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린워싱10

헝가리, 유럽 배터리의 핵심 기지 헝가리, 유럽 배터리의 핵심 기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백선우 헝가리는 왜 배터리 산업의 중심인가?헝가리는 현재 유럽의 배터리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지리적 위치와 다양한 기업들의 투자가 결합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삼성 SDI와 SK온 등 한국 기업뿐만 아니라 CATL과 BYD 같은 중국 기업들이 대규모로 헝가리에 투자하며, 유럽 전기차 시장의 핵심 기지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헝가리가 전기차 생산 허브로서의 잠재력을 입증하고 있다는 증거다. 구체적으로 독일 및 유럽 자동차 업체와 아시아 배터리 기업이 만나는 중요한 교차점이 되고 있다. 2023년 기준, 헝가리는 중국, 폴란드, 미국에 이어 세계 4위의 배터리 생산국이며, 헝가리 외교부는 향후 2위까지 성장할 가능성을.. 2024. 10. 28.
높아지는 그린워싱 처벌 수위, "그린허싱"의 등장 높아지는 그린워싱 처벌 수위, "그린허싱"의 등장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윤민서 [침묵의 기후위기, 그린허싱]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지, 제품이 나에게 오기까지 비윤리적 노동은 없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기본으로 기업의 가치관, 사회환경에 대한 태도까지 판단한다. 소비 기준으로 ‘친환경’과 ‘지속가능성’이 떠오르면서 친환경인 척하는 기업을 가려내는 검증의 과정이 중요해지고 있다. 환경부 또한 ‘그린워싱 과태료 신설’을 발표하며 소비자를 그린워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시작했다.[자료 1. 쉿 이미지]출처 : Flaticon가치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매의 눈으로 그린워싱을 감별하고, 위장 환경주의에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상황이 오히려 침묵이라는 태도를 낳았다. 기업이 입을 꾹 다문 것이다. 친환.. 2024. 10. 1.
그린워싱을 유발하는 현재의 ESG 경영 그린워싱을 유발하는 현재의 ESG 경영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김하은, 25기 남궁성 [필수가 된 ESG 경영과 지속가능경영][자료 1. 기업의 미래 지향점으로 떠오른 ESG 경영]출처: 연합뉴스현재 전 세계에서 다양한 기준의 탄소중립 계획을 수립함에 따라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과 환경 지향적 경영을 강조하는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은 현대 비즈니스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ESG 경영과 그 지표는 기업이 단순히 이윤 추구만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주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간주 되고 있다. 유럽과 미국은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권고안을 따라 자체 지침을 마련했으며, 유럽은 올해부터, .. 2024. 4. 30.
전기차도 결국 그린워싱일까? 전기차도 결국 그린워싱일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차승연 [ 전기차는 정말 친환경 차일까? ] 탄소 중립 미래를 위한 기술로 주목받는 전기차. 기존의 내연기관차와 달리 주행 중 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 차로 불리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를 판매하는 기업들 역시 탄소 배출 없는 친환경성을 강조하여 홍보하곤 한다. 그런데 전기차는 정말 탄소 배출로부터 자유로울까? 전기차가 정말 탄소 중립 미래에 걸맞은 타당한 기술인지 살펴보자. [ LCA 관점에서 전기차의 탄소 배출 ] 내연기관차가 배출하는 매연은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등을 포함하고 있어 대기오염의 주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전기로 모터를 작동시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전기차가 그 해결 방안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LCA 관점에서 봤을 때.. 2023. 12. 1.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제13회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어워드 대상’ 수상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제13회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어워드 대상’ 수상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장세희 2008년 국내 최초의 비영리 기후변화 대응 민간기구로 설립된 (재)기후변화센터(이사장 유영숙, 前 환경부장관)가 창립 15주년을 맞이하여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앰배서더 서울 풀만에서 제13회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어워드 시상식을 개최했다. 13회를 맞는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어워드’는 기후변화센터가 국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한 기업(대기업,중견중소기업, 스타트업), 기관, 지자체, 개인과 청년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기후변화센터 정책위원회와 외부전문가들의 심사를 통해 선정된다. [자료 1. 제13회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어워드 시상] 출처 : 기후변화센터 [자료 2. 제13회 기후변화 그랜드.. 2023. 11. 9.
트렌드에 맞게 변화하는 ESG, 이제는 필수로! 트렌드에 맞게 변화하는 ESG, 이제는 필수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류나연, 유현서, 23기 김경훈, 안윤아 [ESG의 등장] ESG는 잘 알다시피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를 뜻하는 말이다. 최근 들어 여러 분야에서 언급돼 익숙해진 개념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우리에게 친숙한 ‘지속 가능한 발전’에서부터 시작하여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에 직접적인 핵심 가치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묶어서 말하게 된 것이 바로 ESG이다. [자료 1. 지속가능경영 의미] 출처 : KRX ESG포털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용어는 1713년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현재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는 지속가능성 개념은 1987년 UN환경계획(UNEP)이 발표한 .. 2023. 3. 6.
카타르 월드컵의 모순, 탄소중립과 그린워싱 카타르 월드컵의 모순, 탄소중립과 그린워싱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박도원 [2022 카타르 월드컵, 최초의 탄소중립 월드컵] 이번 2022 카타르 월드컵을 상징하는 수많은 수식어들은 대부분 ‘최초’라는 단어를 포함한다. 카타르 월드컵은 최초의 중동 월드컵이자 최초로 겨울에 열린 월드컵이다. 한국 입장에서는 월드컵 개막식에서 방탄소년단 정국이 최초의 한국 가수로 공연을 했고, 대한민국 축구대표팀은 11월 28일 2골을 득점한 가나와의 경기에 이어 12월 3일 포르투갈전에서 2대1로 승리를 거머쥐며 ‘최초 한 대회 2경기 연속 멀티골’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개막 전부터 여러 '최초'를 이룬 카타르 월드컵은 ‘최초의 탄소중립 월드컵’ 타이틀도 차지했다. 국제축구연맹 FIFA와 카타르 정부는 ‘2022 .. 2022. 12. 26.
실효성 없는 ESG, 대책이 필요하다 실효성 없는 ESG, 대책이 필요하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김수정, 21기 이태환 서론 ESG와 지속가능성은 이제 대중에게 너무나도 친숙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투자자와 같은 전문가뿐만 아니라 소비자들도 기업을 소비할 때 ESG를 중요한 지표로 보게 되었다. 2021년 5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발표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기업의 ESG 활동이 제품 구매에 영향이 있다고 전체의 63%가 응답했다. 동시에 ‘ESG에 부정적인 기업의 제품을 의도적으로 구매하지 않은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70.3%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실제로 시장에서 ESG 경영에 의한 투자 유치, 매출 상승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처럼 의도대로 운영되는 ESG 평가가 사회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은 자명하다. ESG 평.. 2022.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