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tivity/기타

[SEP Conference] AI가 촉발한 전력 위기, 해법은 'AI 기반 분산 전력망'

by R.E.F. 23기 김경훈 2025. 10. 19.

AI가 촉발한 전력 위기, 해법은 'AI 기반 분산 전력망'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김종율 한국전기연구원 센터장, "AI, 단순 도구를 넘어 전력망 운영의 핵심 주체로 진화해야"

[자료 2. 김종률 한국전기연구원 에너지플렛폼연구센터 센터장 발표]

출처: ⓒ23기 김경훈

인공지능(AI)이 야기한 폭발적인 전력 수요가 이미 포화 상태인 국내 전력망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나왔다. 김종율 한국전기연구원 에너지플랫폼연구센터장은 'AI가 바꾸는 에너지 - 현황과 기술적 과제' 발표를 통해, 기존의 중앙집중형 전력 시스템을 탈피해 AI가 운영의 두뇌 역할을 하는 '분산형 전력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 센터장은 국제에너지기구(IEA) 자료를 인용하며,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이 2030년경에는 한국의 연간 총소비량을 훌쩍 뛰어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제는 한국의 전력망, 특히 수도권은 이미 포화 상태라 데이터센터와 같은 새로운 대규모 전력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는 "송전망을 추가로 건설하는 것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 그리고 주민 수용성 문제로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며, "문제의 핵심은 전력망"이라고 진단했다.

김 센터장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분산형 전력망'을 제시했다. 이는 대규모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멀리까지 보내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태양광을 비롯한 분산 에너지를 수요지 인근에 설치하고 '지역에서 생산해 지역에서 소비(지산지소, 地産地消)'하는 개념이다.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통해 각 지역이 독립적으로 에너지를 운영하면, 국가 기간 송전망의 부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산형 전력망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 바로 AI 기반의 '에너지 플랫폼'이다. 김 센터장은 현재 AI가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 운영을 최적화하는 '도구'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AI가 코드의 오류를 스스로 수정하고 최적의 운영 방안까지 생성하는 'AI 에이전트'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미국의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가 개발 중인 'AI 코파일럿(Co-pilot)' 시스템처럼, AI가 인간 운영자와 협력하여 전력망의 위기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검증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 센터장은 성공적인 AI 도입을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 난제들을 제시했다. ▲양질의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확보하는 문제 ▲국가 안보와 직결된 전력 시스템의 보수성을 넘어설 AI의 신뢰성 검증 체계 마련 ▲공용망 사용에 따른 사이버 보안 위협 대응 ▲에너지와 AI를 모두 이해하는 융합형 인재 양성 등이 시급한 과제라고 덧붙이며 발표를 마쳤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