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20 [Remake,취재]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에서 가을 명소로 거듭나다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에서 가을 명소로 거듭나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9기 이재진님의 "쓰레기 매립지였던 난지도, 친환경 바이오에너지원으로 다시 태어나다!" 기사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 주신 9기 이재진 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자연의 보고인 꽃섬에서 죽음의 땅으로 변한 ‘난지도’] 난초와 지초를 아우르는 의미인 ‘난지’도는 철 따라 온갖 난초와 꽃들이 만발해 꽃섬이라 불리기도 했다. 또한 맑고 깨끗한 수질 덕에 새들의 먹이가 되는 수생 동식물 또한 풍부해 겨울이면 수만 마리의 철새들이 날아드는 자연의 보고였다. [자료 1. 쓰레기로 가득 찬 매립지 상부] 출처: 서울특별시 하지만 1978년 3월, 난지도는 서울시 쓰레기 매립장으로 지정되면서 .. 2023. 11. 28. [2023 GreenEnerTEC 후기] 친환경을 생활 속으로, 이노버스 [2023 GreenEnerTEC 후기] 친환경을 생활 속으로, 이노버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진희윤 [이노버스 소개] 그린피스가 발간한 ‘플라스틱 대한민국 2.0 보고서’에서 한국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특히 우리나라 국민 한 명이 2020년 한 해 동안 사용한 일회용 플라스틱 컵은 102개로, 국내 전체 기준 53억 개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곳곳에서 이루어졌지만, 국내 플라스틱 재활용률은 2021년 기준 약 27%에 불과했다. [자료 1. 이노버스 부스 전경] 출처 : ⓒ23기 김용대 이노버스는 이러한 플라스틱 재활용 구조를 개선해 사회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국내 벤처기업이다. 이노버스를 설립한 장진혁.. 2023. 11. 12. [취재] 땅 파서 100원? 난 쓰레기 주워서 150원! [취재] 땅 파서 100원? 난 쓰레기 주워서 150원!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박주은, 23기 김경훈, 23기 김용대 [2025년이면 수도권매립지에 쓰레기 못 버려] [자료 1. 2025년 수도권 매립지 종료 선언] 출처: 인천광역시 인천시 서구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는 현재, 서울과 경기도, 인천시 등 수도권 3개 시도의 각종 폐기물을 매립하고 있어 수도권의 쓰레기 처리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시설이다. 하지만 수도권매립지는 2024년 11월이면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1년 당시 박남춘 인천시장은 2025년 수도권매립지 쓰레기 직매립 종료를 선언했다. 또한, 2020년 11월, 인천시는 옹진군 영흥면 외리에 2024년까지 1,400억 원을 투입해 자체 매립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 2023. 10. 31. 재활용 강국 대한민국? 숫자 뒤에 가려진 현실 재활용 강국 대한민국? 숫자 뒤에 가려진 현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이태환 [서론] 일상생활 속에서 환경을 위해 할 수 있는 작은 실천들을 떠올려보면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하기, 일회용품 사용 자제하기 등이 떠오를 것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쉽게 떠오르는 방법을 얘기하자면 단연 분리 배출일 것이다.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분리배출에 익숙하고, 행동으로 옮긴다. 환경 단체 및 기관에서 홍보하는 자료들로 배출 방법에 대한 인지도 잘 이루어져 있다. 환경부에서 발표한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의하면 1996년 54.9%에 그쳤던 폐기물 재활용률은 2020년 88.1%라는 높은 수치에 이르렀다. [자료 1. 한국의 폐기물 재활용률] 출처 : 국가지표체계 이는 유럽(38%), 일본(50%), 미국(2.. 2022. 8. 29. 세계 환경의 날, 그리고 우리의 자원순환 세계 환경의 날, 그리고 우리의 자원순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박지원 세계 환경의 날 6월 5일은 환경의 날이다. 1972년 6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국제사회가 지구 환경보전을 위해 공동노력을 다짐하며 제정한 날이다. 우리나라도 1996년부터 6월 5일을 법정기념일인 ‘환경의 날’로 제정하였다. 지구의 평균기온은 산업혁명 이전에 비해 지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평균기온은 이미 1.1℃ 올랐으며 10년 안에 1.5℃ 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이르면 2030년대 초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지구 환경의 보전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자료 1. HS애드가 환경의 날을 맞아 WWF(세계자연기금)와 함께 기획한 미디어아트 ] 출처 : Chosu.. 2022. 6. 27. 폐플라스틱 : 이래도 단순 쓰레기로 보이시나요? 폐플라스틱 : 이래도 단순 쓰레기로 보이시나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길민석, 21기 박도현 폐플라스틱 처리 문제 및 재활용 실태 [자료 1. 플라스틱 폐기 비율] 출처 : Social Innovators Table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쓰레기는 무엇일까? 비닐, 종이, 플라스틱 등이 떠오를 것이다. 이중 분해되는데 가장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증가세가 눈에 띈다. 현재 국내 하루 평균 쓰레기 배출량이 50만 톤을 넘어선 가운데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의 일평균 쓰레기 발생량은 54만 872t으로, 전년보다 8.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발생량과 증가폭 모두 역대 최대 규모다. 특히 이중에서도 한국의 1인당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 2022. 5. 30. [취재] 우리나라 순환경제, 순항하고 있는가 [취재] 우리나라 순환경제, 순항하고 있는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김채연, 오연지 [우리나라 재활용 통계, 진짜일까?] 열심히 분리수거 하는 사람들에게 허탈함을 안겨준 적이 있었다. 바로 깨끗하게 씻어서 버린 즉석밥 용기가 복합재질로 만들어진 제품이라 재활용이 안 된다는 거였다. 즉석밥 용기 말고도 여러 재질이 혼합된 화장품 용기 등도 재활용을 할 수 없다. 카페 로고가 그려진 일회용 컵은 색이 혼합되거나 녹는점이 달라져서 재활용이 안 된다. 알고 보면 재활용이 안 되는 제품들이 많은데 우리가 분리수거한 폐기물, 정말로 재활용이 잘 되고 있는 걸까? 재활용 통계를 확인해보기 전에 폐기물 분류 체계를 살펴보자. 폐기물은 크게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로 나뉘는데, 사업장폐기물은 사업장 일반과 5t .. 2021. 12. 27. 순환경제도 디지털 시대! 순환경제도 디지털 시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한동근, 19기 최혜연 심각해지고 있는 폐기물 문제 국내 쓰레기 문제는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다. 전국 일일 폐기물 총 발생량은 2014년 기준 40만 톤에서 2019년 49만 톤으로 급증했다. 5년 만에 쓰레기 배출량이 약 23%가량 증가한 것이다. 게다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쓰레기 문제는 더 악화되었다.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함께 증가한 의료폐기물은, 2021년 월평균 1560 톤이 발생했다. 특히, 확진자가 급증한 올 7, 8월에는 전년 대비 8배 이상의 폐기물이 발생되었다. 코로나19 의료폐기물은 일반폐기물보다 복잡한 과정을 거쳐 소각되는데 해당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은 국내에 13곳으로, 이 중 절반 이상이 소각장 용량을 초과.. 2021. 12. 2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