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빛과 그림자, 탄소 내뿜는 AI?
AI의 빛과 그림자, 탄소 내뿜는 AI?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정예진, 18기 한동근, 19기 유홍주, 20기 조현욱 인공지능(AI)이란 말 그대로 지식 저장, 추론, 판단, 예측 등을 수행하는 인간의 사고 영역을 컴퓨터 시스템화하는 기술이다. 인간의 사고를 모의한 인공지능 기법은 인간 뇌의 장단점을 유사하게 갖고 있는데, 수학적인 계산능력에 있어서는 기존의 컴퓨터의 성능을 능가할 수 없지만 기존의 컴퓨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조로는 거의 불가능한 연상, 추론, 판단, 예측 등의 상위 지식 영역 처리가 가능하다. 인공지능 기법의 응용이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공지능의 고유 특성을 파악하여 각 분야에 적절하게 접목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인공지능은 각 기법마다 다른 특성을 갖지만 대략적으로 아..
2021. 8. 30.
바다 속으로 들어간 데이터 센터
바다 속으로 들어간 데이터 센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임상현,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최별,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김세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정지영,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조현선 [“데이터도 물리적인 공간이 필요하다고?”] 우리의 삶에 너무나도 강력하게 자리 잡아 버린 인터넷, 이메일 같은 통신부터 온라인 쇼핑, 인터넷 검색, 게임, 그리고 사진 저장까지! 인터넷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노트북 등 매우 작은 크기의 기기에서 모두 언급할 수도 없을 정도로 삶에 필요한 많은 일들을 해낸다. 거대한 부피를 차지하지만 빨래밖에 못하는 세탁기, 냉장밖에 못하는 냉장고에 비해 손바닥만한 기기로 우리 삶의 대부분의 일을 해결해주는 인터넷! 그래서 우리 대부분은 인터넷을 공간적..
2021. 8. 30.
전력 잡아먹는 데이터센터, 버려지는 열을 활용하다
전력 잡아먹는 데이터센터, 버려지는 열을 활용하다 17기 김희진 데이터 센터란? 데이터센터란 검색, 클라우드, 온라인 게임, VOD, 소셜네트워크(SNS)로 주고받는 메시지와 자료 등 각종 온라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시설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영상을 클릭하면 데이터센터에 저장되어 있던 영상이 실시간으로 전송돼 재생되는 것이다. [자료 1.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 출처 : BUSINESS plus 넷플릭스 같은 VOD 스트리밍 사이트는 물론 구글, 애플, 페이스북과 같은 글로벌 IT기업부터 국내 통신사, 포털사이트까지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구글은 무려 18개의 데이터센터를 세계 곳곳에 가지고 있다. 이 데이터센터는 24시간 365일 가동되면서 대규모 전력을 소비한다. 사실 데이터를 ..
2020. 4. 27.
[2019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정보] Schneider Electric
1. 기업 이름 : Schneider Electric 그림 1. 슈나이더 일렉트릭 로고출처 : 슈나이더 일렉트릭 블로그 2. 기업 소개 그림 2.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부스 출처 :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트위터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180년,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의 41년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1836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글로벌 기업이다. 19세기 당시엔 철강, 중장비, 조선사업에, 20세기엔 전력배분, 자동화 제어 분야에, 21세기에 이르러서는 지속 가능한 저탄소 녹색 성장 실현에 초점을 맞추고 에너지 관리 분야에 주력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글로벌 기업을 인수 합병했고, 이를 통해 에너지관리, 데이터센터 인프라, 영상보안, 태양광 인버터, 자동화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혀 원스톱 에너지 솔루션..
2019.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