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전기차-연료전지123

화석연료의 종말, 내연기관의 마지막 희망은? 화석연료의 종말, 내연기관의 마지막 희망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서정 서론 전 세계적으로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전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올 초, 유럽의회가 2035년부터 유럽연합(EU)의 27개 회원국에서 휘발유와 디젤차 등 내연기관 승용차·승합차 신차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2035년까지는 판매되는 신차의 탄소 배출량을 100% 줄여야 한다. 사실상 2035년부터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차량만 신규 등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규제법의 통과로 세계 자동차 산업의 전기차로 전환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내연기관차는 점점 설 곳이 없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규제에서 제외된 유일한 내연기관 차가 있다. 바로 이.. 2023. 10. 31.
정체성 잃은 이차전지, 안전한 운송을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정체성 잃은 이차전지, 안전한 운송을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박하연 [증가하는 이차전지의 이동량]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와 에너지 시장이 커짐에 따라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한 이차전지 산업은 계속해서 성장세를 띄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배터리 업체의 기술력이 향상되면서 수출량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수출된 리튬이온 전지는 38억628만달러(약 4조8,195억 원)의 금액에 달하며, 공급량은 18.9% 늘어난 9만5,160톤을 달성하였다. 이렇게 이차전지를 수입 및 수출하기 위해서는 항공 또는 해상을 통한 국제 운송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국내에서도 생산과 사용, 폐기의 전 과정에서 원자재와 소재 .. 2023. 10. 31.
리튬이온배터리에 리튬이 없다? 리튬이온배터리에 리튬이 없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정의희 [서론] [자료 1. 붕어빵] 출처 : 한국일보 여름이 지나가고 곧 다가오는 겨울. 쌀쌀한 바람이 부는 겨울에는 길거리에서 쉽게 추억의 간식인 붕어빵을 맛볼 수 있다. 우리는 모두 붕어빵에는 실제로 붕어가 들어가지 않는다는 걸 안다. 이처럼 리튬이온배터리에도 실제로 리튬이 들어가지 않는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배터리에는 ‘리튬 이온’은 들어가나 ‘리튬 메탈’이 들어가지 않는다.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를 알아야 한다. [자료 2. 리튬이온배터리 구조] 출처 : 삼성 SDI 리튬이온배터리는 크게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된다. 전기에너지와 화학에너지의 source를 리튬이온으로.. 2023. 10. 3.
전기차 유토피아, 대한민국은 제2의 노르웨이가 될 수 있을까 전기차 유토피아, 대한민국은 제2의 노르웨이가 될 수 있을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정이진 [대한민국은 제2의 노르웨이가 될 수 있을까] 대한민국은 제2의 노르웨이가 될 수 있을까?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전기차 판매율은 9%대에 그쳤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시대에 맞춰 전기차 시장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는 지금, 대한민국은 이에 발맞춰 빠른 전기차 시대를 이룰 수 있을까? 노르웨이는 누구보다 빠르게 전기차의 유토피아를 확립했다. 노르웨이에서 올해 1분기에 생산된 신차 중 84.5%가 전기차인 것으로 집계됐다. 하이브리드 차량까지 포함하면 90%가 넘는 수치이다. 지난해 판매된 신차 중 79.3%가 전기차로 높은 보급률을 달성하고 있다. 2013년 기준 1만9천대였던 전기차 규모가 현재 61만7천대 .. 2023. 9. 27.
니켈, 배터리 고속 충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니켈, 배터리 고속 충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태현 [배터리 고속 충전의 방해 요소] 휴대폰을 충전하다 보면 충전 속도를 옛날보다 빠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런데도, 우리는 더 빠른 충전 속도를 원하고 있다. 전기차 역시 충전소 부족 및 고 등의 문제를 이유로 급속 충전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현재 배터리 고속 충전에 대한 끊임없는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요구와는 다르게 실제로 배터리 고속 충전은 많은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 2월부터 7월까지 전지 1팀은 ‘배터리 급속 충전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대한 고찰’을 주제로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해당 스터디에서는 배터리의 급속 충전이 불가능한 이유 중 첫 .. 2023. 9. 4.
차세대 배터리 기술, CTP(Cell to Pack)에 대해 아시나요? 차세대 배터리 기술, CTP(Cell to Pack)에 대해 아시나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곽서영 2023년 소재부품 기술 개발사업 신규 지원과제 [자료 1. 주력산업 공급망 안정화 주요 과제] 출처: 기계신문 지난 2월 7일,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소재부품 기술 개발사업 96개 과제 525억 원 규모의 신규 지원 과제를 공고했다. 신규 과제 주요 특징을 보면, 우선 이차전지, 공정용 소재∙부품, 전기차 등 주력산업 공급망 안정화를 흔들림 없이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주력산업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21개 과제, 134억 원을 신규 지원한다. 주요 과제로는 리튬인산철 전지용 친환경 양극 소재∙전해액∙셀, 이차전지 제조용 리튬 고내식성 내화 세라믹 소재 및 부품, 차량용 열관리 접착제 및 C.. 2023. 9. 4.
무음극 배터리, 음극재가 배터리에 없을 수 있다고? 무음극 배터리, 음극재가 배터리에 없을 수 있다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신지연 배터리의 핵심, 에너지 밀도 향상 현재 가장 상용화된 배터리는 LIB라고 불리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로 기존의 이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출력이 우수하며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기차 시장 규모의 성장과 함께 배터리 기술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전지의 에너지 밀도 향상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데, 이는 전기차에서 에너지 밀도의 향상이 곧 1회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의 증가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한 새로운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료 1. 주요 배터리 기술별 에너지 밀도] 출처 : 조선비즈 기존의 연구로는 활물질 내 Ni 함량을 높이거나,.. 2023. 8. 1.
우리나라는 왜 하이니켈일까? 우리나라는 왜 하이니켈일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곽서영, 21기 한세민, 22기 정의희 하이니켈이란? [자료1. 이차전지 시장과 니켈] 출처: 인더스트리뉴스 , 네이버 지식백과 탄소 중립과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하는 미래 방향에 따라 전기차가 흥행하고, 이차전지 산업이 함께 성장하고 있다. 현재 이차전지 시장은 주로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한다. 가벼우면서 높은 용량으로 구현할 수 있는 매력적인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배터리는 전기차는 물론이고, 전동 공구부터 가전, 발전소 등에 두루 쓰이고 있다. 이 가운데 최근 LG화학에서 올해 처음으로 양극재인 '하이니켈' 양산을 시작하였다. 니켈이 배터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하이니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먼저, 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재, 음극재, .. 2023.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