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7 김치가 가로막는 바이오가스? 김치가 가로막는 바이오가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김나영 김치의 역설: 전통 음식이 만든 기술 장벽 [자료 1. 김치]출처 : 경향신문“김치에 밥만 있으면 한 끼 충분하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김치와 같은 짭짤한 반찬은 한국인의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존재다. 김치, 젓갈류 등은 오랫동안 우리의 전통 식문화를 지탱해왔다. 그러나 이 친숙한 음식들이 음식물쓰레기 처리 현장에서는 뜻밖의 골칫거리로 떠오르고 있다.최근 각 지자체는 음식물쓰레기를 더 이상 ‘쓰레기’로 보지 않고, 퇴비화·사료화·바이오가스화 등 자원화 공정으로 전환하는 친환경 전략을 추진 중이다. 특히 음식물에서 에너지를 회수하는 바이오가스화는 기후 대응과 에너지 자립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 공정.. 2025. 6. 26. [취재][녹색나들이 시리즈] 한강 분리수거, 이거 진짜 해요? [취재][녹색나들이 시리즈] 한강 분리수거, 이거 진짜 해요?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류호용, 27기 김주희, 박지은, 정환교, 천혜원 많은 사람들로 붐비는 한강공원[자료 1. 반포한강공원의 많은 인파]출처 : 트레비벚꽃과 축제의 계절이 돌아왔다. 2025년은 5월 초까지도 바람이 많이 부는 날씨였지만, 작년의 무더위에 비해 나들이 가기 좋은 날씨인 것은 분명하다. 길을 다니는 1000만명의 서울 시민에게 ‘서울의 대표적인 나들이 장소가 어디인가요?’라고 물으면 대다수는 ‘한강공원’을 말할 것이다. 한강은 서울을 대표하는 장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강에 대해서도 여의도, 반포, 뚝섬 등 한강공원들은 매년 많은 사람들로 붐빈다.[자료 2. 한강의 배달음식과 편의점 맥주]출처 : ©26기 .. 2025. 6. 26. 2026년, 폐기물 처리의 피날레 ‘직매립 금지’ 온다. 2026년, 폐기물 처리의 피날레 ‘직매립 금지’ 온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장세희 <p style="text-align: le.. 2024. 5. 1. 세계가 주목한 'K-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시스템' 세계가 주목한 'K-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시스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한세민, 23기 차승연, 24기 김석언, 25기 노정연 음식물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 [자료 1. 심각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문제] 출처 : 서울신문 사회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식량과 직결된 이 문제는 음식물 소비량이 많아질수록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며, 특히 음식물이 부패할 때 생성되는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80배나 강력한 온실가스 효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노력과 대책이 시행되고 있다. 미국 뉴욕시의회는 작년 6월부터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법안을 가.. 2024. 3. 1. 유통기한 지나도 먹어도 된다고? 유통기한 지나도 먹어도 된다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유현서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소개] 마트에서 식품을 살 때 우리는 포장지 뒷면에 있는 유통기한을 확인한 후 산다. 그리고 유통기한이 하루 이상 지나면 음식을 버리는데, 유통기한이 지나면 음식을 상했다고 생각하는 고정관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유통기한이 지났더라도 실제로는 더 기한을 두고 먹을 수 있는데, 이를 소비기한이라고 부른다. [자료 1.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유통기한은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이고, 소비기한은 식품 등에 표시된 보관방법을 준수할 경우 섭취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을 의미한다. 즉, 유통기.. 2023. 1. 30. [미리보는 ENTECH] 음식물쓰레기 자원의 재활용으로 지구를 깨끗이, 우람 [미리보는 ENTECH] 음식물쓰레기 자원의 재활용으로 지구를 깨끗이, 우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장세희 1. 기업소개 [자료 1. 우람 로고]출처 : 우람 2001년 4월 설립이후 수처리 분야의 각종 배관에 사용되는 부식억제 장비와 CSO처리 시설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는 환경 전문기업이다. 음식물쓰레기 자원의 재활용을 위하여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소멸 과정을 거쳐 유기물의 함량이 높은 양질의 퇴비나 연료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부설 환경연구소에서는 더욱 효율이 좋은 다양한 미생물을 연구하며, 또한 기계장치도 같이 개발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계량 및 발효·소멸 장치 우람의 음식물쓰레기 감량 자원화기기 에코클린은 각 가정의 음.. 2022. 8. 23. [미리보는 ENTECH] 에버레스, 탄소배출 없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미리보는 ENTECH] 에버레스, 탄소배출 없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박주은 기업소개 [자료 1. 에버레스 로고] 에버레스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온실가스 절감 연구 및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등 환경적 문제를 혁신적인 비즈니스 아이디어로 풀어내고 있는 사회적 기업이다. 음식물 판별에 대한 AI 기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기계를 연구 및 제작하고 있으며, 환경정화 곤충 동애등에를 사육하여 제공하고 있다. 에버레스는 환경 보건 사업에 이바지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들고, 탄소 영구 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폭 절감을 목표하고 있다. AI 기반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_ 알짜몬 에버레스는 AI를 기반으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인 알짜몬(RVM)과 동애등에 유충을 활용하.. 2022. 8.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