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기술-산업-정책492

에너지도 재활용이 가능하다고요? 버려지는 것에 생명을 불어넣는 ‘에너지 하베스팅’ 에너지도 재활용이 가능하다고요? 버려지는 것에 생명을 불어넣는 ‘에너지 하베스팅’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한예림, 23기 김용대, 김태현, 송태현 버려지는 에너지를 찾아라, 에너지 하베스팅[자료 1. 에너지 하베스팅에 이용되는 에너지] 출처: 에듀넷∙티-클리어버려지는 에너지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그 질문에서 나온 것이 바로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이다. 에너지 하베스팅이란 생활과 산업 속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들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현재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지 못한 채 버려지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 가솔린 엔진의 열효율이 보통 38% 정도에 그치고 나머지 62%는 기계적인 마찰, 배기와 냉각 장치로 인해 모두 손실된다. 송전.. 2023. 3. 17.
친환경 여행, 당신의 휴가는 지구에게도 친환경 여행, 당신의 휴가는 지구에게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김채윤 [ 답답한 이곳을 벗어나기만 하면? ]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올겨울 여행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항공권 판매 업계인 ‘인터파크’의 통계에 따르면 2022년 4분기부터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하여 전년 대비 232%의 항공권 판매액을 기록했을 정도이다. 지난 2년간의 침체된 분위기에 대한 보상심리와 힐링을 위해 떠나는 우리들의 여행. 필자는 인천국제공항의 날아오르는 비행기들을 보면서, 설레는 마음과 함께 의문을 가졌다. 우리의 여행길은 지구에게도 힐링일까. 여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과 그것을 해결하려는 각종 노력 및 한계,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저 오늘 떠나요, 공항으로 .. 2023. 3. 6.
트렌드에 맞게 변화하는 ESG, 이제는 필수로! 트렌드에 맞게 변화하는 ESG, 이제는 필수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류나연, 유현서, 23기 김경훈, 안윤아 [ESG의 등장] ESG는 잘 알다시피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를 뜻하는 말이다. 최근 들어 여러 분야에서 언급돼 익숙해진 개념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우리에게 친숙한 ‘지속 가능한 발전’에서부터 시작하여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에 직접적인 핵심 가치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묶어서 말하게 된 것이 바로 ESG이다. [자료 1. 지속가능경영 의미] 출처 : KRX ESG포털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용어는 1713년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현재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는 지속가능성 개념은 1987년 UN환경계획(UNEP)이 발표한 .. 2023. 3. 6.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지난 정부와 정책 기조가 완전히 뒤집히다!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지난 정부와 정책 기조가 완전히 뒤집히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진수 [전력수급기본계획이란] 전력수급기본계획이란 향후 15년간의 전력수급의 기본방향, 전력수급의 장기전망 등 전력정책의 기본적인 방향과 내용을 담는 계획을 말한다. 또한.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해 전력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전력설비와 전원구성을 설계하기 위한 것으로 2년 단위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수립한다.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요약정리]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전기본)은 작년 8월 이미 실무안에서 공개된 것처럼 전원믹스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줄이고 원자력발전의 비중을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다. [자료 1. 10차 전기본의 기본방향]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36년.. 2023. 2. 20.
지는 해 RE100, 뜨는 해 CF100 지는 해 RE100, 뜨는 해 CF100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김혜윤, 22기 이지원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RE100 통상 지구 온도가 2℃ 이상 상승하면 폭염과 한파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이는 환경적 측면과 산업적 측면 모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을 인지해 전 세계는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2℃ 아래로 유지하면서 1.5℃로 억제하려고 하며,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지해 청정 에너지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약 140여개 국가는 탄소중립을 고려하거나 Net-zero 목표를 선언하였으며, 석탄이나 원자력 같은 전통 발전원 비중을 줄이고 태양광, 풍력같은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려 탈탄소 사회로 전환되길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2023. 2. 20.
우주의 보물을 차지하라! 우주의 보물을 차지하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한예림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호] 작년 8월에 발사된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호는 지난달 28일에 달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이는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의 달 탐사가 이루어질 것이며, 세계 7대 우주 강국으로 부상했다는 엄청난 의의가 있다. [자료 1. 다누리가 지난달 30일 촬영한 달(왼쪽), 지구(오른쪽)] 출처 : Chosunbiz 다누리호는 우리나라의 첫 달 탐사선으로, 궤도에 진입 후 약 2시간에 한 바퀴씩 달을 공전하고 있다. 다누리호의 중요 임무는 2032년에 이루어질 달 착륙을 위한 후보지를 직접 확인하는 것도 포함한다. 다누리에 탑재된 것은 고해상도 카메라, 광시야 편광 카메라, 달 자기장 측정기, 감마선 분광기, 우주 인터넷 시험 장비.. 2023. 2. 20.
美 '핵융합 점화' 인류 최초 성공, 이제는 인공태양 시대! 美 '핵융합 점화' 인류 최초 성공, 이제는 인공태양 시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길민석 美, 인류 최초 '핵융합 점화' 첫 성공 [자료 1. 미국 로런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에 있는 핵융합 실험시설 ] 출처 : 이투데이 최근 미국이 핵융합에너지와 관련 세계 이목을 끄는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미국 에너지부 장관 제니퍼 그랜홈(Jennifer Granholm)은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산하 국립점화시설(National Ignition Facility, NIF)의 연구원들이 핵융합 연구에서 상징적인 쾌거라 할 수 있는 이른바 ‘핵융합 점화’에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발표하였다. '핵융합 점화'란 핵융합을 일으키기 위해.. 2023. 2. 20.
네옴시티, 허황된 미래일까? 다가올 미래일까? 네옴시티, 허황된 미래일까? 다가올 미래일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오상은, 21기 정재혁 [사우디 비전 2030 : 네옴시티] 산유국으로 유명한 아랍에미리트가 석유에 의존적인 경제구조에서 벗어나고자 '탈석유화'를 주장했을 때만 해도 전 세계 사람들은 이를 허황한 꿈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두바이를 중심으로 부동산 산업과 투자 산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아랍에미리트는 중동을 대표하는 나라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아랍에미리트의 도전과 발전을 본받아, 사우디아라비아 또한 탈석유화를 꿈꾸며 거대 도시를 만들 계획을 밝혀 전 세계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자료 1. 네옴시티 조감도] 출처 : 헤이팝 사우디 정부는 네옴시티의 중심부에 건설되는 저탄소 친환경 스마트 도시 ‘더 라인(The Line)’과 바.. 2023.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