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53

너무 쿨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실체 너무 쿨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실체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이주선, 20기 황지영, 21기 곽서영, 21기 홍서현 본 단원들이 참여했던 2022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에서 탄소중립에 관한 의견을 받아본 결과, 절반에 가까운 에너지 분야 종사자들이 그 모호성에 우려의 목소리를 표했다. 반면, 현재 계속되는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으로 오염과 자원 고갈, 기후 위기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미래세대의 가능성을 파괴하지 않고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지속가능발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UN총회에서는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제시하고, 정부에서는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에 힘쓰고 있으며, 각 기업들은 환경보호, 사회공헌, 윤리경영을 준수하는 ESG경영을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 2022. 5. 30.
SDGs, 현 우리나라의 위치는? SDGs, 현 우리나라의 위치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정지영, 20기 윤지민, 21기 김보연, 조선근, 한세민 [SDGs 속 탄소중립]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는 지속가능 발전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인류 공동의 17개 목표다. SDGs는 2015년 제70차 UN총회에서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결의했으며, ‘2030 지속가능 발전 의제’라고도 한다. SDGs는 사회적 포용, 경제 성장, 지속 가능한 환경의 3대 분야를 아우르며,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것’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저개발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인류의 번영을 위해 힘씀과 동시에 환경을 보호할 것을 촉구한다. SDGs 중 탄소중립에.. 2022. 4. 25.
반도체 산업과 ESG 지표, 앞으로의 과제는? 반도체 산업과 ESG 지표, 앞으로의 과제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최예지 반도체 산업과 환경 ‘2050 탄소중립’ 선언 이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화두가 되면서 기업들의 에너지 전환, 탄소 감축 등의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ESG 경영 중에서도 특히 ‘환경’이 중요한데, 이는 기후 변화가 심각해지면서 각국이 정부 차원에서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 산업에서의 ESG 경영도 중요하다. 반도체 산업은 철강, 석유화학, 에너지 분야에 비해 다량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업종은 아니지만, 제조업 특성상 생산량이 증가하면 배출되는 오염물질도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생산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다량의 용수를 사용하는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온실가스다... 2022. 3. 28.
공급망 ESG관리의 중요성, 혼자만 잘해서 되는게 아냐 공급망 ESG관리의 중요성, 혼자만 잘해서 되는게 아냐 16기 김미림, 19기 김승호, 19기 조윤주 [ESG, 2021년 현재까지의 모습] 환경 Environment 사회 Social 지배구조 Governance 3가지의 바탕을 이루는 ESG경영은 지속가능한 기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핵심 요소로써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업들 또한 기업 활동에 있어 친환경(E), 사회적 책임(S), 지배 구조 개선(G) 3가지 분야에서 노력하고있으며, 특히 2021년 한 해 동안 국내 ESG경영의 동향이 빠르게 변화하였다. 지난 12월 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발표 된 ‘K기업 ESG백서’를 요약하자면 올해 국내 30대 그룹의 ESG 투자 계획이 153조 2천억원에 달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각.. 2021. 12. 5.
ESG에 드리운 유리천장, 그 내면의 진실은? ESG에 드리운 유리천장, 그 내면의 진실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이수연 [선진국 주도의 ESG가 불러온 ‘신무역주의’] 지속가능경영을 추구하는 ESG는 더 이상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글로벌 산업을 주도하고 기업의 생존을 좌우하는 새로운 기준이 되어가고 있다. 한국 역시 공기업 위주로 발행되던 ESG 채권이 2020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일반 기업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단순히 이익만 추구하는 기업에게 사회적 책임은 선의가 아닌 필수가 된 것이다. 특히 EU는 기업의 전 공급망에 대하여 환경 및 인권 문제를 침해하는 활동을 의무적으로 보고하고 개선하도록 하는 법안의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이 법안은 EU 국가뿐만 아니라 유럽에 수출하고자 하는 국가에도 적용되는 사안이기에,.. 2021. 11. 29.
착한 플라스틱? PLA가 뭐길래! 착한 플라스틱? PLA가 뭐길래!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황지영 기존 비(난)분해성 플라스틱의 폐기물 처리문제 및 자원고갈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1980년대 후반부터 사용이 본격화되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어 상용화된다면, 사용 후 생분해 과정을 통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어 다시 생물 유기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편의점 업계, 제약 및 바이오 업계를 중심으로 PLA를 이용한 생분해 비닐이 상용화되고 있다. 기존의 석유계 플라스틱 비닐과는 다르게 미생물에 의해 180일 이내 분해되기 때문에 관련 연구가 활발하다. 본 기사에서는 착한 플라스틱이라고 불리는 PLA(Poly Lactic Acid) 비닐의 기술 및 현황에 관해 .. 2021. 10. 25.
REC 거래시장의 2021년 REC 거래시장의 2021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김민주, 20기 이주선 REC, RE100, RPS가 뭐야? REC, RE100, RPS 등 비슷하지만 다른 용어들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 개념들에 대해 알아보고, 새롭게 개설된 REC거래시장에 대해 알아보자. 1. REC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이다. 발전 설비 용량이 500MW이상인 발전 사업자는 신재생에너지를 의무적으로 발전해야 하며 정부에서 인증을 받아야 한다. 중요한 것은 발전회사가 직접 생산하는 대신, 다른 신재생에너지 발전회사에서 REC를 구입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REC는 계약시장 신고나 현물시장 등록으로 거래가 가능하며 이는 공급의무자.. 2021. 10. 25.
삼성과 애플, 누가 누가 잘하나 삼성과 애플, 누가 누가 잘하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김채연, 20기 조현선 [삼성과 애플, 누가 누가 잘하나] MZ 세대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우리 손에 쥐어진 ‘스마트 기기’와 우리가 사는 지구의 ‘지속가능성’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무선 이어폰, 스마트 워치는 MZ세대의 필수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모든 것이 충전으로 작동되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탄소발자국은 730Mt CO2-eq이다. 이는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1.4%를 차지한다. [자료 1. 세대별 각 미디어 이용시간] 출처 : Nielsen Koreanclick 기업의 ESG 경영이 필수가 된 이 시대의 IT 기업은 디자인부터 제조, 운송, 사용, 재활용까지 제품의 생애주기에서 발.. 2021.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