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재해5

재난은 결국 누구의 책임인가 재난은 결국 누구의 책임인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이서진 정부의 홍수 부실 대응을 지적하려 시위에 나온 스페인 시민들지난 11월 9일, 스페인 동부 발렌시아주의 주도 발렌시아시에서는 약 13만 명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당신들(정부)이 우리를 죽였다” “책임자는 즉각 사임하라”고 외쳤다. 같은 날 수도 마드리드와 알리칸테 등 인근 도시에서도 정부의 자연재해 대응을 규탄하는 집회가 열렸다. 시위대의 분노는 지역 당국을 향했다. 지난 10월 29일 발생한 폭우로 인한 홍수에 부실하게 대응했기 때문이다. 스페인에 내린 폭우는 최근 유럽 지역에서 발생한 최악의 자연재해로 꼽힌다. 특히 발렌시아주에는 약 8시간 동안 1년 치 비가 쏟아지면서 가장 큰 피해가 났다. 현재까지 파악된 사망자 220명 중 212.. 2025. 1. 27.
기후난민과 유럽의회 선거: 불안한 미래 기후난민과 유럽의회 선거: 불안한 미래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손동찬 생존을 위해 이주하는 사람들지난 6월 24일 경기도 화성시 소재 한 일차전지 제조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해 큰 인명피해를 낳았다. 총 2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이때 중국인 17명과 라오스인 1명을 포함한 18명은 이주노동자였다. 이들의 한국 이주 결정 배경엔 여러 요인이 있었겠지만, 한국의 임금 수준이 중국과 라오스보다 높은 점이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즉, 이들은 더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타국으로 이주했다.이주노동자들보다 더 근본적 차원에서 생존을 위해 이주하는 이들이 있다. 바로 ’기후난민’이다. 이들은 기후변화의 여러 영향으로 인해 이주를 결정하는데, 이 같은 영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 2024. 7. 25.
[취재] [도시침수 시리즈] 내가 사는 곳도 침수될까? 홍수위험지도로 알아보는 침수위험지역 내가 사는 곳도 침수될까? 홍수위험지도로 알아보는 침수위험지역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도시 침수 시리즈] 7월에는 집중호우로, 8월에는 태풍으로 도시가 잠기고 있다. 지구 온난화가 끝나고 지구 가열기인 'Global Boiling'에 접어든 만큼 기후 재난의 위력은 거세지고 있다. 과연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강해지는 기후재난으로부터 정말 안전할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시인 인천과 부산은 어떻게 침수를 막고 있을까? '도시 침수 시리즈'에서 본 기자와 함께 현장을 들여다보자. [오송지하차도 침수, 홍수위험지도는 이미 알고 있었다] 지난 7월 13일부터 17일까지 5일 동안 충남과 충북, 경북 등에 최고 570mm가 넘는 기록적인 '극한 호우'가 내렸다. 예상하지 못한 강수량 충북 청주.. 2023. 8. 31.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한 오염 문제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한 오염 문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황지영, 21기 심찬우, 21기 조채완, 22기 오상은 지난 8월 8일부터 17일 간의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해 재산, 인명 피해가 엄청나다.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한 특별재난 지역 대상에 따르면, 서울과 경기, 강원, 충청 지역 등의 10개 지자체에 7개 지자체가 추가로 선포되었다. 이 지역들은 수도권과 중부 내력 지역을 중심으로 내린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본 지역들이다. 8월 14일 기준 인명피해는 14명이 사망했으며, 6명이 실종됐고, 26명이 부상을 입었다. 인명피해 이외에도 공공시설 피해는 1077건이 발생했으며, 철도 13건, 하천 51건, 상하수도 39건, 산사태 262건 등이다. 그중에서도 산사태가 발생할 시 토사 유출, 옹벽 .. 2022. 9. 26.
차별하는 기후위기? 저소득층의 현실 차별하는 기후위기? 저소득층의 현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김민서, 18기 오연지, 19기 도형준, 19기 양은우, 19기 최혜연 2015~2019년은 지구 평균 온도 5년 단위 기록상 가장 따뜻한 기간에 해당한다. 산업혁명 이후로는 1.1℃ 상승하였으며, 앞선 5년보다는 0.2℃ 더 높은 수치이다. 이러한 지속적이고 가속되는 추세는 여타 주요 기후 지표들 사이에서도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에도 기후위기는 강도 높은 자연재해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측면에서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그중 본 기사에서는 기후위기의 영향이 사회적으로 불평등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소득 불평등에 이어 탄소 불평등까지? 옥스팜(국제구호개발 기구)과 스톡홀름 환경연구소(국제 환경정책 연구기관)는 .. 2021.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