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1705 [ASK 2014 특집 기사] 독일 신재생에너지 투자 전문 기업 Luxcara 인터뷰: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 사업의 과거, 현재, 미래 [ASK 2014 특집 기사] 독일 신재생에너지 투자 전문 기업 Luxcara 인터뷰: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 사업의 과거, 현재, 미래 지난 5월 14일 수요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대체투자 전문 포럼 는 새로운 투자 기회를 모색하는 이들의 열기로 뜨거웠다. 2부에 진행된 인프라 투자 부문에서는 아시아 인프라 투자, 세일가스 투자 등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며, 태양광 프로젝트 투자에 대해서는 독일의 신재생에너지 전문 투자 기업 Luxcara의 발표가 있었다. Luxcara는 신재생에너지 자산 투자 전문 업체로서 2009년부터 태양광과 육상풍력단지에 전문적으로 투자해왔으며 운용액은 12억유로, 한화로는 1조7천억원에 이른다. Luxcara의 공동창립자인 Alexandra Von Bernstor.. 2014. 5. 18. [ASK 2014 특집 기사]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 왜 그리고 어떻게 할 것인가? [ASK 2014 특집 기사]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 왜 그리고 어떻게 할 것인가? 2005년에서 2011년 사이 전세계 대체투자 규모가 2배 증가하면서, 대체투자가 자본시장의 주류로 자리잡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양적완화 축소로 인해 세계 전통투자자산 시장의 앞날이 더욱더 어두워져 대체투자시장에 더 많은 투자 기회가 생겨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헤지펀드, 부동산, 인프라 등의 다양한 대체투자 수단 중에서도 큰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 바로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이다. 구글의 태양에너지 프로젝트 투자 규모가 1GW, 액수로는 10억달러(약 1조231억)를 넘어선지 오래다. 이 대열에는 애플과 페이스북 같은 IT기업들이 뒤를 따르고 있다. 그 자체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데이터센.. 2014. 5. 13. [ASK 2014 특집 기사] 대체투자 열풍의 핵심, 에너지 인프라 투자 붐이 불고 있다 대체투자 열풍의 핵심, 에너지 인프라 투자 붐이 불고 있다 대체투자 열풍: 4100조원의 자금이 인프라 투자에 몰리고 있다. 대체투자에 대한 열풍이 뜨겁다. 신흥시장 투자 열풍에 휩쓸려 신흥국에 진출했던 기업과 자금이 손을 털고 나오고 있고, 침체를 거듭하고 있는 주식형 펀드 시장의 자금도 새로운 투자처를 찾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자금들이 바로 인프라 시장, 그 중에서도 에너지 인프라 시장에 몰리고 있다. 현재 선진국은 노후화된 인프라를 교체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여있으며, 신흥국의 빠른 경제성장과 도시화 속도를 인프라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세계적 컨설팅 업체 베인앤컴퍼니는 금년 2월 발간된 리포트를 통해 선진국과 개도국에서의 이러한 강력한 수요 덕분에 인프라에 대한 투자액이 2015년부터 2020년.. 2014. 5. 9. 세계 금융업계에 부는 녹색채권 바람: 친환경 프로젝트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 세계 금융업계에 부는 녹색채권 바람: 친환경 프로젝트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소비재 기업인 유니레버는 지난 3월 19일 약 43억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다. 이 채권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유니레버의 폐기물과 온실가스 배출량 절감, 그리고 물 사용 절약 활동에 사용된다. 이런 대형 녹색채권 발행이 최근 계속 이어지면서 녹색채권이 틈새 시장에서 주류 금융 상품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된다. 잠깐, 채권이란? 