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기술-산업-정책492

광주형 그린뉴딜, 순항할까? 더보기 광주형 그린뉴딜, 순항할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정예진, 18기 이다연, 19기 이희정, 19기 서명근 광주형 그린뉴딜은 정부가 제시한 2050 탄소 중립 과제보다 무려 5년을 더 앞당긴 2045 탄소중립을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발표하였다. 녹색 전환도시, 탄소 중립 도시, 에너지 자립 도시, 기후 안전도시 타이틀을 선점하려는 광주만의 지역형 그린뉴딜은 다른 지역의 그린뉴딜 로드맵을 구상하는 것에 도움을 주거나 더 나아가 우리 사회가 걷게 될 그린뉴딜 로드맵의 이정표가 될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미루어 볼 때, 우리는 그동안 수도권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그린뉴딜에서 벗어나 ‘지방형 그린뉴딜’에도 집중을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지방형 그린뉴딜 중 ‘광주형 그린뉴딜’에 초점을 맞추어 알아.. 2021. 3. 1.
ESS만이 답이 아니었다? 재생에너지 불안정성의 돌파구, P2X 기술 ESS만이 답이 아니었다? 재생에너지 불안정성의 돌파구, P2X 기술 18기 김민주 최별 19기 권승호 김수정 임하영 '워터 슬라이드의 물이 일정하지 않게 나온다면 어떨까?' 물이 어떨 땐 조금씩 흐르거나 어떨 땐 폭포처럼 나오고, 때로는 아예 안 나오거나 심지어 갑자기 넘쳐흐르기도 한다면 우리는 이를 이용할 수 있을까? 정상적인 워터슬라이드라면 물의 양에 비해 너무 커서 물이 마르지 않도록, 혹은 너무 작아서 물이 넘치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를 계산해서 설계해야 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은 경우는 애초에 물의 양과 빈도를 전혀 예측할 수 없으니 올바른 설계가 불가능해질 것이다. 또 이용하는 사람들의 안전이나 워터슬라이드에 가해질 손상, 안정성 모두 장담할 수 없게 된다. 이처럼 예측하기 몹시 어.. 2021. 3. 1.
관세를 더 내라니, 무슨 EUro? : 탄소국경세 관세를 더 내라니, 무슨 EUro? : 탄소국경세 16기 임상현 18기 김채연 19기 문서영 19기 이성학 탄소국경세란? 파리 기후 협약, Net zero 등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탄소 누출과 같은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어 추가적인 기후변화대응 제도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EU는 2023년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도입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탄소국경조정제도가 도입되면, 무역의 과정에서 탄소국경세(Carbon Border Tax)를 부과할 수 있게 된다. 탄소국경세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마련한 유럽의 그린딜(Green Deal) 전략 .. 2021. 3. 1.
글로벌 기후변화 트렌드 '2050 탄소중립', 한국의 미래는? 글로벌 기후변화 트렌드 '2050 탄소중립', 한국의 미래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강하은, 18기 김민규, 19기 김성민, 19기 이수연 [2021 기후변화 트렌드 : 탄소중립] 지난 25일 네덜란드가 주최하는 GCA(Global Center on Adaptation)의 ‘기후적응 정상 회의’에 각국 정상들이 모였다. 기후 회복력이 있는 세상을 위해 전 세계적 적응 활동을 가속화하는데 필요한 시스템 변화를 촉발하기 위한 의견을 듣기 위한 자리였다. 또한 금번 회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지속적 확산으로 인해 기후 회복력을 구축하려는 노력이 약화되어 가고 있어, 국가와 지역 사회를 미래의 충격에 더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는 염려 속에서 진행이 되었다. [자료 1. Global Center on Ada.. 2021. 3. 1.
[취재] 한국, 재생에너지 ODA 사업으로 글로벌 상생을 이끌다. [취재] 한국, 재생에너지 ODA 사업으로 글로벌 상생을 이끌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김도희, 18기 김채연, 14기 윤재성 2021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파리협약이 효력을 발휘하였다. 파리협약을 체결할 당시 선진국에 해당하는 국가들은 개발도상국에게 매년 최소 1000억 달러(한화 118조 원)를 지원할 것을 합의하였다. 왜 이런 조항이 생겨나게 된 것일까? 2016년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원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사람들이 비디오 게임을 하는데 썼던 전력량이 세네갈 국가 전체의 연간 전력사용량보다 더 많다고 한다. 탄소발자국을 살펴봐도 아프리카 대륙 전체에 의해 공기에 축적된 이산화탄소 양은 1% 미만에 불과하다. 세네갈을 비롯한 여러 개발도상국 국가들은 기후변화의 원인 제공.. 2021. 3. 1.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의 미래를 만나다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의 미래를 만나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김민주, 18기 서현영 지난 12월 29일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심의회(위원장: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을 개최하고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이하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5년마다, 10년 이상의 기간으로 계획을 수립하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5조에 의하여 이번 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은 2020~2034년을 대상기간으로 한다. 2034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는 재생에너지 22.2%, 신에너지 3.5%를 합하여 총 25.8%로 설정되었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기간, 목표가 동일한데 이는 에너지 분야 장기 계획에 적합하고 .. 2021. 1. 25.
RPS 제도, 이대로 괜찮은가? RPS 제도, 이대로 괜찮은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이시은 RPS 제도란? RPS 제도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혹은 공급의무화 제도라고도 불리는 제도로, 50만 kW 규모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현재 22개사)에게 자신이 공급하는 발전량의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하여 판매할 것을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RPS제도에 해당하는 발전사업자들이 에너지를 조달하기 위한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에너지 공급・판매 사업자가 자체 생산을 할 수 있고, 둘째 외부에서 조달을 할 수 있으며, 셋째로 신재생에너지 공급자들에게 부여되는 신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구매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조달을 통해, 발전 사업자들은 공급의무자의 총 발전량(신재생에너지발전량 제외)에 의무비율을 .. 2021. 1. 25.
PPA법안, 개방형 전력시장 필요성 증가시키다. PPA법안, 개방형 전력시장 필요성 증가시키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김도희 에너지 다소비 기업들의 자발적인 재생에너지 사용량 확대를 주도하는 글로벌 캠페인인 RE100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나 해외 무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기업은 RE100 이행에 대한 글로벌 기업 압력을 받아왔고 이에 대한 대비는 불가피했다. 따라서 정부는 작년 9월 국내 기업들의 RE100 이행을 위한 5개(녹색프리미엄제, 인증서 구매, 제3자 PPA, 지분투자, 자가발전)의 이행안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근본적인 재생에너지 확대 및 RE100 이행을 위해서는 에너지 제도 개선과 이행안에는 없는 PPA 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용어 설명 ) 녹색프리미엄제: 한전이 구입한 재생에너지 전.. 2021.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