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을 공유한다고? 우린 깐부잖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김수정, 20기 강주혁
[일회용 플라스틱 컵 쓰레기 현황]
우리는 매일매일 일회용 플라스틱 속에서 살아간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2015년부터 꾸준히 증가해 2019년에는 1,035만 9,504t이 발생하였다. 다양한 플라스틱 폐기물 중에서도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이 바로 “일회용 플라스틱 컵”이다. 2017년 조사 결과 1년 동안 한국인이 사용한 일회용 컵은 33억 개로 1인당 65개였다. 환경부에 따르면 대형 커피전문점과 패스트푸드점 매장에서 수거된 2019년 일회용 컵 월 평균 수량은 53톤(t)이었지만 코로나가 발생한 지난해 3월부터 수거량이 늘어나면서 5월에는 61톤(t)으로 증가하였다.
[자료1.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 추이]
출처: 서울신문
[공유컵의 도입 배경과 특징]
폐플라스틱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가 바로 개인 텀블러 사용이다. 그러나 깜빡하고 텀블러를 두고 온 날에는 일회용 컵을 쓸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 대표적인 시도가 바로 “공유컵”이다. 커피 전문점 등과 같은 곳에서 포장 판매되는 음료를 구매했을 때 일정한 규격을 가진 다회용 플라스틱 컵에 음료를 담아 제공된다. 소비자들은 음료를 다 마신 후 정해진 반납 장소에 공유컵을 반납하면 된다. 후에 반납된 공유컵은 세척과정을 거쳐 다시 사용된다.
최근 스타벅스에서 진행했던 다회용 컵 이벤트가 불필요한 플라스틱 소비를 늘린 ‘그린워싱’일 수 있다며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따라서 이 정책 또한 집집마다 이미 텀블러가 있는데 새로운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냐는 걱정이 따를 수 있다. 하지만 공유컵은 다시 수거해서 재사용되는 “다회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회용 컵의 사용을 확연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이미 가지고 있는 텀블러를 기증받아 공유컵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결과적으로 공유컵은 우리가 텀블러를 챙겨가지 않아도, 일회용컵을 대신하여 음료를 담는 역할을 수행한다. 환경과 편리함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공유컵은 현재 어느 정도로 사용되고 있을까? 국내 및 해외의 적용사례를 함께 살펴보자.
[국내 및 해외 적용 사례]
1. 국내 사례
국내 및 해외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0년 10월 26일부터 12월 31일까지 환경재단과 함께 이화여대와 국민대에서 시범 운영이 되었다. 주로 캠퍼스 내 카페에서 공유컵을 제공하고, 다 사용한 컵은 지정된 카페에 반납하는 시스템이다. 환경재단에서 제작한 ‘서울오래컵’은 500mL 용량으로, 폴리프로필렌(PP)와 우드 재질을 혼합하여 튼튼하게 제작되었다. 이후 수거된 컵은 다회용기 관리업체 ‘트래쉬버스터즈’가 직접 세척, 건조, 살균을 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한다.
시범 운영의 결과는 놀라웠다. 이화여대의 경우 2,024회, 국민대의 경우 1,740회의 공유컵을 사용하였고 이 중 87%가 정상적으로 반환되었다. 이는 예상보다 높은 수치였다. 왜냐하면 코로나 시대에 번거로움과 위생적인 문제로 감염 우려가 있기에 이용률의 저조가 예상되었기 때문이다.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사람이 참여하였고 위생적인 측면에서도 안정성을 확보하여, 공유컵 사용의 확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료2. 서울 다회용컵 사진]
출처: 환경재단
이러한 실험의 결과로 올해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카페에서는 다회용 컵을 사용하고 있다. 10여 개의 카페가 공동으로 ‘보틀 클럽’이라는 컵을 공유하고 있다. 이는 어떤 카페에서 컵을 사용했든 10개의 카페 중 원하는 곳에 반납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반납된 컵은 카페에서 깨끗하게 세척하여 다시 손님에게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다회용 컵을 이용하는 소비자 A 씨는 “식당 가서 수저도 다 세척해서 쓰는 건데, 컵도 괜찮을 것 같아요”라는 반응을 보였다.
2. 해외 사례
또한, 해외의 경우 국내보다 더욱 활발한 사용률을 보이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독일의 ‘프라이부르크 컵’과 영국 런던의 ‘컵 클럽’이 있다. 독일의 경우 2016년 11월부터 공유컵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프라이부르크시 전체 카페 중 70%가 'FreiburgCup' 시스템에 가입하였다.
[자료3. 독일 프라이부르크 컵]
출처: 제로 웨이스트 유럽
이는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킴과 동시에, 실제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진행된 것이었다. 실제 독일에서는 매년 약 28억 정도의 일회용 컵이 버려진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SF’라는 기업이 카페에 다회용 컵을 무료로 제공하고, 카페는 이 컵을 세척하는 시스템이 마련되었다.
