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환경제11

쓰레기 대란, 이제는 해결해야 할 때 쓰레기 대란, 이제는 해결해야 할 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김채연, 19기 김다빈, 이수연, 20기 서범석, 최문선 [ 증가하는 폐기물, 감소하는 매립 용량 ] 우리가 하루에 버리는 쓰레기양은 얼마나 될까?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계 폐기물은 하루 평균 5만 7961톤(19년 기준)이다. 1인당 발생량으로 계산하면 매일 1.09 kg의 쓰레기가 버려지고 있다. 생활계폐기물의 발생량은 생활수준이 발달함에 따라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해왔는데,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일회용품 사용의 증가로 2020년과 2021년의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된다. [자료 1. 폐기물 발생량과 처리량 현황. 재인용 ⓒ김채연 ] 출처 : e-나라지표 폐기물 처리 방법은 크게 재활용, 소각, 매립으로 .. 2021. 8. 30.
순환경제사회 구현을 위한 재제조 산업을 알아보자! 순환경제사회 구현을 위한 재제조 산업을 알아보자!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김다빈 재제조 개요 재제조란, 폐기단계에 있는 사용 후 제품이나 부품을 회수하여 분해, 세척, 검사, 보수, 조정, 재조립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제품의 원래 기능 및 성능으로 회복시켜 재상품화하는 것입니다. 적은 비용, 자원 또는 에너지로 몇 번이든 제품 그 자체로서 녹이거나 파괴하지 않고 순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물질 재활용과 차별화된다. 재제조는 세계적으로 자동차 부품 재제조가 가장 활성화되어 있으며, 전기전자, 의료기기, 군수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제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재제조 산업은 크게 4가지(단순 재제조, OEM 재제조, 제3자 재제조, 통합 재제조)로 구분할 수 있다. 단순 재제조는 물류체계 없이 단순한.. 2021. 6. 28.
해양플라스틱 파헤치기(3) : 해양 플라스틱 대응을 위한 정부와 산업계의 협력 해양플라스틱 파헤치기(3) : 해양 플라스틱 대응을 위한 정부와 산업계의 협력 15기 민정윤 [자료1. 파도에 밀려 해안에 쌓인 해양 플라스틱] 출처: 그린피스 ‘해양 플라스틱 파헤치기 1편, 2편’에서 살펴봤듯 심각해지고 있는 해양 플라스틱 문제는 해안 지역 사회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플라스틱 제조 산업 및 폐기물 처리 산업 등 관련 산업체와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해양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사회는 산업계와의 협력 측면에서, 해당 산업의 성장 및 발전을 저해하지 않으며 국제적 환경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해양 플라스틱 관리는 현재의 정부 주도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이는 산업계 협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 2020.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