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발전44 신재생에너지 출력 제한,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 신재생에너지 출력 제한,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이명현 발전설비 출력 제한의 필요성 신재생 발전설비 출력 제한 (VRE Curtailment) 이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 전력량이 과도하게 많은 시점에 송배전망 사업자 (TSO)가 계통 안정을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의 출력을 직, 간접적으로 차단하는 제도와 시스템을 가리킨다. 재생에너지 출력 제한은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연료 절약, 환경적 편익과 같은 경제적 이점을 감소시킨다. 계통의 유연성이 확보되지 않는 한 신재생 설비가 추가될수록 출력 제한 발생률은 점차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신재생 설비가 이윤을 가져다주지 못하는 상황까지 이어진다 (Rogers et al., 2010; Bird et al., 2014; .. 2020. 9. 6. [2020 국제그린엑스포 정보] (주) 한국그린에너지 "풍부한 노하우와 경험의 차이", (주)한국그린에너지 1. 회사 이름 주식회사 한국그린에너지(한국그린전력) 출처: 한국그린에너지 2. 기업 소개 한국그린에너지는 태양광구조물 개발, 제작부터 태양광발전사업 시공, 시행까지 태양광발전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자체 기술개발연구 결과와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각 현장에 맞춰 최적의 태양광발전소를 선보입니다. 3. 주요 사업 RPS 태양광사업 일정규모(500mW) 이상의 발전설비(신재생에너지 설비는 제외)를 보유한 발전사업자(공급의무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토록 의무화한 제도 출처: 한국그린에너지 농촌 태양광 태양광 시설은 농촌에 들어서는데, 정작 농촌의 일꾼들은 태양광사업에 진출하지 못하는 장벽이 .. 2020. 7. 6.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라는 날개를 달다.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라는 날개를 달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16기 이나영 태양전지(Solar Cell 또는 Photovoltaic Cell)는 신재생에너지의 조상이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역사가 꽤 오래되었다. 1839년 프랑스 물리학자 에드몬드 베크렐이 ‘광전효과’를 발견하였고, 이후 아인슈타인이 광전효과를 이론화하였으며, 1880년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태양전지가 개발되었다. 태양전지와 태양광 발전의 차이를 잠깐 설명하자면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직접 전기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전의 핵심소자이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에너지를 반도체로 구성된 태양전지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태양전지는 어디에 사용되고 있을까? 라는 질문에 우리는 보통 인공위성 옆에 달려있는 태.. 2020. 1. 27. 태양광 발전소 지구를 떠나라 태양광 발전소 지구를 떠나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곽준우 신재생에너지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가 태양광 에너지다. 친환경에너지란 명목 아래 한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가 태양광 발전 기술에 투자하며 태양광 에너지의 효율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렇다면 가장 효율적인 태양광 에너지는 무엇일까? 24시간 전력공급이 가능하고, 패널을 설치하는 과정 속 산림 훼손 시키지 않는, 날씨에 제약받지 않고 기존보다 더 효율적인 전력생산이 가능한, 기존의 단점을 모두 무마시킬 수 있는 그런 태양광 발전 기술 분야가 있다면? 바로 우주산업 분야다. 세간의 관심을 받지 못했던 우주 태양광 발전, 신재생에너지로 태양광 에너지가 주 핵심이 되면서 획기적인 미래 기술로 관심을 받기 시작하는데 한 번 살펴보자. 우주 .. 2019. 11. 25. 친환경에너지가 왜 환경성에 대해 지적 받는가? 친환경에너지가 왜 환경성에 대해 지적 받는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3기 윤지혜 14기 윤재성 요즘은 태양광 패널이나 풍력 발전기를 평상시에 많이 접할 수 있을 정도로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화석자원의 고갈과 환경파괴 등의 문제로 화석자원의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자는 국제적인 움직임에 우리나라도 힘껏 따라가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친환경에너지라고 불리는 재생에너지에 대하여 왜 환경훼손, 온실가스 배출이라는 수식어들이 따라 붙고 있는 것일까? 실제 전북지역 태양광발전소 설치로 인한 산림훼손은 해가 갈 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들의 민원이 폭주하고 마을에서 태양광발전은, 말 그대로 골칫거리가 되었다. [자료] 전북지역 태양광발전.. 2019. 11. 25. 그것이 알고 싶다 [에너지전환편] 그것이 알고 싶다 [에너지전환편] 15기 박정우, 15기 양진호, 15기 최명근 [2019 에너지 국민인식조사] 출처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2019년 5월 14일에 발표한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의 ‘2019년 에너지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전체 시민의 84.2%가 에너지전환 정책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표에 따르면 국민들의 대다수가 에너지전환 정책에 호의적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에너지전환으로 인한 전기요금 인상, 원전폐쇄로 인한 에너지효율 감소,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등의 문제는 아직 에너지전환에 있어서 부정적인 인식을 지우지 못하는 요소이다. 에너지전환에 있어서 아직 해결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문제가 거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형성하여 사실이 아닌 부분에서도 .. 2019. 10. 8. 태양광 발전 지원정책, 어디까지 알고 있니? 14기 박진감, 15기 나혜인, 15기 최명근, 16기 문정호, 16기 이나영 [사진 1. 에어컨과 전기계량기] 출처: 국민일보 무더운 여름 8월! 숨을 쉬기가 답답할 정도로 뜨거운 태양볕을 이겨내고 집으로 무사히 돌아온 나, 거침없이 에어컨 리모컨을 잡고 ‘ON’ 버튼을 누르려는 순간 멈칫하게 된다. 무엇이 나의 손을 망설이게 하는 걸까? 정답은 바로 ‘전기요금’이다. 에어컨은 전기 사용량이 많은 가전제품 중 하나다. 한국처럼 전기요금 누진제를 적용하는 국가에선 쉽사리 사용할 수 없다. 사용량에 비례해 전기요금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요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에어컨이 있는데도 고스란히 바라만 봐야 하는 걸까? 전기요금과 더위문제를 한 번에 해결해 모두가 행복하게 여름을 나는.. 2019. 8. 21. 물 위에 '에너지 양식장'을 건설하다. 물 위에 '에너지 양식장'을 건설하다.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의 세계 최대 배출국인 중국에서, 작년 40MW 급 수상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했다. 중국의 안후이성, 화이난시 인근에 위치한 ‘에너지 양식장’은 만리장성만큼 달에서 잘 보이는 인공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을 정도로 그 규모가 크다. 중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수상 태양광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물음의 답안을 찾아가보자. [사진 1. 수상태양광]출처 : SUNGROW 홈페이지 물 위의 ‘에너지 양식장’, 수상태양광 그 동안 정부의 정책 아래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급속한 변화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태양광 발전의 성장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러한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신재생 에너지원이 지닌 친환경 에너지원.. 2018. 10. 19.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