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 혁신형 SMR로 탄소중립 미래를 제시하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28기 정성엽
[자료 1. 한국수력원자력 부스 전경]
출처: ⓒ23기 김경훈
지난 '스마트에너지플러스 2025(SEP 2025)'에서 대한민국 최대 발전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탄소중립 시대를 이끌 청정에너지 기술을 선보였다. 한수원은 2001년 설립 이후 안정적인 발전 사업과 꾸준한 R&D를 통해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친환경 에너지로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는 비전 아래, 이번 전시회에서는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를 핵심으로 내세웠다.
더 안전하고 경제적인, 혁신형 SMR(i-SMR)
[자료 2. i-SMR]
출처: 한국수력원자력/ⓒ28기 정성엽
이번 SEP 2025에서 한수원이 공개한 i-SMR은 기존 국내외 SMR 기술보다 안전성, 경제성, 유연성을 한층 더 강화한 170MWe급 일체형 가압경수로이다. 2030년대 초반, 확대될 SMR 시장을 선점하고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한수원의 미래 전략을 엿볼 수 있었다.
게임으로 체험하는 'SMR 스마트 넷제로 시티'
[자료 3. SMR 기반 혁신 도시]
출처: ⓒ23기 김경훈
부스에는 SMR이 도입된 미래 도시를 보여주는 자료도 있어서, 한 눈에 SMR 기반 혁신 도시를 바로 이해할 수 있었다.
[자료 4. SMR 스마트 넷제로 시티 게임 화면]
출처: ⓒ23기 김경훈
특히, 'SMR 스마트 넷제로 시티'를 직접 건설해보는 게임형 체험 공간은 많은 관람객의 호응을 얻었다. 참가자들은 에너지 산업, 주거 및 상업 시설을 직접 배치하며 에너지 소비량, 탄소 배출량, 인구밀도를 조절했다.
이 게임은 화력발전소를 가동하면 탄소 배출량이 급증하고, 태양광 발전 비율이 너무 높으면 에너지 공급이 불안정해지는 등 각 에너지원의 특징을 현실적으로 반영하여 교육적인 재미를 더했다.
한수원의 i-SMR이 성공적으로 도입되어 대한민국의 넷제로(Net-Zero) 달성에 핵심적인 기여를 하기를 기대한다.
'News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P 2025] AI가 촉발한 전력 위기, 해법은 '지능형 분산망'… "수익 모델과 민간 참여가 관건" (0) | 2025.10.18 |
---|---|
다회용기 사업, 보여주기식으로 끝나지 않으려면…글로벌 재사용 서비스 루프(Loop) 프랑스 시장 성공 이유 (0) | 2025.09.26 |
[취재] 기후위기와 미디어 컨퍼런스 : 미래 세대, 기후위기를 말하다 (1) | 2023.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