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21 태양광 발전 지원정책, 어디까지 알고 있니? 14기 박진감, 15기 나혜인, 15기 최명근, 16기 문정호, 16기 이나영 [사진 1. 에어컨과 전기계량기] 출처: 국민일보 무더운 여름 8월! 숨을 쉬기가 답답할 정도로 뜨거운 태양볕을 이겨내고 집으로 무사히 돌아온 나, 거침없이 에어컨 리모컨을 잡고 ‘ON’ 버튼을 누르려는 순간 멈칫하게 된다. 무엇이 나의 손을 망설이게 하는 걸까? 정답은 바로 ‘전기요금’이다. 에어컨은 전기 사용량이 많은 가전제품 중 하나다. 한국처럼 전기요금 누진제를 적용하는 국가에선 쉽사리 사용할 수 없다. 사용량에 비례해 전기요금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요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에어컨이 있는데도 고스란히 바라만 봐야 하는 걸까? 전기요금과 더위문제를 한 번에 해결해 모두가 행복하게 여름을 나는.. 2019. 8. 21. 시멘트에서 이산화탄소가?! 시멘트에서 이산화탄소가?! 13기 양찬미 수많은 빌딩, 두 지역을 연결해주는 다리, 도로, 항만, 댐 등 우리 주변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우리 일상에 없어서는 안되는 콘크리트. 그러나 콘크리트가 온실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발생의 요인 중 하나라는 사실은 알고 있는가? 이번 기사에선 콘크리트와 이산화탄소와의 관계, 그리고 앞으로의 지속가능한 콘크리트 산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사진 1. 빌딩사진] 앞서 말한 콘크리트의 이산화탄소 발생을 명확히 말하자면, 시멘트의 이산화탄소 발생이다. 시멘트는 콘크리트의 주 재료로, 그 역사는 아주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시멘트의 주 원료는 석회석으로, 광산에서 채굴해온 석회석을 잘게 부순 뒤 부원료(점토, 규석.. 2019. 6. 15. [신입기수 모집]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단원을 모집합니다. 안녕하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단장 윤지혜입니다. 2019년 8월부터 1년간 기자단과 함께 할 16기 기자단원을 새로 모집합니다. 전공,지역,연령 무관 신재생에너지 및 지속가능 기술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넘치는 대학(원)생 누구나 가능합니다. 기한내에 아래 첨부된 지원서류를 작성하여 solarfollowers@gmail.com 으로 접수해주시면 됩니다. ▽▽▽ 문의사항이 있으신 분은 대신기 공식 SNS(카카오톡 플러스친구, 페이스북) 또는 단장 윤지혜(카카오톡: wlgP5370)에게 문의주시면 됩니다. * 대신기 공식 SNS 1)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 페이스북: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3) 인스타그램: ref_stargram ** 문의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와 페이스북만 가.. 2019. 5. 30. 화려한 태양광발전 화려한 태양광발전 지금 정부의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산업 중 가장 주목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태양광 에너지 분야에 대하여 이야기해보자고 한다.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아주 다양한 방법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실리콘을 이용한 방법이 있지만 이 외에도 화합물 염료감응형 유기물 등이 있다. 지금 소개하고자 하는 방식은 염료감응형 방식이다. [그림 1. 태양전지 종류] 출처: (주)삼호산업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실리콘을 이용한 반도체 태양전지와는 달리 나노기술과 유기 염료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절반 정도이지만 제조단가가 1/3에서 5/1수준에 이른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반투.. 2018. 6. 18. Regeneration, 도시재생이 신재생에너지를 이끈다 Regeneration, 도시재생이 신재생에너지를 이끈다 도시재생? 모든 도시는 도심이라 불리는 작은 중심지에서 외부의 시가지로 도로망을 연결하고, 점차 외부로 확장을 하면서 성장해왔다. 도시의 초기단계에서는 자그마한 도심지역에서 도시의 교통, 주거, 상업 등의 모든 기능을 담당하지만, 점차 시간이 흐를수록 사람들은 업무와 주거공간을 분리하려 하고, 편리한 교통, 쾌적한 공간과 여가 생활을 원한다. 이에 따라 CBD(중심 업무지)와의 교통은 원활하면서 주거공간이 많이 확보될 수 있는 신시가지 지역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도시발전의 흐름은 기존 도심보다 외부 지역으로 기능을 분산하고 외부의 발전에 집중한다. 이로 인해 도시의 생성기 때 도시의 핵심으로써 큰 역할을 해온 기존 도심은 역할을 .. 2018. 6. 1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