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14 수소에너지의 완벽한 친환경화, 가능할까? 수소에너지의 완벽한 친환경화, 가능할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유홍주, 19기 정지영 [차세대 에너지, 수소에너지] 인류의 문명과 경제사회에 크나큰 발전과 혁신을 가져온 것은 바로 화석연료이다. 교통수단, 생산수단 등 생활에 필요한 동력은 대부분 화석연료로부터 얻어진다. 이러한 화석 연료는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데,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에너지에도 한계가 찾아오게 된다. 영국의 석유화학 전문회사인 British Petroleum에 따르면, 지금과 같은 추세로 화석연료를 채굴할 경우 석유는 42년, 석탄은 133년, 천연가스는 60년 후면 고갈될 것이라 한다. 가까운 미래에 에너지의 공급이 단절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비단 화석연료가 없어지는 것만이 인류의 문제는 아니.. 2021. 3. 29. 축산업에 부는 녹색바람, 바이오매스 축산업에 부는 녹색바람, 바이오매스 16기 이나영 요즘 미디어나 여러 소셜미디어에 ‘비건’이라는 단어가 각광받고 있다. 비건은 채식주의자의 한 종류로 채소와 과일만 먹는 엄격한 채식주의를 의미한다. 즉, 육류뿐만 아니라 계란, 유제품, 생선을 섭취하지 않고, 오로지 식물성 음식만 섭취해야 한다. 더 나아가 채식주의자의 종류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보면 1. 세미 베지테리언-채식을 하지는 않지만 특정 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을 의미한다. 2. 플렉시테리언 –기본적으로 채식주의를 지향하지만, 사정상 혹은 본인 나름대로의 허용된 기준 내에서 육식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 3. 페스코 베지테리언 –일반적으로 고기는 먹지 않지만 어류는 섭취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 대, 계란과 유제품의 섭취 또한 허용한다. 4. 프루 테.. 2020. 11. 30. [2020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정보] (주)진에너텍 "국내 최초 하수슬러지연료탄 개발 기업", 진에너텍 1. 기업이름 (주)진에너텍 출처: (주)진에너텍 홈페이지 2. 기업 소개 진에너텍은 2017년 국내 최초로 하수슬러지 연료탄 양산에 성공하여 한국 중부발전과 한국동서발전에 전량 납품하고 있으며 해당 기술력은 정부로부터 인정받고 있다. 하수슬러지 연료탄과 관련하여 산업통상자원부 우수재활용제품(GR)인증을 획득하고 특허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환경부 대형 국책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국내 최초로 하수슬러지 바이오드라잉(BIOdrying)공법을 개발하였다. 더 나아가 하수슬러지 연료화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기 위해 국내 지방자치단체와 공공하수처리장 내 펠릿 제조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 2020. 7. 4. 온실가스를 바이오 연료로, 미생물 전기합성 공정의 첫걸음! 온실가스를 바이오 연료로, 미생물 전기합성 공정의 첫걸음! 17기 서유경 1. e-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정부 차원에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5억 3600억t으로 줄이기 위한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이 결정되었다. 이에 이산화탄소를 자원화 하는 기술에 주목하고 있으며 활발히 연구 중이다.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다양한 기술 중 바이오리파이어리(Bio-refinery) 기술에 대해 알아보려한다. 지난 5월 27일 국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바이오에너지연구개발센터 이진석 박사 연구진은 전해전지(Electrolytic cell)시스템과 미생물 대사과정을 결합한 ‘e-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을 개발했다. 이진석 센터장은 “e-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은 기존 바이오매스 기반 바이오연료, 화학소재 생산.. 2020. 6. 29. [2019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정보] 한국남동발전(주) 1. 기업이름 : 한국남동발전2. 기업소개[그림 1. 한국남동발전 로고]출처 : 한국남동발전 홈페이지 국내 최대 단위의 화력발전 시설을 보유한 한국남동발전은 국내 전기 생산량의 13% 이상을 공급하는, 건실한 에너지 공기업으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기반으로 국가 발전과 국민 복지에 기여한다'를 모토로 삼고 있다. 2016년에 들어서 한국남동발전은 각종 환경문제 및 탄소배출권등을 고려하여 친환경에너지 사업 확대를 내세운 2025비전을 발표했다. 2025비전에서는 'Clean & Smart Energy Leader'라는 슬로건과 함께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가 제시되었다. 현재 한국남동발전은 2025비전에서 수정한 2030비전을 통해 에너지 친환경화 선도와 더불어 '상생과 협력이.. 2019. 3. 19. Bio-resource tech vol. 2 <Bio-material; Bio-plastic> Bio-Material 중국의 재활용 쓰레기 수입 중단 조치로 인하여 페트(PET)병과 비닐 같은 일회용품이 그대로 폐기되는 등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가 쓰레기 대란을 겪고 있다. 이렇게 버려지고 있는 (고체)쓰레기 중 80%이상이 분해가 되지 않는 플라스틱 쓰레기라는 것이 문제이다. 플라스틱들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 생태계를 파괴시키며 여러 환경적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이는 먹이사슬을 통해 인류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림 1. 빨대가 콧속에 박힌 거북이 출처 : YTN 지난 3월 영국 맨체스터대 연구팀이 ‘네이처 지오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는 한국의 인천~경기 해안과 낙동강 하구가 세계에서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2~3번째로 높은 곳이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1㎡ 평균 미세플라스틱 개수가 1.. 2018. 8. 2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