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64 [신입기수] 17기 최종 합격자 발표 안녕하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단장 김상재입니다. 먼저 면접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수고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번 면접자분들 모두 신재생에너지와 지속가능한 기술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잘 보여주셔서 합격자를 선정하는데 있어 많은 회의와 고민을 하였습니다. 지원해주신 분들이 모두 뛰어나시고 훌륭하셔서 다 함께 17기로 함께 활동하고 싶지만 기자단 운영에 있어 제한된 인원 문제로 인해 그렇게 하지 못한다는 점죄송한 말씀을 드립니다. 합격하신 분들 모두에게는 면접에서 보여주셨던 열정 가득한 모습으로 1년간의 활동을 부탁드림과 동시에 축하의 말씀을 드리며 17기에 함께하지 못한 분들에게는 소중한 시간을 내어 저희 기자단에 지원해 주셔서 감사하고 죄송한 마음입니다. 최종 17기 합격자 선정 결과입니.. 2020. 1. 6. [1차 합격자 발표] 17기 서류 합격자 발표 안녕하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단장 김상재입니다. 우선 이번 17기 단원 모집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지원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원자 모두가 신재생에너지와 지속가능성에 관하여 관심이 많으시고, 열정이 가득한 분들이기에 꼼꼼하게 읽어보고 신중하게 평가하였습니다. 서류에 합격하신 분들께는 진심으로 축하의 말씀을 드리며, 아래 공지를 참고하시고 면접에서 뵙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많은 지원자로 인해 모든 지원해주신 분들과 함께할 수 없다는 점에 죄송한 마음입니다. 올해 여름(6~7월) 예정된 18기 모집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면접 대상자와 면접일정에 대해 발표하도록 하겠습니다. 서류 심사에 합격되신 분들께서는 아래 면접 일정에 맞추어 참석해주시길 바랍니다. [면접공지] 면접일 : .. 2020. 1. 2. 친환경에너지가 왜 환경성에 대해 지적 받는가?(2) 친환경에너지가 왜 환경성에 대해 지적 받는가? - 해외의 해결책, 한국이 나아갈 길 13기 윤지혜 14기 윤재성 본 기사는 일전의 친환경에너지가 왜 환경성에 대한 지적 받는가에 대한 후기 기사이다. 본 기사에서는 주요 재생에너지의 환경영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앞선 기사에서 소개했던 대로 모호한 환경영향평가를 피해가고 있는 재생에너지로 인해 갈등이 빚어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국내의 해결책을 소개할 것이다. 또한 비슷한 환경영향을 바탕으로 하여 해외에서는 어떻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도 소개될것이다. | 재생에너지의 환경영향 재생에너지의 발전 목표와 방향성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더 나은 환경을 위한 노력을 위함이 분명하다. 화석연료 발전은 시설을 위한 공간도 차지하고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대기.. 2019. 12. 25. 중국의 녹색변혁 : 에너지 공급 방식의 변환 중국의 녹색변혁 : 에너지 공급 방식의 변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김건형 "앞으로 세계의 주류 에너지 공급 솔루션은 '광발전 + 에너지 저장'이 될 것" 중국 대표적인 민영기업 LONGi의 사장 Li Zhenguo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19 포춘 글로벌 포럼에서 한 발언이다. 포춘 글로벌 포럼(Fortune Global Forum)은 포춘지가 매년 개최하는 회의다. 포춘 글로벌 포럼은 세계 최고 기업의 사장, 회장, CEO, 그리고 일류 경제학자들도 소집한다. 출처 : https://www.longi-solar.com/index.php?m=content&c=index&a=show&catid=98&id=232 이번 아젠다 중 '중국: 새로운 성장 변경' 에서 세계 굴지의 기업과 전문가들 앞에.. 2019. 12. 25. 바이오 에너지 VS 폐기물 에너지, 왜 비재생폐기물 에너지는 더 이상 재생에너지가 아닌가? 바이오 에너지 VS 폐기물 에너지, 왜 비재생폐기물 에너지는 더 이상 재생에너지가 아닌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이서준, 전예지, 배영은 단원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이 2019년 10월 1일에 시행이 되면서 폐기물에너지의 재생에너지로서의 정의가 변하였다. “비재생폐기물”로부터 생산된 것은 제외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폐기물 에너지 만을 재생에너지로 인정하게 되었다. 바이오가스, 목제 팰릿처럼 폐기물을 사용한 바이오 에너지도 재생에너지에 제외가 된 것이 아니냐고 오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재생폐기물과 비재생폐기물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이를 분리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재생폐기물과 비재생폐기물이란? 가연성이 있고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 2019. 12. 25. "복잡한 국내 RPS 시장, 경매시장 통합 필요" 기후변화센터·전력포럼 'RPS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세미나 개최 "복잡한 국내 RPS 시장, 경매시장 통합 필요" 기후변화센터·전력포럼 'RPS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세미나 개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이한주 윤재성 16기 이서준 단원 기후변화센터와 전력포럼이 공동 주최한 19차 전력포럼 ‘RPS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이 11월 8일 엘타워에서 개최됐다. RPS 제도는 국가가 공급의무자에게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할당하고, 공급의무자가 자체생산 또는 구매를 통해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는 제도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은 2012년부터 RPS 제도를 시행했으나 여러 문제들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날 모인 전문가들은 RPS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은 뒤 "국내 시장에 최적화된 개선방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국내 RPS 시장운영, 비효율적이고 불확실해.. 2019. 12. 25. [포럼] 2019 동북아 전력포럼에서 동북아 슈퍼그리드의 현재와 미래를 보다! 2019 동북아 전력포럼에서 동북아 슈퍼그리드의 현재와 미래를 보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변홍균, 15기 김성렬 한국, 중국, 러시아, 몽골, 일본을 잇는 동북아 슈퍼그리드의 현황과 도전과제를 논의하는 자리로 2019년 11월 28일(목)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개최되었다. ‘에너지전환 성공을 위한 동북아 전력 공유 및 협력’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은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 에너지연구소의 보로파이 원장, 에너지경제연구원 조용성 원장의 기조연설과 에너지 분야 전문가들의 패널 발표로 구성되었다, 기조연설 1) 동북아 전력연계가 역내에 미칠 영향 및 효과 – 보로파이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에너지연구소 원장 동북아시아는 각 국가의 전력, 에너지 협력을 통해 많은 혜택을 창출할 수 있는 지역이다. 비록.. 2019. 12. 25. 방사성 폐기물 처리, 어떻게 하고 있을까? 방사성 폐기물 처리, 어떻게 하고 있을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홍인설단원 방사성 폐기물 처리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 원자력은 높은 효율을 가지는 에너지이지만 그만큼의 위험 또한 갖고 있는 에너지이다. 현 정부는 탈원전을 추진하여 2030년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비율을 높이고자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탈원전을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원전에 대한 안전성이다. 원자력 발전소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노후화되어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와 같이 거대한 지진이 일어났을 때 거대한 대참사가 일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성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 또한 나온다. 최근 일본 후쿠시마에서 태풍의 영향으로 방사성폐기물 자루 60여가 떠내려갔는데 이때 20여개가 빈 채로 발견되어 방사성 폐기물이 유.. 2019. 12. 25. 이전 1 ··· 209 210 211 212 213 214 215 ··· 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