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기술-산업-정책492 전력시장 개편, 전기 민영화만이 답이 아니야! 전력시장 개편, 전기 민영화만이 답이 아니야! 대학생 신재생 에너지 기자단 17기 정예진 한계를 드러낸 전기 민영화, 2021텍사스와 2001캘리포니아 텍사스 대규모 정전사태 원인이 재생에너지 때문이 아니라 자유로운 전력시장 내에서 주정부의 규제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전력시장 구조 개편이 과연 옳은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벌어지고 있다. [자료1. 텍사스주의 정전 사태 속에서 촛불을 켜고 이불을 뒤집어쓴 한 가족] 출처 연합뉴스 텍사스주는 1999년 전기 발전 및 판매 시스템에 대한 전체 통제권을 국가에서 민간으로 넘겼다. 당시에는 미국 내에서도 가장 광범위한 전기 규제 완화 정책이었다. 당시 주지사였던 조지 W부시 전 대통령은 해당 정책에 서명하면서 "전기 산업에 경쟁이 도입되면, 소비자들에게.. 2021. 3. 29. 전기차 산업 성장의 이면, 패러다임의 변화는 과연 긍정적 효과만 불러오는가? 전기차 산업 성장의 이면, 패러다임의 변화는 과연 긍정적 효과만 불러오는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김민서, 16기 임상현, 18기 김민주 전기차 산업의 성장 하늘색 번호판의 차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느끼고 있는가? 하늘색 번호판은 2017년 이후부터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 부착된다. 그 중에서도 전기차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이처럼 전기차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그야말로 ‘전기차 산업의 전성시대’ 라고 볼 수 있다. [자료 1 . 전기차 산업의 성장 현황 및 예측] 출처: 미래에셋대우증권 내연기관차의 매연 문제 등이 환경오염 이슈와 맞물리며 비판의 목소리가 커졌고, 전기차가 서서히 각광받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업들이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었고, 전기차 시장은 .. 2021. 3. 29. 서울에서 부산까지 16분? 차세대 교통혁신 하이퍼루프! 서울에서 부산까지 16분? 차세대 교통혁신 하이퍼루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서유경 하이퍼루프란? [자료 1. 하이퍼루프 여객 운송 캡슐 개념 디자인 스케치] 출처: 테슬라 모터스 블로그 지난 2013년, 엘론 머스크(Elon Musk)는 테슬라 모터스 블로그를 통해 ‘하이퍼루프’(Hyperloop)에 대한 50페이지 가량의 아이디어를 공개했다. 차세대 이동 수단으로 진공 튜브(진공상태에 가까운 상태)에서 차량을 이동시키는 형태의 운송 수단이다. ‘이동’보다는 ‘쏘아 보낸다’는 표현이 더 적합할 듯하다. 엘론 머스크가 아이디어를 공개한 이후, 많은 업체가 하이퍼루프 개발 도전에 나섰다. 하이퍼루프는 자기장을 이용해 추진력을 얻고, 바닥으로 공기를 분사해 마찰력을 줄인다. 여기에 필요한 전력은 튜.. 2021. 3. 29. 플라스틱의 역습, 그들이 몰려온다. 플라스틱의 역습, 그들이 몰려온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김성민, 김정혁, 이성학 코로나19로 인해 우리의 평범한 일상이 멀어졌다. 그 코로나19로 인해 우리에게 심각한 문제로 다가온 것 중 하나가 바로 ‘플라스틱’이다. 집 밖을 나가기 힘든 상황으로 언택트 소비가 확산되며 플라스틱 기반의 배달, 포장 문화가 더욱 활성화 되었기 때문이다. 2019년 국가 차원에서 플라스틱 1회용품 사용규제를 개정하였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정부에서 일시적으로 일회용 사용규제를 완화함으로써 포장용기와 일회용 장갑, 마스크 사용증가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2020년에 2019년 대비 택배 19.8% 증가, 음식 배달 75.1% 증가로 인하여 폐플라스틱 14.6%, 폐비닐 11%.. 2021. 3. 29. 원자력 발전, 우주로 도약 준비 원자력 발전, 우주로 도약 준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김준호 한국의 원전 2020년 12월 28일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제9차 전력 수급기본계획(2020년~2034년)을 수립하였다. 자료 1처럼 우리나라는 2034년까지 원자력 설비 비중을 10.1%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전망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22기의 원자력 발전소가 가동 중이고, 4기가 신규로 건설 중이다. 제9차 전력 수급기본계획에서는 노후원전은 수명을 연장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원전을 건설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감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다양한 기술발전을 위해 에너지의 토대가 되는 원자력 발전에 불을 붙이고 있다. [자료 1.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발전 설비 용량 비중]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우주에서 원.. 2021. 3. 29. 기후변화와 금융의 대응, 녹색금융 길라잡이 [입문] 기후변화와 금융의 대응, 녹색금융 길라잡이 [입문] 19기 김세진 국제사회는 금융권의 기후 변화 대응 및 사회적 책임에 관련하여 지속 가능한 금융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을 전개하였다. 1997년 교토의정서를 시작으로 2017년 TCFD(Task-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기후 변화와 관련된 재무 정보 공시 권고와 NGFS(Network of Greening the Financial System)의 「녹색금융 촉진에 관한 6개 권고안」은 국제 사회 가운데 녹색금융의 지속과 성장의 촉진제가 되었다. 2020년 11월 민형배 의원 등 28인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녹색금융 촉진 특별법’을 발의한 이후 녹색금융공사 설립, 녹색 금융특화 대학원 지원 등으.. 2021. 3. 29. UN 환경계획, 지구를 살리기 위한 기본 청사진 발표. K-목표는? UN 환경계획, 지구를 살리기 위한 기본 청사진 발표. K-목표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염지원 올해는 유엔 환경총회를 시작으로 기후변화, 화학물질, 생물다양성, 사막화, 해양 등을 포함한 대규모 국제 환경회의가 열리는 해다. 특히 미국이 그동안 탈퇴했던 파리 협정에 다시 참여함으로써 글로벌 환경보호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9일 유엔은 ‘Making Peace with Nature’이란 제하의 UNEP 보고서를 발표하고 온라인상에서 가상 브리핑을 진행했다. 이 보고서는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과학적 기반의 청사진으로 세 가지 유형의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환경 위기를 지목했다. [자료 1. UNEP 보고서 "Making Peace with Nature" ] 출처 :.. 2021. 3. 29. 개발도상국 기후변화대응 한국의 약속과 그 이행은? 개발도상국 기후변화대응 한국의 약속과 그 이행은? 16기 김미림 18기 이지수 19기 김다빈 김세진 조윤주 [개발도상국 기후변화대응과 그것이 필요한 이유] 온실가스 배출량에 있어 선진국이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만연하다. 그러나 기업의 생산공장들은 대부분 개발도상국에 건설되면서 실질적인 피해를 받게 되는 국가는 개발도상국이다. 2006년 니컬러스 스턴에 의해 발간된 온실가스 감축의 필요성을 강조한 보고서인 스턴 보고서에서는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협력 확보를 위해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의 공평한 노력의 배분이 필요하다. 공평하기 위해서는 국가 당 소득과 역사적 책임, 1인당 배출량에 의해 계산하면 부유한 선진국들이 2050년까지 1990년 배출량의 60-80%를 저감할 책임이 있다.”고 쓰.. 2021. 3. 1.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62 다음