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98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할 것인가, 마이크로그리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할 것인가, 마이크로그리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박선혜 [대규모에서 소규모로]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으로 기저 발전인 원자력과 석탄의 발전량은 각각 176,054GWh, 193,231GWh로 집계된 반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53,182GWh로 집계되었다. 수치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우리나라의 전력 체계는 중앙 집중형 대규모 전력 생산 방식이 절대적, 지배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탄소중립, 기존 기저 발전의 유한성 및 위험성으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발전이 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고 그에 따라 소규모로 전력의 분산, 배치가 가능한 분산 전원이 떠오르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분산 전원에서 나오는 분산 에너지는 어떻게 관리하는 것일까? [자료1. 발전원별 발전.. 2023. 10. 1.
공급망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대기업의 동반성장 프로그램 공급망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대기업의 동반성장 프로그램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정재혁 [공급망 탄소중립 추진의 필요성] EU 공급망 실사 지침으로 인해 모든 기업이 환경 및 기후변화 등에 대한 대응 현황 실사 및 관련 정보의 공개 의무에 대한 부담을 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탄소 배출량 관리가 굉장히 중요해졌고, 사업장 내 탄소 배출량 관리와 더불어 사업장 외 가치사슬 발생 시 배출되는 탄소 배출량을 뜻하는 Scope 3 관리의 중요성도 높아졌다. 따라서 대기업은 공급망 탄소 배출량 관리, 하청업체(중소기업)는 생산 제품 및 서비스의 탄소중립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자료 1.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명시되어 있는 온실가스 배출량] 출처 : 현대모비스 지속가능경영보고서 114p 또한 기업들의 지속.. 2023. 10. 1.
LNG가 불러온 간만의 활황, 다음 목표는 암모니아다 LNG가 불러온 간만의 활황, 다음 목표는 암모니아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강민수 [23년 상반기, 조선업계는 ‘순항 중’] 몇 년만의 기분 좋은 바람이 올해 한국 조선업에 찾아왔다. [자료1. LNG 운반선] 출처: 뉴스핌 글로벌 해운 운임은 세계 경제 불확실성 확대 및 물류 정체 해소에 따른 선박 공급 증가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약세로 전환됐다. 이에 올해 상반기 전 세계 신조선 발주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34.4% 감소한 1.781만CGT*를 기록했다. 여기서 국내 조선업계는 516만CGT(29.0%)를 수주하며 중국(1,043만CGT, 58.5%)에 이어 세계 수주량 2위를 차지했다. 지난 1분기의 44% 점유율과 수주량 1위 타이틀을 중국에 내준 상황이지만 오히려 긍정적이라는 반응이 뒤따.. 2023. 9. 30.
오펜하이머 씨, 이런 원자력은 어때요? 오펜하이머 씨, 이런 원자력은 어때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류나연, 박재욱 [최고의 에너지원, 원자력] [자료 1. 영화 ‘아이언맨’에 등장하는 아크 원자로] 출처 : Amazon 변화무쌍한 슈트와 재치 있는 입담으로 2010년대 극장을 주름잡았던 ‘아이언맨’. 자신의 목숨과 맞바꾸어 지구를 지켜낸 그의 따뜻한 가슴에는 항상 동그랗고 시퍼런 기계가 달려있었다. 이것은 아이언맨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한국판 번역으로는 ‘아크 리액터’라고 불린다. 영화의 설정상, 아크 리액터는 반응 물질을 손실 없이 그대로 에너지로 바꾸기 때문에 그 효율이 상상을 초월하는 것은 물론, 오염 물질도 존재하지 않아 사고의 위험으로부터도 안전하다. 한마디로 꿈의 에너지원이다. 이러한 에너지원이 실제로 구현이 가능할까? .. 2023. 9. 30.
[인터뷰] 환경교육, 세대의 벽을 넘어서 이제는 노년층에게도 [인터뷰] 환경교육, 세대의 벽을 넘어서 이제는 노년층에게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길민석, 22기 유현서, 박도원, 23기 김서정, 김예진, 신지연, 진희윤 [학교 환경교육 의무화, 그렇다면 노년층을 위한 환경교육은?] 2023년 3월 1일부터 초·중학교에서 학교 환경교육이 의무화되었다. 지난해 5월 국회 본회의에서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2023학년도부터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장은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환경교육을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렇듯, 환경교육은 매우 중요하게 사회에 자리 잡고 있다. 그렇다면,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은 어떨까? [자료 1. 대상별 환경교육 현황] 출처 : 모두를위한환경교육연구소 일반적으로 교육 집중 시기라고 믿고 있는 청소년기(.. 2023. 9. 29.
전기 생산하면서 해수 담수화까지, ‘일석이조’ 해수전지 전기 생산하면서 해수 담수화까지, ‘일석이조’ 해수전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김석언 [리튬이온전지의 한계, 해수전지의 등장]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이차전지에 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겁다. 현재 이차전지 시장에서 가장 중심에 있는 것은 단연 리튬이온전지다. 리튬이온전지는 기존에 있던 이차전지와 비교할 때 용량과 수명 특성이 훨씬 뛰어나고, 부피가 작아 휴대성이 극대화되면서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다. 하지만 리튬이온전지는 화재 위험이라는 안전성 문제가 있고, 사용되는 리튬, 코발트, 희토류 등의 금속 채굴 과정이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희귀금속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나트륨같이 지구상에 풍부한 다른 원소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중 참.. 2023. 9. 27.
전기차 유토피아, 대한민국은 제2의 노르웨이가 될 수 있을까 전기차 유토피아, 대한민국은 제2의 노르웨이가 될 수 있을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정이진 [대한민국은 제2의 노르웨이가 될 수 있을까] 대한민국은 제2의 노르웨이가 될 수 있을까?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전기차 판매율은 9%대에 그쳤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시대에 맞춰 전기차 시장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는 지금, 대한민국은 이에 발맞춰 빠른 전기차 시대를 이룰 수 있을까? 노르웨이는 누구보다 빠르게 전기차의 유토피아를 확립했다. 노르웨이에서 올해 1분기에 생산된 신차 중 84.5%가 전기차인 것으로 집계됐다. 하이브리드 차량까지 포함하면 90%가 넘는 수치이다. 지난해 판매된 신차 중 79.3%가 전기차로 높은 보급률을 달성하고 있다. 2013년 기준 1만9천대였던 전기차 규모가 현재 61만7천대 .. 2023. 9. 27.
교류와 직류의 백년 전쟁, 최종 승자는? 교류와 직류의 백년전쟁, 최종 승자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도영현 [에디슨과 테슬라의 전류 전쟁] [자료 1. 니콜라 테슬라(좌)와 토마스 에디슨(우)] 출처 : Stars Portraits 오늘날 우리는 전기의 시대에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장 당신의 손에 쥐인 스마트폰부터 건물 안을 밝게 비추는 전등, 전기차에 이르기까지 거의 대부분에 전류가 사용된다. 1880년대 후반, 토마스 에디슨(Thomas Alva Edison)과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는 표준 전기 시스템 채용을 놓고 치열한 접전을 벌였다. 에디슨은 안전성을 가장 큰 이유로 직류 방식을 주장했으며, 테슬라는 원거리 전력 수송에 유리한 교류 방식을 주장했다. 백 년간의 전류 전쟁은 발명가 조지 웨스팅하우스(G.. 2023.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