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14 공원 묘원에 놓인 예쁜 쓰레기 공원 묘원에 놓인 예쁜 쓰레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곽서영 [공원묘원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조화 쓰레기] [자료 1. 공원묘원에 있는 플라스틱 조화들] 출처: 오마이뉴스 사회적 거리 두기 이후 처음 맞은 설인 22일 전국적으로 많은 성묘 인파가 몰렸다. 이에 따라 헌화용 꽃 판매도 덩달아 반짝 특수를 누렸는데, 자세히 확인해보니 생화보다 조화의 판매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생화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시들고, 당일 판매를 못 할 경우 상품 치가 떨어져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수월한 조화를 더 선호하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몇 년 새 성묘에 판매된 헌화용 꽃은 생화보다 조화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1만5천구를 운영하고 있는 용인의 한 추모 공원의 경우 헌화용 꽃의 대부분은 .. 2023. 2. 20. 일회용품 규제 확대, 명분만 앞세운 탁상 행정인가? 일회용품 규제 확대, 명분만 앞세운 탁상 행정인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홍서현 [코로나 트래쉬(Trash), 얼마나 늘었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인해 일회용품의 사용량이 급증하며 코로나 19로 인해 증가한 쓰레기를 칭하는 신조어 ‘코로나 트래쉬’까지 생겼다. 그렇다면 코로나 19 발생 전과 후, 폐기물 배출량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자료 1. 배달앱 월별 이용 건수 추이 ] 출처 :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하나카드의 배달앱 결제 데이터를 분석해 ‘배달앱 이용현황과 메뉴 유형별 수요특성’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코로나 19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전인 2020년 1월부터 4차 유행 직후인 2021년 12월까지 주요.. 2022. 11. 28. 해양을 오염시키던 폐어망과 로프의 새로운 변신! 해양을 오염시키던 폐어망과 로프의 새로운 변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박지원 [해양오염이란?] 해양오염의 정의는 해양(바다)에 배출, 투기된 물질이 바닷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UN에 의하면 바다에는 매년 8백만 톤의 쓰레기가 버려지고, 10만 여 마리의 해양생물들이 사망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많이들 알고있는 쓰레기 섬도, 이러한 해양오염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특히 바다 속에 떠다니는 빨대, 그물, 로프, 비닐과 플라스틱들은 해양 생물들이 삼키거나 몸에 엉킬 위험이 있어서 해양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오염 때문에 발생한 미세 플라스틱도 동물의 몸에 흡수되어 결국 인간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우리가 제대로 버리지 않는, 무심코 버리는 플라스틱들이 어디로 흘러갈지는 정확히 .. 2022. 10. 31. 우리가 하면 안 되는 일, 바다를 청소하는 것. 우리가 하면 안 되는 일, 바다를 청소하는 것.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권혜주 해양 쓰레기의 문제점 코에 긴 빨대가 박힌 거북이, 20kg 넘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고 숨진 고래, 거대한 면적의 쓰레기 섬. 어느 새부터 쓰레기는 바다 위를 둥둥 떠다니고, 우리가 버린 그리고 우리가 만든 쓰레기 섬으로 수많은 생물들의 목숨을 빼앗고 있다. 우리는 미디어 매체를 통해 바닷속 현실을 접하게 되었고, 이제 바다와 플라스틱은 떨어질 수 없는 사이가 되어버렸다. 플라스틱은 나노 단위까지 아주 작게 쪼개지기 때문에 쉽고 빠르게 플라스틱이 광범위하게 퍼지며 물고기의 먹이가 된다. 해양 생물은 플랑크톤이 아닌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로 택하며 먹이사슬이 점점 무너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 2022. 3. 28. 해양플라스틱 파헤치기(1): 해양플라스틱 개념 정립과 현황 파악 해양플라스틱 파헤치기(1): 해양플라스틱 개념 정립과 현황 파악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민정윤 1. 해양쓰레기란? 해양쓰레기는 바다로 들어가 못쓰게 된 사람이 활동하며 생긴 모든 부산물을 말한다. 근본적으로 육지의 쓰레기와 다르지 않다.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되었던, 바다에서 직접 버려졌건 사람이 활동하며 쓰인 모든 물건, 도구, 구조물 등이 해양쓰레기가 된다. 해양쓰레기는 해양폐기물, 바다쓰레기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해양폐기물에는 축산분뇨, 하수오니 등 해양으로 배출되는 액상의 물질이 포함되지만, 해양쓰레기라고 할 때는 일반적으로 고형의 폐기물만을 의미한다. 해양쓰레기가 어디에 분포하고 있느냐에 따라 해변 또는 해안쓰레기, 부유쓰레기(해수표면 가까이에 떠다니는 쓰레기), 해저 또는 침적쓰레기(바다.. 2020. 1. 27. 지구에게 건강을! 플라스틱 다이어트 지구에게 건강을! 플라스틱 다이어트 13기 정수인 출처 : Pixabay 플라스틱은 ‘신이 내려준 선물’ 이었다. 아프리카 코끼리의 상아를 대체할 물질을 만들려는 노력으로 1869년 미국의 존 하이엇에 의해 처음 개발되어, 1937년 듀폰사의 ‘나일론’의 발명으로 본격적인 플라스틱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영화 필름의 재료가 되는 셀룰로이드는 할리우드 영화 열풍을 일으켰고, 플라스틱으로 만든 비닐 레코드와 카세트테이프, CD는 음악의 대중화를 불러왔다. 플라스틱에 화합물을 첨가해서 만든 혈액 팩과 주사기는 많은 이들의 생명을 살렸고, 플라스틱 빨대와 같은 일회용 제품들이 생산되면서, 빨래와 설거지 같은 가사 노동의 부담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주었다. 플라스틱은 20세기의 인류의 역사를 함께 쓴 물질이다. .. 2019. 5. 1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