없는 발전소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배장민 [전력의 특성, 수요에 맞춘 공급]전력의 가장 큰 특징은 ‘수요에 맞춘 공급’이다. 전기를 생산한 만큼 사용자가 써야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전기를 생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력의 특성 때문에 특정 시간대에 사용자가 얼마만큼의 전기를 사용할지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는 주파수(frequency)가 동일하게 유지돼 전력계통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6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이는 발전기가 1초에 60번 회전하면서 전기를 만들어냄을 의미한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선을 타고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사용자 측에서 주파수가 높아지거나 떨어지게 되면 발전단 측에서도 이에 맞.. 2024. 4. 24.
[Remake]전기차 충전, 5분 만에 가능해진다고? 전기차 충전, 5분 만에 가능해진다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안윤아 11기 임형규님의 “전기자동차의 망토가 되어줄 'Super'커패시터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주신 임형규님께 감사드립니다. [슈퍼커패시터의 전기차 충전 혁신] [슈퍼커패시터가 전기차 충전의 혁신을 열 수 있을까?] 출처: AEM 국내 전기차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전기차 충전시간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전기차의 가장 큰 약점은 긴 충전 시간이다. 차량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정용 충전기(3.5kW AC 충전)를 사용할 경우 10~20시간이 소요되며, 완속충전기(7kW AC)를 사용하면 5~10시간, 급속충전기(DC 충전, 50kW~100kW)를 사용할 경우 배터리 용량의 20~.. 2024. 4. 14.
담배꽁초, 재활용 쓰레기로의 변신 담배꽁초, 재활용 쓰레기로의 변신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배현지 [미세 플라스틱 덩어리 담배꽁초]길을 걷다 보면 누구나 길거리에 떨어진 담배꽁초를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심한 경우 빗물받이에 산더미 채 쌓여있거나, 골목이 담배로 뒤덮여있는 경우도 자주 목격할 수 있다.환경부의 2020 담배꽁초 관리 체계 마련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하루 평균 담배 판매량은 1억7200만 개비이다. 이 중 7.25%인 1246만6968개 담배꽁초가 길거리에 무단투기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자료 1. 담배꽁초가 가득한  창원시 성산구의 배수로]출처: 경남신문이렇게 버려진 담배꽁초는 미관을 해치는 것을 시작으로 빗물받이에 가득 차면 침수를 유발하거나 꺼지지 않은 불씨로 인해 화재 유발의 위험이 .. 2024. 4. 14.
러쉬(LUSH)의 벌거벗은 제로웨이스트 러쉬(LUSH)의 벌거벗은 제로웨이스트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김승현 [불필요한 것은 벗어 던지자] [자료 1. 영국 맨체스터에 위치한 네이키드 매장의 직원들] 출처 : 러쉬 트위터 러쉬 직원 매장들이 앞치마만 두른 채 “nakedwithlush”를 외치고 있다. 이 네이키드 캠페인은 불필요한 과대 포장으로 인한 쓰레기를 재고해 보자는 의미로 시작됐으며, 러쉬 직원들은 자발적으로 캠페인에 참여해 제품의 불필요한 포장을 줄이자는 외침을 러쉬답게 표현했다. 영국의 화장품 브랜드인 러쉬(LUSH)는 샴푸, 클렌저, 스킨케어 제품을 포장 없이 판매하는 ‘네이키드 패키징(naked packaging)'을 도입했으며 이를 이어 포장 없는 매장까지 열었다. 러쉬는 지금까지 총 4개의 포장 없는 매장을 개장했으.. 2024. 4. 1.
배터리도 ZERO가 대세, 건식 전극공정 배터리도 ZERO가 대세, 건식 전극공정 (solvent-free)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백선우 전기차 캐즘의 돌파구, 건식 전극공정 [자료 1. 테슬라 배터리 데이-건식 전극공정 발표] 출처 : Autoevolution 최근 '인터배터리 2024'에서 소개된 전고체 및 46파이 원통형 배터리는 차세대 전동차의 주목할 만한 제품으로 등장했다. 이들은 전해질 및 소재 조성의 혁신과 폼팩터 크기 조정을 통해 에너지밀도와 용량을 향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배터리 기술들은 대량 생산에 있어 여전히 다양한 기술적 난제에 직면해 있다. 전고체 배터리의 경우 낮은 계면 밀착성으로 인한 리튬 이온전도도 문제,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의 경우 내부 방열과 셀 팽창 등이 그 예시로 꼽힌다. .. 2024. 4. 1.
혈연, 지연, 목(木)연 혈연, 지연, 목(木)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24기 배장민, 이지혜 [아바타 영혼의 나무] “토르쿠막토” 모 예능 프로그램에서 출연자가 영화 속의 대사를 따라 하며 시청자들에게 큰 웃음을 주었고, 특히 SNS상에서 청년들에게 큰 밈(meme)이 되었다. 바로 영화 ‘아바타 : 물의 길’에 나오는 주인공을 따라한 대사이다. 2009년 개봉하여 현재까지 전 세계 박스오피스 1위 기록을 유지하는 영화 ‘아바타’는 SF 영화계의 한 획을 그은 작품이다. 국내에서도 1,400만 명이 넘는 관객을 기록해 큰 화제가 됐는데, 13년 뒤인 2022년에 개봉한 후속작 '아바타: 물의 길'도 총 관객 수 1,080만 명을 기록하는 등 '아바타' 시리즈의 인기는 대단했다. [자료 1. 영화 아바타1(좌).. 2024. 4. 1.
러브레터 vs 이메일, 사랑은 탄소를 싣고 러브레터 vs 이메일, 사랑은 탄소를 싣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한세민, 22기 류나연, 23기 진희윤, 24기 도영현, 유현지, 25기 윤영서 [봄 사랑, 벚꽃 말고] 추운 겨울 지나 따뜻해지는 날씨만큼, 마음 한편에 내려앉아 따뜻한 분위기를 전하는 분홍빛 무언가. 만개한 벚꽃과 따스한 봄날의 온도는 어딘가 간지러운 기분을 전한다. 이나 같은 사랑을 이야기하는 곡들이 음원 차트의 승자가 된다. 관심 있는 그녀에게 편지를 쓰려 문구점에 가니, 핑크빛 세상 속에 유일한 초록색 포스터가 눈에 띈다. ‘4월 4일은 종이 안 쓰는 날’, ‘더 이상의 산림 파괴는 없다’… 설레는 마음을 가득 담은 러브레터가 사실 환경 오염의 원인이라는 말은 꽤 낭만이 깨지는 발언이다. 뉴스 기사나 각종 교육자료에서도 종.. 2024. 4. 1.
투명 페트병은 '무색' 페트병이 아니다 투명 페트병은 '무색' 페트병이 아니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김석언 [투명 페트병, 또 다른 유색 페트병?] [자료 1. 유색 페트병에서 투명 페트병으로의 전환] 출처: 시장경제 “사이다 하면 떠오르는 색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특유의 초록색 병이 가장 먼저 떠올랐을 것이지만, 이제는 투명한 병이 우리에게 훨씬 더 익숙하다. 2019년, 개정된 자원재활용법(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유색 음료 용기가 퇴출되었다. 유색 페트병에는 색을 내기 위해 색소 및 불순물이 첨가되는데, 이것이 투명 페트병과 섞여 재활용되면 품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로 정부에서는 재활용 분담금 등을 통해 기업이 스스로 재활용하기 쉬운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유도했다. 제품 변질 .. 2024.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