채권(Bond)은 기업이나 정부 등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것으로, 이를 구입한 채권자는 주어진 기간 말에 원금과 함께 이자를 돌려받을 수 있는 권한을 갖으며, 이 권한 자체를 사고팔 수도 있다. 녹색채권(Green Bond)은 채권 발행의 수익이 친환경 프로젝트에 전.. 2014. 4. 14. 합리적인 에너지 소비를 위한 방안, 스마트그리드 SMART GRIDS AND RENEWABLES : A Guide for Effective Deployment *주의: 본 보고서는 IRNEA의 저작물이며, 한국어 번역은 SolarFollowers(대학생태양에너지기자단)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1. 소개: 스마트그리드 와 신재생에너지 2012년 “모두를 위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에 대한 국제 해"(SE4ALLl)에서 IRENA는 두 배로 공유된, 신재생 글로벌 에너지 혼합물의 2030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2030 REmap이라고 불리는 이 로드맵 의 출세지향적인 목적은 현재 미국 국가 사무총장과 세계은행 회장이 의장인 SE4ALLl의 사업에서 유래되었다. REmap 의 초기 결과는 전력 부문의 신재생 에너지의 비중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40 %.. 2014. 3. 27. 'ESS+신재생 에너지 융합'은 신의 한수 'ESS+신재생에너지 융합'은 신의 한수 -에너지 대란의 해결방법으로 스마트그리드가 뜨고 있는 요즘 스마트그리드의 핵심기술 에너지저장장치 ESS가 신재생에너지와 만나 활기를 띠고 있다. ESS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필요할 때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신재생에너지 활용 및 전력공급 시스템 안정화를 위한 장치이다. 전력을 적게 사용하는 밤 시간에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많은 낮 시간에 저장해 놓은 전력을 집에서 사용하는 역할을 한다. ESS는 스마트그리드와 신재생에너지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방법 중 하나이다. 작은 리튬이온 배터리 한 개인 셀(CELL)들이 모여 모듈(MODULE)을 이루고 이 모듈(MODULE)들이 모여 트레이(TRAY)를 이룹니다... 2014. 2. 26. 태양전지에도 세대차이가 있다? ! [태양광전지와 그리드 패리티 시점에 관한 인터뷰] 태양전지에도 세대차이가 있다? ! 태양광전지와 그리드 패리티 시점에 관한 인터뷰 석유 자원의 고갈에 대한 대책으로 신 재생 에너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태양광 분야에서도 1차 실리콘전지부터 현재 연구진행중인 3차 염료감응태양전지까지 많은 발전이 있었다. 그 중 염료감응태양전지 분야와 신 재생 에너지의 그리드 패리티 시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현재 전북대학교 화학과 이효중 교수님과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효중 교수님 - 전북대학교 화학과에 재직 중이며, 3세대 태양전지 중 염료감응태양전지 (DSSC) 와 양자 점 감응 (Quantum-dot Sensitized) 태양전지에 대해 주로 연구 하고 있다. Q.1 제 3세대 태양전지는 조금 생소한데, 연구분야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를 한다면? - 빛을 .. 2014. 2. 14. [바이오매스]검은황금에 맞서는 물속의 녹색 황금: 골칫덩어리였떤 녹조에너지원이 노다지로! 검은 황금에 맞서는 물속의 녹색 황금 -골칫덩어리였던 녹조 에너지원이 노다지로!!- ❒Part1. 3세대 바이오매스 조류 1. 검은황금의 예정된 몰락 시추공에서 뿜어져 나오는 원유의 시커먼 색깔과 세계경제를 좌우하는 중요성이 결합되어‘검은 황금’이라 불리는 석유는 많은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에너지원이다. OPEC(석유수출국기구)에 따르면 석유가 전체 에너지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35%로, 매일 약 9000만배럴에 달하는 석유가 전 세계에서 소비된다. 그렇지만 ‘검은 황금’은 점점 고갈되어 가고 이제는 이를 대체하면서 환경을 파괴하지 않을 새로운 에너지원을 개발해야 할 시기이다. 2. 녹색황금 ‘조류’ 여러 대체에너지 중에서 검은 황금에 맞서 주목받고 있는.. 2014. 2. 12. 이전 1 ··· 201 202 203 204 205 206 207 ··· 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