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98 태양전지에도 세대차이가 있다? ! [태양광전지와 그리드 패리티 시점에 관한 인터뷰] 태양전지에도 세대차이가 있다? ! 태양광전지와 그리드 패리티 시점에 관한 인터뷰 석유 자원의 고갈에 대한 대책으로 신 재생 에너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태양광 분야에서도 1차 실리콘전지부터 현재 연구진행중인 3차 염료감응태양전지까지 많은 발전이 있었다. 그 중 염료감응태양전지 분야와 신 재생 에너지의 그리드 패리티 시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현재 전북대학교 화학과 이효중 교수님과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효중 교수님 - 전북대학교 화학과에 재직 중이며, 3세대 태양전지 중 염료감응태양전지 (DSSC) 와 양자 점 감응 (Quantum-dot Sensitized) 태양전지에 대해 주로 연구 하고 있다. Q.1 제 3세대 태양전지는 조금 생소한데, 연구분야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를 한다면? - 빛을 .. 2014. 2. 14. [바이오매스]검은황금에 맞서는 물속의 녹색 황금: 골칫덩어리였떤 녹조에너지원이 노다지로! 검은 황금에 맞서는 물속의 녹색 황금 -골칫덩어리였던 녹조 에너지원이 노다지로!!- ❒Part1. 3세대 바이오매스 조류 1. 검은황금의 예정된 몰락 시추공에서 뿜어져 나오는 원유의 시커먼 색깔과 세계경제를 좌우하는 중요성이 결합되어‘검은 황금’이라 불리는 석유는 많은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에너지원이다. OPEC(석유수출국기구)에 따르면 석유가 전체 에너지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35%로, 매일 약 9000만배럴에 달하는 석유가 전 세계에서 소비된다. 그렇지만 ‘검은 황금’은 점점 고갈되어 가고 이제는 이를 대체하면서 환경을 파괴하지 않을 새로운 에너지원을 개발해야 할 시기이다. 2. 녹색황금 ‘조류’ 여러 대체에너지 중에서 검은 황금에 맞서 주목받고 있는.. 2014. 2. 12. EYP 2014: 한국 에너지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참신한 해결책을 모색할 기회 열린다 EYP 2014: 한국 에너지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참신한 해결책을 모색할 기회 열린다.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이 확정되면서 우리의 에너지 문제를 둘러싼 논의가 다시 뜨겁게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의 중심이 되어 온 기존의 에너지 강연에 대한 실증 및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는 이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바로 틀에 박힌 내용과 진척없이 매번 반복되는 문제들 때문이다. 이들에게 신선함과 희망을 선사할 수 있는 강연은 없을까? 환경 및 에너지 문제에 대해 새로운 대안을 제안해 보고자 활동하고 있는 젊은 에너지 전문가들의 모임인 SEFK(Securing Energy Future of Korea)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2012년에 결성된 이 그룹은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 .. 2014. 1. 20.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 융복합으로 통한 에너지와 환경문제 해결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 융복합으로 통한 에너지와 환경문제 해결 스마트그리드 구성도 우리나라는 2011년 9월 15일 전력산업 역사의 오점으로 기록될 대규모 정전이 발생하였다. 전국에서 8,962건의 피해가 신고 되었고 피해금액은 610억원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에너지 과소비로 인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에너지 과소비에 대한 문제는 국민들의 에너지 과소비문제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에너지수입국가라는 점에서 지적이 나오기도 하였다. 통계적인 수치로 말하자면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에너지원 83%가 화석연료이다. 그렇다보니 세계 10위의 탄소배출국이라는 결과도 나오게 되었다. 더구나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환경문제도 지적되어 에너지에 대한 문제가 계속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 2014. 1. 13. [신입기수 모집] 7기 최종 합격자 공지 기다리고 기다렸던 대학생태양에너지기자단 7기 최종발표를 진행하겠습니다 두 근 두 근 콩 닥 콩 닥 벌 떡 벌 떡 먼저 7기에 지원하신 모든 분들께 감사합니다. 지원자 한 분 한 분 모두 너무나 훌륭하여 1차와 2차 합격자를 선정하는 데 있어 많은 고민을 하였습니다. 이렇게 지원자분들께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 저희 기자단이 지금까지 꾸준한 활동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그럼 7기 발표를 진행하겠습니다. 하나 둘 셋 공개 권강민 / 성균대학교 기계공학부 김건희 / 카이스트 무학과 김동근 / 단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김범석 / 전북대학교 화학과 김재원 / 유니스트 친환경에너지공학부 김재현 / 경북대 전기공학과 김지원 / 단국대학교 에너지공학과 노원호 / 단국대학교 에너지공학.. 2013. 12. 31. [태양을 심는 사람들: 태양광 프로젝트 개발자 인터뷰] 1) HQMC Korea 김문상 대표 [태양을 심는 사람들: 태양광 프로젝트 개발자 인터뷰] 1) HQMC Korea 김문상 대표 인터뷰 및 작성: 장익성(iksung.jang@gmail.com)인터뷰 일자: 2013년 12월 21일 태양광발전의 필요성을 말로만 역설하기 보다는 전국과 전세계를 누비며 태양광발전소 건설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지구 상에 태양광 발전원을 하나, 둘씩 늘려가고 있는 이들이 있다. 바로 태양광발전 프로젝트 개발자(Solar Project Developer)들이다.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어떻게 태양광 발전소들이 지어지고 있으며, 이들은 어떤 삶을 살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태양을 심는 사람들' 취재를 기획했다. 그 첫 번째 인터뷰는 HQMC의 김문상 대표, 김문상 대표는 당시 세계 최대 규모였던 신안태양광발전소(24.. 2013. 12. 31. [신입기수 모집] 7기 1차 합격자 발표 및 면접 공지 (공지)대학생태양에너지기자단 7기 1차 합격자 발표. 먼저 7기 지원에 많은 참여 감사드립니다. 또한, 쟁쟁한 열정과 실력을 가지신 분들이 많아 평가가 오래걸려 죄송합니다. 이번 7기에 되지 않으셔도 포기하지 마시고 8기에도 지원해 주십시오! 합격자 1. 권강민 2.김건희 3.김동근 4.김범석 5.김보민 6.김윤식 7.김재현 8.김지원 9.노원호 10.도현애 11.박신희 12.박천의 13.신규원 14.안준태 15.유주연 16.이명진 17.이용규 18.이창현 19.전유정 20.진선태 21.차수현 22.표세진 23.김재원 24.김주현 25.백준 (이상 25명 입니다. 이 중 면접에서 20명 이하를 최종 7기로 뽑을 예정입니다.) 1차 합격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추후에 홈페이지와 문자로 29일에 있을 면접.. 2013. 12. 26. 기자단 7기 모집 마감 12월 23일로 7기 모집이 마감이 되었습니다. 먼저 지원자 모든 분과 관심을 가진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꾸벅꾸벅 1차 합격자 발표는 12월 26일로 개별통보가 될 예정입니다. 1차 합격자로 통한 2차 면접은 29일입니다. 다시 한 번 감사합니다. 즐거운 성탄절 보내세요 성탄절 후 찾아 뵙겠습니다. ^^ 2013. 12. 24. 이전 1 ··· 298 299 300 301 302 303 304 ··· 3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