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그리드27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SG란? & SG확산사업이란? 스마트그리드(Smart-Grid)란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T)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최적화하는 전력 인프라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지능형 수요관리, 신∙재생 에너지연계, 전기차 충천을 통해 스마트그리드를 구현하는 것이다. 2015년 12월, 파리협정이 채택됨으로써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가졌고, 기존 에너지 시스템에서 에너지 신 산업으로 전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산업통상자원부와 8개 컨소시엄 주관사 및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은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이하 SG확산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하.. 2017. 2. 10.
에너지 산업의 오늘, 스마트 그리드 컨퍼런스에서 찾다 에너지 산업의 오늘, 스마트 그리드 컨퍼런스에서 찾다 지난 10월 5일~7일에 아시아 최대 에너지 산업전인 에너지 플러스 2016(Energy Plus 2016)이 개최되었다. 에너지 플러스에는 한국전기산업대전, Korea Smart Grid Week, InterBattery, EV Seoul 등의 행사가 동시 개최되어 폭넓은 에너지 기술과 사업이 총 망라하여 다루어졌다. 그 중에서도 Korea Smart Grid Week은 올해로 7회를 맞이하는 대표적인 행사로, 스마트 전력계측 장비 및 스마트 송배전 기술, ICT 에너지관리 솔루션, 신재생에너지연계 발전 시스템, ESS 연계 기술 등의 에너지 신산업 기술을 전시하고 있었다. [사진1. 7th Korea Smart Grid Week - 컨퍼런스룸] K.. 2016. 10. 31.
신재생에너지, 스마트 그리드와 함께 가야 한다. 여름철 전력 수요의 급증과 원전비리로 인한 전력 공급 문제로 우리는 매일 매일의 에너지 위기 속에 놓여 있다. 우리나라는 수도권에 전력수요가 집중되어 있어,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송전해야만 하는 시스템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혹시나 다른 지역 전력 생산에 차질이 생긴다면 수도권까지 정전사태를 걱정해야 하는 실태이다. 이런 상황을 타파할 수 있는 대안이 바로 스마트 그리드이다. 스마트 그리드란 공급자와 소비자가 필요한 에너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를 필요한 시간과 양에 따라 공급하게 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그리드의 특징은 디지털 방식으로 양방향통신이 가능하며 분산형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어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공급, 저장, 소비,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이다.이.. 2013.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