손님들은 참여 카페 어디에서나 보증금 1유로에 컵을 대여하고, 반납 시 이 금액을 환불받는다. 그러나 2019년까지 약 26,000개의 컵이 제공되었지만, 15%의 미환불 보증금이 쌓였다고 한다. 또한 참여 카페 중 일부가 적극성을 보이지 않고, 손님들의 눈치를 보기에 급급하여, 보증금을 받기 어려운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이를 통해 자발적인 참여만이 아닌 국가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자료4. 영국 컵 클럽]
출처: Clubzero
영국 런던의 경우 컵 클럽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이 되었는데, 일회용 컵 대신 ‘One Stop’이라는 다회용컵 을 제공하고 수거, 세척하는 시스템이다. 관련 규모는 카페, 공항, 회사, 대학 캠퍼스, 거리 축제 등 다방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Cup Club의 최대 장점은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반환율을 더욱 향상하기 위해 컵 뚜껑에 RFID(전자태그) 칩을 부착하여, 컵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공유컵 사용의 기대효과]
우리는 위생적인 이유 때문에 공유컵 사용을 망설이고 있었다. 기본적으로 다른 이와 공유하는 물건은 위생적으로 좋지 않다는 통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20년 6월 그린피스의 조사에 따르면, 깨끗하게 세척한 다회용기는 오히려 일회용품보다 더 높은 안전성을 보인다고 한다.
[자료5. 물건별 위생 안정성 비교]
출처: 트레쉬버스터즈
국내 및 해외에서 공유컵을 시도한 공통적인 이유는 하나였다. 바로 “일회용품의 감소”이다. 코로나 시대로 비대면 생활에 익숙해지면서, 우리는 점점 일회용품 사용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다. 우리 일상에는 일회용품이 자리를 잡는 빈도가 더욱 늘어나고, 관련된 쓰레기 배출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코로나라는 그림자 속에서 우리는 너무 일회용품 사용에 안일했던 것이 아닐까? 코로나는 언젠가 끝나게 될 것이고, 우리는 이와 관계없이 일회용품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 국내보다 먼저 공유컵을 시도한 해외 국가의 경우 결과적으로 일회용품 사용량 감소에 큰 효과를 얻게 되었다.
우리는 공유컵 미반환율 처리, 경제적 효과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지만 앞서 선행한 사례들을 참고하여, 긍정적인 부분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언제까지 무책임한 편리함만 추구할 것인가. 이제 지구 환경에도 편리함을 제공해야 할 시기가 왔다.
일회용 컵 에 대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기사 더 알아보기
1. "쌓여가는 리유저블 컵, 이대로 괜찮을까?", 작성자(19기 최혜연), https://renewableenergyfollowers.tistory.com/m/3513
참고문헌
1) 김민제, “일회용 컵 개인 텀블러 없어 ‘아아 테이크 아웃’ 가능할까?”, 한겨레, 2021.08.19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008367.html
2) 이유영, “일회용 컵 1년에 33억 개,,, 아예 없애보자 실험”, MBC, 2021.07.11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285431_34936.html
3) 이재호, “포장용 플라스틱 사용량, 한국이 세계 2위인 거 아셨나요”, 한겨레, 2018.04.03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285431_34936.html
4) 이한경, “코로나 시기 위생 우려에도 다수 대학생은 환경 살리기 컵 찬성”, 주간동아, 2021.01.06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0404750&memberNo=39087579&vType=VERTICAL
5) 손지민, “생산부터 폐기까지 온실가스 배출 주범 플라스틱… 재활용률은 9%에 그쳐”, 서울신문. 2021.10.25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1026010001&wlog_tag3=naver
6) 손호영, “한국인이 쓰는 일회용컵 25,700,000,000개 플라스틱은 세계 1위”, 조선일보, 2018.05.08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08/2018050800187.html
7) 조지윤, “다회용 컵을 공유하면 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을까?”, 인터비즈, 2021.10.08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514113&memberNo=35786474&vType=VERTICAL
8) 트래쉬버스터즈, https://trashbusters.kr/clean-safe
9) 환경재단, http://www.greenfund.org/
10) Ferren Rosa,“Coffee to go? Freiburg says tschüss to single-use cups!”, Zero Waste Europe, 2021.09.21
https://zerowasteeurope.eu/2018/09/coffee-to-go-freiburg-says-tschuss-to-single-use-cups/
11) Clubzero, https://www.clubzero.co/
'News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후핵연료, 미완의 과제 (6) | 2021.11.29 |
---|---|
ESG에 드리운 유리천장, 그 내면의 진실은? (12) | 2021.11.29 |
착한 플라스틱? PLA가 뭐길래! (7) | 2021.10.25 |
REC 거래시장의 2021년 (5) | 2021.10.25 |
어떤 도시에 살 것인가, 어떤 삶을 살 것인가 (0) | 2021.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