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촉발한 전력 위기, 해법은 'AI 오케스트레이션'에 있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노철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새로운 에너지 전환 정책 방향 제시
[자료 1. 노철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이 발표하고 있다]
출처: ⓒ23기 김경훈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이 전력 수요의 폭발적 증가를 야기하며 에너지 시장의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노철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AI를 활용한 에너지 전환 정책 방향' 발표를 통해, AI 데이터센터 등이 유발하는 전력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선 장주기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와 함께, 복잡한 에너지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는 'AI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노 연구원은 AI 데이터센터가 전력망에 가하는 부하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원자력의 필요성을 언급했으며, 특히 24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주기 ESS의 역할을 핵심 과제로 꼽았다. 더불어 전기차 가정용 완속 충전, 히트 펌프 보급 확산 등 새로운 전력 수요 패턴이 복잡하게 얽히고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노 연구원은 단순히 머신러닝을 이용해 에너지 사용량을 최적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기존의 접근 방식은 명확한 한계에 부딪혔다고 지적했다. 그는 "단순 효율화는 새로운 가치나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기 어렵다"며,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수요를 실시간으로 조율하고 통제하는 지휘자 역할의 ‘AI 오케스트레이션’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노 연구원은 미국의 사례를 들며 AI를 핵융합과 같은 파괴적 혁신 기술 개발에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에너지 고속도로’와 같은 미래형 인프라를 구축하고, 낡은 전기사업법 규제를 과감히 개선해 혁신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하는 것이 에너지 전환 시대의 핵심 정책 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발표를 마쳤다.
'Activity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P Conference] "AI 에너지, '공급' 아닌 '수요' 예측이 돈 번다… 민간에 기회 열어야" (0) | 2025.10.19 |
---|---|
[SEP Conference] AI가 촉발한 전력 위기, 해법은 'AI 기반 분산 전력망' (0) | 2025.10.19 |
미래 에너지 기술의 집약, '스마트에너지플러스 2025' 성황리 폐막 (0) | 2025.10.18 |
에너지 산업의 미래를 한눈에, ‘SMART ENERGY PLUS 2025’ 개막 (0) | 2025.10.15 |
국내 유일의 에너지 밸류체인 특화 전시회, 스마트에너지플러스 2025 (0) | 2025.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