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199 식물과 태양광 패널의 공존, 영농형 태양광 식물과 태양광 패널의 공존, 영농형 태양광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정지영, 20기 이주선 태양광 에너지의 현주소 사람들에게 가장 친숙하게 알려져 있는 신재생에너지라 함은 단연 태양광에너지일 것이다. 실제로 태양광에너지 생산량은 2012년부터 꾸준히 상승해왔으며, 2012년 243,000 toe에서 2018년 2,194,000 toe로 빠르게 그 발전량이 늘고 있다. 국내 태양광 시장 또한 국산 모듈 점유율이 78.7%를 차지할 정도로 대한민국의 태양광 제조산업이 적극적으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마음만 먹으면 쉽게 접할 수 있으며 국가적인 지원 혜택도 적극적으로 이행되고 있어 더 빠른 확산과 상용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되고 있으나 이러한 태양광도 치명적인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 2022. 2. 6. 재생에너지 발전단가와 그리드 패리티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와 그리드 패리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이주선 재생에너지 발전비용 석탄 화력 발전보다 저렴해질 것이다. 국내 전기 생산 1위는 여전히 석탄화력발전이지만, 재생에너지 발전비용이 석탄화력발전보다 저렴해 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국제에너지컨설팅회사인 우드 매킨지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재생에너지 비용은 2030년까지 석탄화력발전보다 23% 저렴해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또한 인도의 경우 2030년까지 56%나 싸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인도의 경우 낮은 건설비용과 저렴한 노동력, 양질의 재생에너지원 등의 이유가 있었다. 도대체 어떤 이유로 재생에너지 발전 비용이 석탄 화력 발전보다 저렴해질 예정이며 왜 석탄 화력 발전이 더 저렴했을까? 그 이유는 바로, 부품 가격의 하락과 효율.. 2022. 1. 31. [디자인과 태양광] BIPV도 다채롭게, 컬러 태양전지 건축재 [디자인과 태양광] BIPV도 다채롭게, 컬러 태양전지 건축재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김민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서범석 태양전지가 환호 받는 방법 2050년까지 net-zero 목표달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역할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그러한 이유에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최근 태양광 발전은 산을 깎아 친환경 에너지를 만든다는 아이러니를 극복하기 위해 지면이 아닌 건물 위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BIPV)은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을 외장재로 사용한 발전 시스템으로, 설치 부지를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을 깎는 등의 환경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자료 1. 국내 BIPV 개발 사례] 출처 : SOLAR.. 2022. 1. 31. 한국의 지리적 한계와 ESS 한국의 지리적 한계와 ESS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오지훈 한국을 이야기할 때 지리적 한계는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기업의 가치평가 이루어질 때도 지리적 한계는 국내 기업에게 붙는 꼬리표들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지리적 특징과 한계는 무엇일까? 한국의 경우, 북위 33~43도, 동경 124~132도의 단일 기후대에 위치하며 국토 면적은 100,364㎢으로 상대적으로 좁다. 또한 북쪽을 제외하고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였고 영토의 경우 평지가 30%, 산지가 70%로 구성되었다. 산지의 경우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산은 15%, 500m 이하의 산은 65% 이상을 차지하며,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비대칭적 지형을 가졌다. 이러한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한국은 국토면.. 2021. 12. 27. [디자인과 태양광] 생활 속에 녹아든 태양광 시설 [디자인과 태양광] 생활 속에 녹아든 태양광 시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서범석 태양광을 싫어하는 사람들 태양광 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2030년까지 20%로 증가시키겠다는 정부의 3020 정책에 꼭 필요한 에너지이다. 때문에 이곳저곳에서 태양광 시설을 만들기 위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지만, 정작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곳의 주민은 태양광 시설 설치에 반대하고 있다. 태양광 에너지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은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인구밀도가 높고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의 특성상 태양광 패널을 넓게 설치할 수 있는 곳이 농지 등으로 한정된다. 농지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면 농민들은 마을을 떠나야 할 위기에 처한다. 전남 영안군에서는 SK E&S가 간척지 16.5㎢ 전체를 태양광 발전.. 2021. 11. 29. 새만금, 과연 그린뉴딜의 해답인가? 새만금, 과연 그린뉴딜의 해답인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진수 새만금 간척 사업과 한국판 그린뉴딜 [자료 1. 새만금 지형변화 2019] 출처 : 새만금개발청 새만금 간척 사업(새萬金干拓事業)은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군산시 비응도동부터 고군산군도의 신시도를 거쳐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까지 총 33.9km에 이르는 새만금 방조제를 건설하고 방조제 내측에 매립지(291km)와 호소(118km)등을 포함하여 총 409km 면적(서울 면적의 2/3 규모)의 간척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초기의 계획은 인근에 있는 우리나라 최대의 곡창지대인 호남평야의 연장으로 대규모 농지 개발 및 이를 위한 관개 및 배수시설의 확충이 주된 방향이었으나, 현재는 용지의 성격이 많이 변화했다. 새만금 국제공항의 신설 등 국가적.. 2021. 9. 27. [미리보는 ENTECH] 요크, 친환경 태양광에너지 보급으로 아프리카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다 [미리보는 ENTECH] 요크, 친환경 태양광에너지 보급으로 아프리카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다 [자료 1. ㈜요크 로고] 주식회사 요크는 디자인과 태양광기술의 융합으로 일상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혁신적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이슈와 에너지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한다. 2015년 세계에서 가장 얇은 휴대용 태양광 충전기 ‘솔라페이퍼’ 런칭, 세계적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킥스타터(Kickstarter)를 통해 100만 달러 모금에 성공하였고, 2018년에는 태양광에너지를 통해 에너지 보급과 교육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솔라카우’를 런칭, 2019 미국 타임지 최고의 발명품, 2019 CES 혁신상, 2018 AidEx 대상 및 P4G 정상회의 파트너 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자료 2. ㈜.. 2021. 8. 23. 한국 신재생에너지 학회 2021 학술대회 : 한국 신재생에너지 지혜 교류의 장을 열다! 한국 신재생에너지 학회 2021 학술대회 : 한국 신재생에너지 지혜 교류의 장을 열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김정혁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학술대회가 사단법인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의 주최로 7월 13과 14일에 양일간 여수엑스포 컨벤션센터에서 이루어졌다. 2021년도 학술대회는 “2050 탄소중립과 신•재생에너지”라는 주제의 Main Session과 더불어 수상태양광 등의 특별세션, 환경 및 저탄소 등의 구두발표 등이 진행되었다. 해당 발표들은 국내 전문가 주도로 이루어졌고, 성장하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위해서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서로의 연구를 공유하고 국제경쟁령을 확보하기 위한 교류를 통하여 미래를 여느 지혜를 얻는 장이 되었다. 출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양일간 다양한 발표와.. 2021. 8. 9. 이전 1 ··· 5 6 7 8 9 10 11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