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전환34 이산화탄소로 휘발유를 만들 수 있다? 이산화탄소로 휘발유를 만들 수 있다? 16기 문정호 이 기사를 작성하는 현시점이 1월이라는 점을 생각했을 때 올해 겨울은 예전에 비해 덜 춥다고 느낀 적이 많았다. 눈이 내려야 하는 1월에 비가 내리는 모습을 보면서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몸소 느낄 수 있었다.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주요 온실가스로 손꼽히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지난 2017년 기준으로 6억 8천여 톤에 다다르게 되었다. 산업혁명 이후 260여 년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50% 가까이 증가했다. 주로 화력발전이나 차량 운행같이 우리 생활과 밀접한 과정에서 배출돼 줄이는 게 쉽지 않은 현 상황에서, 한국화학연구원의 전기원·김석기 박사팀이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출처 : 한국화학연구원 바로 이산화탄소를 휘발.. 2020. 2. 24. 2019 신재생에너지 돌아보기 2019 신재생에너지 돌아보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김건형, 16기 김미림, 16기 이서준 단원 최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사람들의 인지도가 높아졌다. 하지만 지난 한 해 동안 관련 산업, 정책, 행사에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기억하는 이들은 드물다. 신재생에너지가 어떻게 점차 우리 생활에 밀접해지는지 관심을 가지는 것은 중요하다. 2019년 동안 있었던 재생에너지 및 기후 관련 주요 이슈들에 대하여 분기별로 알아보자. 세계적인 움직임, RE100 2019년 4월 11일 Apple은 협력 업체 44 곳과 100% 청정 에너지에 기반한 Apple 제품 생산을 약속하였다고 발표했다. 본사는 물론 전 세계 곳곳에 있는 애플스토어나 데이터 센터에 제공되는 전력을 모두 태양광과 풍력 등을 통해 공급하는 규모.. 2020. 1. 27. 2019년 에너지, 2020년의 전화위복(轉禍爲福)을 노려라. 2019년의 에너지, 2020년 전화위복(轉禍爲福)을 노려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변홍균, 15기 김민서, 15기 나혜인 재생에너지 3020을 필두로 진행되고 있는 한국의 에너지전환은 재생에너지원 확대, 발전원 믹스를 통한 에너지원 다변화 등 많은 성과를 이루었지만 여전히 크고 작은 문제들로 인해 갈 길은 멀고 험하다. 2020년을 맞이하여 2019년 에너지 산업에서 있었던 주요 정책과 사건들을 살펴보고 2020년의 에너지 산업은 어떻게 될 것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1.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2019년 1월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이 발표되었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비전은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의 도약이다. 수소차, 연료전지 세계시장 점유율 1위 달성과 그린 수소 산유국으로.. 2020. 1. 27. [포럼] 2019 동북아 전력포럼에서 동북아 슈퍼그리드의 현재와 미래를 보다! 2019 동북아 전력포럼에서 동북아 슈퍼그리드의 현재와 미래를 보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변홍균, 15기 김성렬 한국, 중국, 러시아, 몽골, 일본을 잇는 동북아 슈퍼그리드의 현황과 도전과제를 논의하는 자리로 2019년 11월 28일(목)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개최되었다. ‘에너지전환 성공을 위한 동북아 전력 공유 및 협력’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은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 에너지연구소의 보로파이 원장, 에너지경제연구원 조용성 원장의 기조연설과 에너지 분야 전문가들의 패널 발표로 구성되었다, 기조연설 1) 동북아 전력연계가 역내에 미칠 영향 및 효과 – 보로파이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에너지연구소 원장 동북아시아는 각 국가의 전력, 에너지 협력을 통해 많은 혜택을 창출할 수 있는 지역이다. 비록.. 2019. 12. 25. 한 세대를 이끈 석탄, 아프지 않게 이별하는 법 한 세대를 이끈 석탄, 아프지 않게 이별하는 법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변홍균 “우리가 오랫동안 여행해온 길은 놀라운 진보를 가능케 한 너무나 편안하고 평탄한 고속도로였지만 그 끝에는 재앙이 기다리고 있다.” 미국의 해양생물학자인 레이첼 카슨(Rachel Louise Carson)이 1962년 발간한 책 ‘침묵의 봄’에서 나오는 구절이다. 지난 100여 년의 시간 동안 우리가 살아가는 문명은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다. 산업혁명으로 시작한 문명의 발전은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류의 삶에 풍요를 가져왔다. 이 과정에서 석탄은 지난 20세기, 우리의 삶을 밝히는 에너지원이자 산업혁명의 원동력이었다. 증기기관과 석탄을 기반으로 시작한 산업의 변화는 생산력 증진과 함께 폭발적인 인구 증가로 이어졌으며 이는 지.. 2019. 11. 25. 슈퍼 그리드(Super Grid)를 통해 다가가는, 한·중·일의 에너지전환은? 슈퍼 그리드(Super Grid)를 통해 다가가는, 한·중·일의 에너지전환은? 14기 변홍균, 15기 나혜인 다가오는 10월 23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세계재생에너지총회가 개최된다. 올해로 8회를 맞이하는 세계 재생에너지총회는 재생에너지 분야 국제 비영리 단체인 REN21과 개최국 정부가 주최하는 국제 재생에너지 컨퍼런스로, 이번 KIREC의 주요 목적은 한국의 경험을 반영한 재생에너지 확산 모델을 전파하여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에너지전환을 선도하는 국가로의 위상을 알리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은 에너지전환은 2017년 ‘재생에너지 3020’을 바탕으로 원자력, 석탄 화력의 비율을 줄이고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며 신규 설비용량의 95% 이상을 태양광, 풍력과 .. 2019. 10. 11. 신재생에너지로 그린(GREEN) 항만 신재생에너지로 그린(GREEN) 항만 16기 이지윤 지난 2017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의 일환으로 항만에 신재생에너지의 도입을 더욱 활성화해야한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우리나라는 대외무역 의존도가 굉장히 높다. 수출입화물의 약 99.7%가 항만(선박)을 통해 운송되고 있으며, 국내 화물 운송의 경우에도 해상운송의 비중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국내 및 국제 산업 물류 흐름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해운산업이 친환경 정책 흐름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그린 항만'으로 재편성된다면 어떻게 될까? 먼저, 친환경(green) 항만이란? [친환경항만 구성도] 출처 : BVL Korea 재인용 '친환경항만'은 항만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목표를 가지고, .. 2019. 10. 10. 그것이 알고 싶다 [에너지전환편] 그것이 알고 싶다 [에너지전환편] 15기 박정우, 15기 양진호, 15기 최명근 [2019 에너지 국민인식조사] 출처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2019년 5월 14일에 발표한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의 ‘2019년 에너지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전체 시민의 84.2%가 에너지전환 정책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표에 따르면 국민들의 대다수가 에너지전환 정책에 호의적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에너지전환으로 인한 전기요금 인상, 원전폐쇄로 인한 에너지효율 감소,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등의 문제는 아직 에너지전환에 있어서 부정적인 인식을 지우지 못하는 요소이다. 에너지전환에 있어서 아직 해결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문제가 거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형성하여 사실이 아닌 부분에서도 .. 2019. 10. 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