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효율화가 산업부문 에너지전환을 이끈다
에너지효율화가 산업부문 에너지전환을 이끈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이명현 단원 2019년 8월 국회예산정책처가 발표한 ‘2018 회계연도 결산 총괄분석’과 이에 대한 산업부의 언론 보도 해명자료에 따르면, 하루 24시간 1년 365일 가동을 가정할 때의 발전설비 이용률은 2013년 태양광 11.8%, 풍력 22.5%에서 2017년 태양광 13.8%, 풍력 21.7%로 소폭 증가하거나 감소하였고, 준공 및 가동 시점을 고려하더라도 2017년 태양광 16.0%, 풍력 22.1%, 2018년 태양광 15.3%, 풍력 22.3%의 이용률을 기록하였으며, 부생가스(2013년 27.9%, 2017년 71.8%)에 비해 이용률의 증가폭이 작았다. 태양광, 풍력의 발전설비 이용률이 15~20% 수준에 머무르고 ..
2020. 3. 23.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저온의 열에너지로도 충분해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저온의 열에너지로도 충분해 전세계적으로 유가의 급변에 대한 우려, 지구 온난화로 인한 탄소배출 규제 및 화석연료의 사용 제한 조치가 잇따르면서 새로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제는 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을 더이상 미뤄둘 수 없는 시점에 이르렀다. 신재생에너지는 3개의 신에너지 분야(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와 8개의 재생에너지 분야(태양열, 태양광, 바이오, 풍력, 수열, 지열, 해양, 폐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대다수의 신재생 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하여 사용하거나, 어느 지역이나 동등하게 주어지는 자연환경에 뛰어난 과학 기술을 접목하여 개발을 해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기에 화석연료보다 지리적 환경..
2018.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