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tivity907

이완근 회장 “국내 태양광 산업 힘을 모아야 할 시기” 이완근(신선솔라에너지)회장은 2011년 7월 6일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열린 KPC(Korea Photovoltaic Conference)에서 ‘한국의 태양광 산업의 나아갈 길’이란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였다. 그는 국내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기업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 태양광 산업이 직면한 과제 해결 방안과 그리드 패리티 도달 시 시장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완근 회장은 ”한국 태양광 산업이 직면한 과제는 중국 기업과 규모 경쟁 에서의 열위이다. 2010년 중국 정부는 총 RMP 250 billion(약 42조원)을 중국 내 태양광산업에 지원하였다. 그 자금을 바탕으로 중국은 올해 전 세계1GW 이상의 생산규모를 계획하고 있는 16개 기업 중 9개 기업이다. 반면 국내 태양전지 총 생산량은 중국.. 2011. 7. 11.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 손정의 소프트 뱅크 회장, 후쿠시마 원전사태와 태양광산업에 대하여 한국계 일본인이자 일본 최고의 부자인 것으로 유명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에서 기조연설을 하기 위해 한국에 왔습니다. 이날 손정의 회장은, 불과 몇 개월 전 만해도 녹색성장과 관련된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게 될 것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다는 말로 연설을 시작하였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태양광발전에 관심 갖게 됨" 인터넷의 황제라고 불리는 그가 태양광발전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에 관심을 가진 것은 지난 3월 후쿠시마 원전 사태 때문입니다. 손정의 회장은 일본이 주변 해양, 어장, 공기 등을 오염시킴으로써 인접 국가들에게 민폐를 끼쳤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런 상황을 바꾸어야겠다는 결심을 내렸고. 적극적인 추진력을 통해 일본의 에너지 정책을 바꾸어냈습니다. "일본의 탈원자력 노력과 .. 2011. 7. 3.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 썬텍 스정룽 회장, 태양광산업을 말한다 "기후변화와 에너지 수요 증가를 동시에"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더 많은 에너지를 제공해야 합니다.' 스정룽 썬텍 회장은 중국을 비롯하여 많은 지역에서 아직도 전력공급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사실을 지적하며 이렇게 밝혔다. 그는 또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마주하게 된 새로운 딜레마를 제시했다. 기후변화의 위기로 인해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을 지속할 수도 없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우리는 기술과 사고방식의 전환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태양광산업, 이미 크게 성장"  그의 발표에 따르면 태양광업계는 2001년 대비 태양광발전 비용을 70%, kw당 15센트까지 줄이는데 성공하였다. 이는 정부의 보조금 없이 달성한 성과이며 18GW가 넘는 태양광 발전 시설이 설치되었으며 이에 따라 태양광산업의 .. 2011. 7. 3.
듀폰 '이노베이션 센터'한국에서 세계 최초 오픈 협력과 아이디어 공유라는 타이틀 아래 2011년 6월 28일 듀폰 이노베이션 센터가 한국 분당에서 세계적으로 처음 오픈 했다. 듀폰 코리아는 “급변하는 시장환경과 점점 증대되어가고 있는 한국 고객들의 요구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고 고객과 협력하여 상호 발전을 이루기 위함이다”라고 이노베이션 센터를 오픈 하게 된 취지를 밝혔다. 이노베이션 센터는 고객중심, 공동협업, 기술지향적인 접근, 실시간 응대라는 방침을 바탕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해 센터는 ◆이노베이션 스페이스(최신 응용 솔루션 및 시스템 전시공간) ◆콜레보레이션 스페이스(화상회의 시설을 갖춘 회의공간) ◆응용 솔루션 스페이스(컨셉 디자인,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스페이스) ◆워크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센터는 본사의 중앙연구소, 지역별 R&D센터, 중국상.. 2011. 6. 29.
