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활용65

새로운 책임, 태양광 폐모듈 리파워링 새로운 책임, 태양광 폐모듈 리파워링 16기 김미림, 16기 전예지, 17기 이지윤 태양광 폐모듈 발생량 통계자료 기반 소개 한국의 태양광발전설비는 2017년 6GW, 2030년 41GW, 2050년 135GW 수준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3020 정책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확대할 예정이며 이 정책이 시행되면서 2018년도 상반기에만 무려 1.34GW가 보급되었다. 또한 한국형 FIT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지속해서 설치량이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된다는 것은, 곧 태양광 패널이나 풍력터빈 등 재생에너지에서 나오는 폐기물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태양광 패널에는 수명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폐기물이 될 수밖에 없.. 2020. 6. 29.
알아두면 쓸모 있는 분리수거 잡지식 알아두면 쓸모 있는 분리수거 잡지식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정예진 우리나라가 OECD 분리수거 2위? 4월 22일 지구의 날 테마는 기후행동이었죠. 기후행동 중에 분리수거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우리나라는 2013년 기준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분리수거를 잘하는 나라예요. (1위는 독일) 또 2017년 환경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 중 69% 이상이 분리배출될 정도로 분리수거율이 높아요. 그런데 말입니다… 아래 사진을 볼까요? [자료 1. 외신(CNN)까지 취재하러 왔었던 경북 의성 쓰레기 산. 전국 곳곳에 비슷한 쓰레기 산들이 늘어나고 있는 중이다.] 출처 노컷뉴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일회용품 사용이 많아졌습니다. 또한 원유 가격 하락으로 재생원료를 사용하는 것보다.. 2020. 5. 25.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윤재성단원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김민서단원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전예지 단원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변은지단원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정예진단원 세계 곳곳에서 에너지 전환과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정책과 논의가 끊임없이 이뤄지며 다양한 방면에서 전기의 이용을 바탕으로 이전에 화석연료를 이용하던 시스템과 사회 메커니즘을 바꿔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자동차는 우리 생활과 가장 밀접해 있고, 세계적으로도 이용률이 증가했으며 화석연료를 주요 사용하는 축이다. 따라서 기후변화를 위한다면 전기차로의 전환이 필수불가결하다. 전기자동차란 전기모터로만 움직이는 순수한 차량이다. 이때 전기에너지는 전기 베터리에 저장된 전.. 2020. 2. 24.
미국은 왜 분리수거를 하지 않을까? 미국은 왜 분리수거를 하지 않을까? 15기 배수현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식당, 카페, 아파트 등 장소를 불문하고, 분리수거를 하는 것이 원칙이다. 플라스틱부터 유리, 캔, 비닐, 음식물 쓰레기와 일반 쓰레기 등 거의 모든 종류를 분리수거 하고 있다. 필자는 지난 7월 한 달을 미국(필라델피아, 뉴욕)에서 생활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미국은 선진국이고 지구 환경 보호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므로 일상생활에서도 환경 보호를 위한 행동들이 베어 있으리라 생각할 것이다. 필자 또한 그랬다. 하지만 예일대학교와 미국 환경보호국(EPA)에 따르면 미국은 재활용 가능한 물건 중 약 22%만 재활용한다고 밝혔다. 전 세계 인구의 5%를 넘게 차지하는 미국이 재활용은 커녕, 분리수거도 제대로 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필.. 2019. 9. 26.
쏟아지는 폐 배터리는 어디로?-배터리 회수 제도의 필요성 쏟아지는 폐 배터리는 어디로?-배터리 회수 제도의 필요성 R.E.F 16기 임상현 BoT(Battery of Things) 시대가 다가온 지금, 이젠 리튬 2차 전지(이하 배터리와 동일)가 들어있지 않는 제품을 찾아보기 어렵다. 휴대전화와 노트북뿐만 아니라 스마트 시계 등의 웨어러블 기기가 발전하면서 배터리의 활용분야는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배터리 산업의 성장과 동시에, 폐배터리의 처리 문제가 발생했다. 리튬 2차 전지는 유해성과 리튬의 불안전성으로 인해 폐기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초기 보급된 전기차의 수명한도가 가까워지는 지금, 곧 폐배터리가 쏟아질 예정이다. 해결 방안인 리사이클링(Recycling)과, 이에 대한 대한민국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2017.. 2019. 9. 26.
배연 탈황설비와 탈황석고 배연 탈황설비와 탈황석고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과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오염물질 배출이 많은 전력산업 특히 석유*석탄 화력 발전소의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석유*석탄 화력 발전소의 오염물질인 황산화물은 산성비와 호흡기 및 피부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만큼 철저한 오염물질 제거를 위해서는 관련 연구와 설비에 많은 투자가 요구되는데 한국은 오염물질 제거를 위해 배연 탈황 설비를 채택하여 투자하고 있다. [그림1. 한국형배연탈황설비] 출처 : 한국전력기술 배연 탈황 장치란 석탄*석유화력 발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황산화물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설비로 배연 탈황설비(FGD : Flue Gas Desulfurizer)가 있는데 크게 습식과 건식으로 나누어지며 탈황제.. 2018. 9. 17.
응답하라 태양광 - 폐모듈편- 2018. 6. 18.
당신이 사용하는 제품은 얼마나 환경적인가 -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에 대해 당신이 사용하는 제품은 얼마나 환경적인가 -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에 대해 1년 전 홈커밍데이 행사 진행 간 종이컵 대신 텀블러 혹은 개인 컵을 사용하는 인원에게 소정의 경품을 수여하는 이벤트를 진행했었다. 재생에너지를 표방하는 단체이기에 참신한 기획이라고 생각했고, 단원들의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머그컵,텀블러가 종이컵보다 얼마나 친환경적인가?’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는데, 정확히 어느 항목에서 어느정도 양의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정보가 전무했기 때문이다. 현재 정부 기관 및 환경단체에서는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기 위한 캠페인 등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컵(혹은 텀블러) 활용을 장려하고 있는 추세인데, 재사용 가능한 컵은 종이컵(혹은 일회용 컵)에 비해 얼마나 친환경.. 2018.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