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ra5

[Remake] 스마트 그리드의 그리드 패리티 [Remake] 스마트 그리드의 그리드 패리티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김승현 23기 고가현님의 "대한민국, 그리드 패리티 언제 달성할래?" 기사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 주신 고가현님에게 감사드립니다. 신재생에너지 경쟁력의 분기점, 그리드 패리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의 핵심은 신재생에너지가 기존 화석연료 기반 전력보다 경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다. 이러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위해 필히 달성해야 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그리드 패리티’이다.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는 신재생에너지로 전력을 만드는 비용이 기존 전력망에서 화석연료로 전력을 구매하는 비용과 같아지는 시점을 말한다. 스마트 그리드가 그리드 패리티라는 분기점을 달성하면, .. 2025. 5. 26.
넘어야만 하는 중국發 배터리 넘어야만 하는 중국發 배터리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백선우 중국과 한국의 격차세계 배터리 시장의 저울추는 중국 쪽으로 기울어 있다. SNE리서치가 집계한 2025년 1∼3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221.8 GWh 가운데 CATL이 84.9 GWh(38.3 %), BYD가 37.0 GWh(16.7 %)를 차지해 두 업체만으로 과반을 넘겼다. 같은 기간 한국 3사의 합계 점유율은 18.7 %에 불과했다. 규모와 속도, 그리고 터무니없이 낮은 단가 중국산 LFP 팩은 kWh 당 100달러를 밑돌고 있는 상황이 격차를 벌린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CATL·BYD가 광산부터 완성차까지 묶은 수직통합 체제를 갖춘 반면 한국 기업은 여전히 ‘소재 의존‑셀 전문’ 구조에 머물러 있다는 점도 격차의.. 2025. 5. 26.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LCOH 최적화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LCOH 최적화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태현, 26기 김예은, 27기 김계환, 27기 이대현, 27기 이희원 수소 경제의 핵심 과제: 그린 수소와 생산 비용기후 위기가 가속화되면서 ‘탈(脫) 화석연료’가 세계 경제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탄소 배출량을 줄이면서도 안정적인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대안으로 수소 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다. 이미 여러 국가와 기업이 수소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수소를 기반으로 한 산업 전환이 가속화되는 중이다.수소는 생산방법에 따라 크게 그린수소, 블루수소, 그레이수소 등 색깔별로 구분된다. 그린수소는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되는 방식으로, 탄소 배출이 거의 없다는 점.. 2025. 2. 16.
[배터:Reader] 국가권력의 TESLA, 일론 머스크 읽기 [배터:Reader] 국가권력의 TESLA, 일론 머스크 읽기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강민석, 김대건, 류호용 국가권력을 선택하고 쟁취한 일론 머스크 하이 리스크, 하이리턴(High Risk, High Return)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매우 위험한 투자, 도박(Gamble)을 의미한다. 2024년 한 해에 이를 가장 표현한, 성공적인 인물은 연말의 주식시장을 불태우고 있는 현 TESLA 및 스페이스X CEO, 일론 머스크(Elon Musk)일 것이다. 그는 전 세계가 주목하는 2024 미국 대선에서, 45대 미국 대통령을 지낸 도널드 트럼프를 직접적으로 지지 및 대폭 투자를 실행하는 ‘하이 리스크’를 바탕으로, 그를 47대 대통령으로 당선시키는데 이바지했다. 앞으로의 트럼프.. 2024. 12. 30.
그가 돌아왔다. 미국도 돌아갈까? 그가 돌아왔다. 미국도 돌아갈까?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손동찬 그가 돌아왔다"기후변화는 하나의 거짓말(hoax)이다", "지구온난화로 해수면이 향후 400년간 1/8인치 상승할 거라고 하는데, 이는 해안가 부동산이 더 많아지는 것이다. 지구온난화는 큰 위협이 아니다."위는 곧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할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에 해당한다. 그가 돌아왔다. 트럼프 당선인은 평소 기후변화를 부정하는 입장을 여러 차례 낸 바 있고, 기후변화 대응에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이다. 단적인 예로 첫 임기 시절 파리협정 탈퇴 선언이 있다.이에 따라 미국의 기후변화 대응이 소극적으로 변하거나 퇴보할 것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파리협정 재탈퇴 선언이 점쳐지고 있고, 석유와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생산이 늘어날 것으로 .. 2024.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