떠오르는 태양에너지 시장 1부 - 에너지 잠재력의 대국 카자흐스탄(Kazakhstan)  2011년 전반기의 마지막이 장마와 이와 더불어 태풍과 함께 시작되었네요. 독자여러분 안녕하신지요. 태양에너지 기자단 다시 인사드립니다. 날씨는 장마가 시작됨에 따라 조금 선선해지고 오히려 쌀쌀해진 감이 있는데요. 오늘 알려드릴 기사는 작렬하는 태양만큼 이나 뜨거운 새로운 태양에너지의 차세대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국가인 막대한 에너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자원과 영토의 대국인 카자흐스탄(Kazakhstan)입니다. 중앙아시아의 맹주 카자흐스탄입니다. 인구는 대한민국의 1/3밖에 안되지만 국토의 면적과 자원매장량은 어마어마 합니다. 카자흐스탄은 스탄(Stan, 땅이란 뜻입니다)이란 글자를 가지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의 중앙아시아 국가들중에서 영토가 가장 큰 나라이며, 세.. 2011. 6. 26.
우리나라의 폴리실리콘 태양전지 공급망별 현황 분석 우리나라의 폴리실리콘 태양전지 공급망별 현황 분석 안녕하세요. 태양에너지 기자단입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한국 기업의 폴리실리콘 태양전지 공급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다양한 태양전지중 폴리실리콘 태양전지를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차세대 태양전지로서, 박막형, 유기형 태양전지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실용화와 산업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아, 폴리실리콘 태양전지가 태양전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번 기사 를 결정질 실리콘에 초점을 맞추어 폴리실리콘 태양전지 공급망와 현황에 관련된 기사를 다루겠습니다. 하나의 결정질 태양전지가 생산되고 태양광발전설비가 갖춰지기까지는 많은 회사들이 필요합니다. 현재 한국 태양광산업의 .. 2011. 6. 17.
"태양광산업의 쌀 폴리실리콘 산업!!!"- 한국실리콘을 통해 들여다본다! [下] 지난 글을 통해 '한국의 폴리실리콘 산업'에 대해(보러가기) 알아 보았습니다. 오늘은 국내 폴리실리콘 생산 기업중 하나인 '한국실리콘'에 포커스를 맞추어 보겠습니다. '한국실리콘'에 대한 글을 쓰게 된 것은 지난 4월 8일 에서 '한국실리콘'의 모기업인 오성LST의 부스를 찾아 강구룡 부장님의 열정 넘치는 '강의'를 들은 것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제 8회 국제 그린에너지 엑스포에서의 한국실리콘부스. 출처 : Aving 뉴스 강구룡 부장님께서는 아직 깊은 지식이 없는 저희에게 한국의 폴리실리콘 산업에 대해 자세하고도 친절하게 설명해주셨는데요. 부장님의 '강의'를 듣고 한국실리콘이라는 회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1. 어떤 회사? 한국실리콘은 2008년 설립된 회사로서 태양광산업의 원재료인 폴.. 2011. 6. 16.
태양광 산업에 대한 국제표준과 무역장벽 올해도 벌써 한해의 반이 지나가고 있는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는 6월로 접어들어들었네요. 안녕하세요. 태양에너지 기자단 박경호입니다. 다가오는 무더위 모두 잘 견디시길 바랍니다. 최근에 각종 경제신문이나 각종 산업기사란에 태양광에 대한 소식이 끊이질 않습니다. 폴리실리콘, 수직계열화, 에너지 효율등 많은 용어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된 것은 저희 웹사이트를 잘 찾아보시면 쉽게 아실수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이렇듯 태양광 소식이 많이 나온다는 것은 어느덧 신재생에너지, 그것도 태양광 산업이 기업들의 주력사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는 것과 동시에 위기와 기회가 동시에 찾아온다는 반증이기도 할것인데요. 이와 관련 오늘은 태양광 산업에 대한 국제표준과 무역장벽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너무 어렵.. 2011.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