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기술-산업-정책492

[인터뷰] '물-에너지 Nexus', 현재 서울이 갖는 문제점은? [인터뷰] '물-에너지 Nexus', 현재 서울이 갖는 문제점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서범석, 21기 김하진 [오늘의 인터뷰] "대학교에서는 환경, 에너지를 위해 어떤 연구를 할까? 어떻게 해야 사람들에게 이러한 연구를 알릴 수 있을까?" 이번 기사를 시작하게 한 궁금증이다. 필자는 이 두 가지 질문에 답하기 위해 캠퍼스 내에서 환경 관련 연구를 하시는 교수님을 인터뷰하게 되었다. 이번 인터뷰 대상은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김하나 교수님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환경관리전공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으시고 University of Delaware에서 에너지&환경 정책 분야 박사 학위를 받으셨다. 현재 카이스트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이해”와 “기후변화정책” 등의 환경 정책과 관련된 강의를 하고.. 2022. 12. 26.
석탄에서 LNG로, 한국중부발전의 밑그림 석탄에서 LNG로, 한국중부발전의 밑그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진수, 이주선, 황지영, 21기 김채윤, 오화종 눈으로 담은 한국중부발전 2022년 11월 15일부터 총 3일에 걸쳐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이하 대신기)의 단원들이 한국중부발전 서울발전본부 홍보관 KOMIPO ENERGEUM을 방문했다. 홍보관은 1층 에너지 로드, 2층 에너지 랩, 3층 에너지 오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1층에서는 서울발전본부의 역사와 기록을, 2층에서는 본격적인 발전 원리와 관련 지식을 소개하고 있으며, 3층에서는 미디어 갤러리와 VR체험이 가능하다. 한국중부발전 서울발전본부는 대한민국 최초의 화력발전소로 올해 개관 100주년을 맞이했으며 ‘세계 최초의 도심 속 대규모 지하발전소이자 시민 개방형 발전소’라는 소개.. 2022. 12. 26.
5등급 차량, 서울•부산•대구 다 못 들어간다고? 5등급 차량, 서울•부산•대구 다 못 들어간다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김보연 서론 매년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인 12월부터 3월동안 동안 5등급 차량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서 운행할 수 없었다. 여기서 5등급 차량이란 환경부의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된 차량이다. 이때 자동차의 등급은 유종, 연식, 오염물질 배출 정도에 따라 정해지며, 기준은 다음과 같다. [자료1. 배출가스 등급제] 출처: https://blog.naver.com/0901goodday/222059416148 수도권 5등급 차량 운행제한 수도권에서 5등급 차량 운행제한이 처음으로 도입된 것은 2020년 12월 1일부터로,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의 일원으로 도입되었다.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는 고농도 미.. 2022. 12. 26.
ESG경영과 녹색산업에 따른 국책은행의 역할 ESG경영과 녹색산업에 따른 국책은행의 역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정재혁 국책은행의 설립 목적 국책은행은 일반은행이 재원, 재산성 또는 전문성 등의 제약으로 인해 필요한 자금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특정 부문에 대해 자금을 원활히 공급하여 일반 상업금융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이를 통해 국민 경제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한마디로 정부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립한 은행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통은 정부가 특별법을 만들어 설립하게 된다. 주로 정책금융을 수행하게 되며, 기관 특성상 국가의 개발 경제를 담당하고 공공성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국내 3대 국책은행으로는 KDB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이 있다. [자료1. 국책은행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KD.. 2022. 12. 26.
우리나라의 농기계 기업들 우리나라의 농기계 기업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마승준 우리나라의 농업기계 기업들 우리나라는 제조업에 강한 나라로, 특정 제품을 말하면 그에 관련된 기업이 떠오른다. 예를 들어 핸드폰 하면 삼성, 자동차 하면 현대와 기아, 가전제품하면 LG와 같이 말이다. 그럼 우리나라의 농기계 즉, 트랙터와 콤바인 같은 기계들은 어떤 기업에서 만들까? 이것에 대한 답을 하는 사람들은 별로 없을 것이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는 못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제조업 강국으로서 농업 기계 또한 우수한 품질로 만들 뿐만 아니라 그 규모 또한 무시할 수준이 아니다. 농기계 기업의 흔히 3대장으로 불리는 회사는 대동, LS엠트론, TYM이 있다. 누군가는 들어봤을 수도 있고 아예 처음 듣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 2022. 12. 26.
충전단자 미호환으로 인한 환경오염, 이제는 멈춰! 충전단자 미호환으로 인한 환경오염, 이제는 멈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박지원 [충전단자 미호환으로 겪어온 불편함과 문제점] [자료 1. 다양한 형태의 충전단자] 출처 : 부산일보 우리는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충전 단자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 5핀, 8핀, C타입 등 그 종류는 다양한데 최근에는 8핀과 C타입으로 좁혀지는 추세이다. 하지만 핸드폰, 태블릿, 노트북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함께 사용할 때면 불편함이 유독 잘 느껴지고는 한다. 실제로 필자는 핸드폰에서는 8핀, 태블릿과 노트북에는 C타입 충전단자를 이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는 5핀 충전단자를 사용하게 되어 자주 불편함을 느끼곤 한다. 하지만 이런 충전단자 미호환의 문제점은 단순히 불편함 뿐만이 아니다. 충전단자 미호환으로 인해 환경문제.. 2022. 12. 26.
해조류? 해초류? 환경을 지키는 '바다숲' 해조류? 해초류? 환경을 지키는 '바다숲'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21기 이태환 [나사가 주목한 남해] 작년 4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전남 완도군과 해남군 지역 일대를 지구관측 위성으로 촬영한 사진을 공개하면서 한국의 해조류 양식과 섭취 문화에 주목했다. NASA는 “한국은 돌김(Pyropia)을 양식하는 세계 최대 수출국”이라고 소개하며 “전통적으로 산모가 출산 후 한 달 동안 미역국을 먹으며, 흔한 생일 음식으로도 소비된다”고 언급했다. NASA에서 한국의 남해안에 주목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크게 두 측면에서 설명해볼 수 있는데, 해조류 양식이 다른 식량 생산에 비해 담수나 비료가 적게 소모되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것이 첫 번째 이유였으며, 다른 이유는 ‘블루카본’의 관점에서 이산.. 2022. 12. 26.
'공공기관 에너지 다이어트 10' 파헤치기 '공공기관 에너지 다이어트 10'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조채완 '공공기관 에너지 다이어트 10'이란? 공공기관 에너지 다이어트 10이란 산업통상부가 주도하는 공공기관 에너지 절약 실천 강령으로서, 10월 18일부터 공공기관 에너지 다이어트 10이 시행되었다. 다시 말해, 에너지 위기 극복을 위한 공공 부문의 강도 높은 에너지 절감 조치가 취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공공기관 에너지 다이어트 10의 5대 실천강령을 요약해보면 건물의 난방온도를 18도에서 17도로 제한하고, 겨울철의 전력피크 시간대인 9:00~10:00, 16:00~17:00에 지역별로 난방기를 순차적으로 운휴 한다. 또 근무시간 중 개인 난방기 사용을 금지하고, 기념탑, 분수대, 교량등 공공기관에 설치된 경관조명을 소등한다. 마.. 2022.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